역전재판 시리즈의 시나리오 작가에 대한 내용은 야마자키 타케시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외야수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야마다 덴 한큐군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교진군 |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벳토 카오루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fb1e5> | 퍼시픽 리그 역대 베스트나인/지명타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 오타 타쿠지 타이헤이요 클럽 | 타카이 야스히로 한큐 | 도이 마사히로 크라운라이터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
<rowcolor=#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토니 솔라이타 닛폰햄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레론 리 롯데 | |
<rowcolor=#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레론 리 롯데 | 이시미네 카즈히코 한큐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카도타 히로미츠 오릭스 | ||
<rowcolor=#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
<rowcolor=#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트로이 닐 오릭스 | 도밍고 마르티네스 세이부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필 클라크 킨테츠 | ||
<rowcolor=#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프랭크 볼릭 롯데 |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터피 로즈 오릭스 |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
<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 호세 페르난데스 세이부 | 윌리 모 페냐 소프트뱅크 | 미첼 아브레유 닛폰햄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
<rowcolor=#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이대호 소프트뱅크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 프란밀 레이예스 닛폰햄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홈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개 야마시타 미노루 한큐군 / 2개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개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4개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4개 | 타카하시 요시오 고라쿠엔 / 6개 | 버키 해리스 고라쿠엔 / 6개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10개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츠루오카 카즈토 난카이군 / 10개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9개 | 핫토리 츠구히로 나고야군 / 8개 | 후루카와 세이조 나고야군 / 8개 | 후루카와 세이조 이와모토 아키라 카토 쇼지 나고야군 / 4개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카나야마 지로 산교군 / 3개 | 오시타 히로시 세네터스 / 20개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17개 | 카와카미 테츠하루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25개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46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51개 |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2개 | 스기야마 사토시 나고야 / 27개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7개 | 아오타 노보루 요쇼 / 31개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 31개 |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5개 |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2개 사토 타카오 코쿠테츠 / 22개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9개 |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31개 모리 토오루 주니치 / 31개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22개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8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8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0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5개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2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4개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9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1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43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0개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48개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3개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5개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6개 오오시마 야스노리 주니치 / 36개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7개 우노 마사루 주니치 / 37개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랜디 바스 한신 / 54개 | 랜디 바스 한신 / 47개 | 릭 란셀로티 히로시마 / 39개 |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33개 | 래리 패리시 야쿠르트 / 42개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4개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7개 | 잭 하웰 야쿠르트 / 38개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4개 |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38개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9개 |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 39개 |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 38개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4개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4개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개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39개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50개 |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40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0개 | 터피 로즈 요미우리 / 45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5개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43개 | 타이론 우즈 주니치 / 47개 |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36개 |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46개 | 토니 블랑코 주니치 / 39개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49개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60개 | 브래드 엘드레드 히로시마 / 37개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8개 |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44개 | 알렉스 게레로 주니치 / 49개 | 네프탈리 소토 DeNA / 41개 | 네프탈리 소토 DeNA / 43개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1개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9개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56개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41개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3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43개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26개 | 후카미 야스히로 니시테츠 → 토큐 / 25개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6개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개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5개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9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0개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3개 |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25개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32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29개 나카타 요시히로 한큐 / 29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4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52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1개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2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4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5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8개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4개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1개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3개 |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8개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도이 마사히로 타이헤이요클럽 / 34개 |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6개 | 레론 리 롯데 / 34개 | 바비 미첼 닛폰햄 / 36개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37개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48개 |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44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개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0개 | 부머 웰즈 한큐 / 37개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2개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0개 |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43개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9개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2개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39개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1개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2개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35개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28개 | 트로이 닐 오릭스 / 32개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7개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3개 | 터피 로즈 킨테츠 / 40개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39개 | 터피 로즈 킨테츠 / 55개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55개 | 터피 로즈 킨테츠 / 51개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4개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44개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6개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2개 |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43개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6개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T-오카다 오릭스 / 33개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27개 | 미첼 아브레우 닛폰햄 / 31개 | 나카무라 타케야 에르네스토 메히아 세이부 / 34개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37개 |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 39개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35개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7개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3개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32개 |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32개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1개 |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26개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 26개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26개 |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34개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타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3점 |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47점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7점 |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31점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8점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75점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67점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57점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60점 | 아오타 노보루 도쿄쿄진군 / 42점 노구치 아키라 세이테츠군 / 42점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5점 | 츠루오카 카즈토 그레이트링 / 95점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71점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108점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142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161점 |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105점 | 니시자와 마치오 나고야 / 98점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98점 |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 91점 와타나베 히로유키 오사카 / 91점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79점 |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69점 |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78점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92점 | 모리 토오루 주니치 / 87점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76점 |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94점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85점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12점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9점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4점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6점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7점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25점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15점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05점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1점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0점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4점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7점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96점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3점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4점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8점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13점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12점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03점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95점 |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 103점 |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102점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랜디 바스 한신 / 134점 | 랜디 바스 한신 / 109점 |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98점 |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102점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116점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102점 |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99점 | 래리 시츠 타이요 / 100점 |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94점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94점 |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107점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106점 |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109점 |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112점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0점 |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153점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8점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127점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7점 |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124점 |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 113점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147점 | 타이론 우즈 주니치 / 144점 |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122점 |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125점 | 토니 블랑코 주니치 / 110점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129점 | 아라이 타카히로 한신 / 93점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104점 | 토니 블랑코 DeNA / 136점 | 마우로 고메스 한신 / 109점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 105점 |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110점 | 호세 로페스 DeNA / 105점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131점 | 네프탈리 소토 DeNA / 108점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97점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113점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134점 | 마키 슈고 DeNA / 103점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86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105점 |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87점 |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86점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86점 |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97점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99점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95점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100점 |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 85점 |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 95점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103점 |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112점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4점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35점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15점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10점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97점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0점 | 조지 알트만 도쿄 오리온즈 / 100점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101점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129점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120점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1점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101점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109점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96점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카토 히데지 한큐 / 97점 | 카토 히데지 한큐 / 82점 | 레론 리 롯데 / 109점 | 바비 마르카노 한큐 / 94점 | 카토 히데지 한큐 / 104점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129점 |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108점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99점 | 미즈타니 지츠오 한큐 / 114점 | 부머 웰즈 한큐 / 130점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146점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116점 | 부머 웰즈 한큐 / 119점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125점 | 부머 웰즈 한큐 / 124점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106점 이시미네 카즈히코 오릭스 / 106점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92점 짐 트라버 킨테츠 / 92점 | 부머 웰즈 다이에 / 97점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107점 | 이시이 히로오 킨테츠 / 111점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이치로 오릭스 / 80점 타나카 유키오 닛폰햄 / 80점 하츠시바 키요시 롯데 / 80점 | 트로이 닐 오릭스 / 111점 |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114점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124점 | 터피 로즈 킨테츠 / 101점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110점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132점 | 터피 로즈 킨테츠 / 117점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123점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120점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121점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100점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100점 |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108점 | 터피 로즈 오릭스 / 118점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2점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 109점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16점 | 이대호 오릭스 / 91점 |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110점 | 나카타 쇼 닛폰햄 / 100점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4점 | 나카타 쇼 닛폰햄 / 110점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103점 |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127점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3점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나카타 쇼 닛폰햄 / 108점 |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 96점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90점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87점 |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99점 |
}}}}}}}}}}}} ||
성명 | 야마사키 타케시(山崎武司) |
출신지 | 일본 아이치현 치타시 |
생년월일 | 1968년 11월 7일 |
학력 | 아이치공업대학 부속 메이덴고등학교[1] |
포지션 | 포수, 1루수, 외야수, 지명타자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입단 | 1986년 드래프트 2위 |
소속팀 | 주니치 드래곤즈 (1987~2002) 오릭스 블루웨이브 (2003~2004)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05~2011) 주니치 드래곤즈 (2012~2013) |
1. 개요
前 일본프로야구 선수. 현재는 야구해설가 및 평론가로 활동 중이며 때때로 카레이서나 배우로 일하고 있다.무려 27년이나 현역으로 뛰면서 강타자로 이름을 날렸으며, 일본프로야구 사상 3번째[2] 양대리그 홈런왕을 수상했다. 그 2차례의 홈런왕 기록 사이에 무려 11년의 간격(1996, 2007)이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극적인 사례. 신생팀인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에서 극적인 재기를 이루고 팀의 구심점으로 활약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별명은 '쟈이안, 근육맨, 쟈만, 야마' 등이 있다.[3]
2. 프로 입단 이전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야구를 시작해 초6, 중3때 주장을 맡을 정도로 팀의 중심선수로 활약했으며, 아이치공대 메이덴 고등학교[4] 때에도 통산 56홈런을 때려내는 등 학생 시절부터 강타자의 면모를 보였다. 다만, 이러한 활약에도 끝내 고등학교 시절엔 1번도 고시엔에 진출하지 못했다. 중학생 때 스모를 한 적을 있을 정도로 힘이 장사인데, 야구를 좋아하는 집안이어서 스모 입문 제안은 끝내 거절했다고 한다.이후 1986년, 드래프트 2위 지명으로 호시노 센이치가 막 감독으로 취임한 주니치 드래곤즈에 입단한다. 입단 당시엔 포수 포지션으로 들어왔다.
3. 주니치 드래곤즈 1기 시절
입단 3년차인 1989년부터 1군에 올라왔는데, 시즌 최후반이었던 10월 15일 히로시마와의 원정경기에서 선발 포수로 등판했다가 쇼다 코조에게 혼자서 5도루를 허용하는 바람에[5] 수뇌진에게 포수로써는 실격이라고 찍히면서 결국 포수를 포기하고 외야수로 전향했다. 다만 야마사키 본인은 포수 수비 연습 때문에 타격에 집중하기 힘들었어서 오히려 포지션 전향을 좋아했다고.
외야수로 포지션을 바꾼 이후 2군에서 담금질을 거듭하다 1992, 1993년 처음으로 100타석 이상 출장하면서 서서히 1군 붙박이로 정착하게 되었고 1994년은 히코노 토시카츠의 복귀 등으로 이전 시즌보다 출장기회가 줄어들기도 했으나, 1995년 66시합 233타석 59안타 16홈런 39타점 타율 .291 로 존재감을 드러내더니, 1996년 호시노 센이치가 2기 감독으로 돌아온 해 본격적으로 포텐이 폭발하면서 127시합 502타석 146안타 39홈런 107타점 타율 .322 을 기록. 생애 처음으로 홈런왕 타이틀과 베스트나인을 획득하면서 본격적으로 주전으로 활약하기 시작한다.
이후 홈구장을 타자친화적인 나고야 구장에서 극도로 투수친화적인 나고야 돔으로 옮기고 알론조 파웰, 타이호 야스아키 등 주니치의 베테랑 강타자들[6][7]이 정리된 뒤에도 계속 중심타자로 활약을 이어갔다. 1998년엔 타이호 야스아키의 이적으로 빈 자리가 된 1루수로 전향했고 이 해 최다승리타점 타이틀을 수상한 데 이어 1999년에는 선동열, 이상훈, 이종범의 한국인 삼총사와 함께 주니치 드래곤즈의 5번째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하지만 2001년 시즌이 끝나고 그를 프로의 길에 들게 하고 전성기를 열어준 감독이었던 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성적부진으로 물러난 후 2002년 새로 부임한 야마다 히사시 감독과 갈등을 겪으면서 26시합 출장에 그치는 등 급격하게 입지가 줄어 들었고, 불만을 품은 야마사키는 그 해 시즌오프 때 구단에 스스로 트레이드를 요청하여 투수 히라이 마사후미[8]와의 맞트레이드로 오릭스 블루웨이브로 이적하게 된다.
4. 오릭스 블루웨이브 시절
트레이드로 이적한 첫 해인 2003년, 야마사키는 주전 지명타자로 뛰며 110시합 401타석 83안타 22홈런[9] 68타점 .232를 기록, 규정타석 도달엔 실패했으나 전 시즌보단 어느 정도 반등한 성적을 보여주며 그 해 통산 200홈런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2년차인 2004년, 주니치 말기와 마찬가지로 새로 부임한 이하라 하루키 감독과 갈등을 겪으면서 62시합 출장에 그치는 등 또 다시 입지가 줄어들었고, 결국 시즌오프 때 전력외 통보를 받게 되었다.[10] 트레이드 대가로 주니치로 간 히라이는 오릭스 시절의 투수코치였던 야마다 히사시 감독과 재회한 뒤 2003년에는 선발과 구원을 오가며 12승 6패 ERA 3.06의 빼어난 성적을 거둬 컴백상을 수상했으며, 이후에도 10년 가까이 주니치 중간계투진의 일원으로 활약하며 오치아이 히로미츠 감독 시대의 리그 우승과 일본시리즈 우승도 함께하게 된다. 오릭스 입장에서는 완벽하게 실패한 트레이드.
그러나 오릭스-킨테츠와의 합병문제로 인한 프로야구 재편 과정에서 새롭게 창단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초대 감독으로 부임하게 된 타오 야스시[11] 감독의 구애를 받고, 그해 12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에 입단하게 된다.
5.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시절
여기에 서술된 신생구단 창단 과정에서 알 수 있듯, 초창기 라쿠텐은 불공평한 선수 분배 드래프트 방식 때문에 당시 퍼시픽리그 최하위인 킨테츠와 오릭스 두 팀의 선수단 중에서도 기대치가 낮은 선수들과, 인원수 구색 맞추기용으로 다른 팀들로부터 무상으로 양도받은 노장 선수들[12] 위주로 로스터가 구성되어 있어 전력이 굉장히 약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의 예상을 깨고, 이 곳에서 야마사키의 커리어 2막이 개막하게 된다.
얇은 로스터 속에서 출장기회를 부여받게 된 야마사키는 창단 첫 해인 2005년 118경기 439타석 102안타 25홈런 65타점 타율 .266 을 기록하며 재기에 성공했고[13], 급기야 2007년엔 39세의 나이로 141시합 594타석 132안타 43홈런 108타점 타율. 261 을 기록해 홈런왕, 타점왕, 지명타자 베스트나인을 수상하면서 역대 3번째 양대리그 홈런왕[14]이 됨과 동시에 개인 커리어 최다 홈런, 최다 타점 기록을 갱신했다.
야마사키는 이후에도 40대의 나이로 계속 두 자릿 수 홈런을 찍으면서 신생 약체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중심타자, 정신적 지주로써 맹활약했고[15] 특히 만 41세였던 2009년에도 39홈런을 치며 라쿠텐의 창단 첫 A클래스에 공헌해, 커리어 세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베스트나인(지명타자 부문)을 수상하는 노익장을 과시했다.
그러나 2011년엔 102경기 402타수 83안타 11홈런[16] 48타점 .229 의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고, 그 해 취임한 은사 호시노 센이치의 젊은 선수진을 주축으로 하는 팀 방침에 의해[17] 전력외 통보를 받게 된다.
라쿠텐에서 방출된 이후 친정팀 주니치 드래곤즈로의 복귀를 결정. 10년만에 고향팀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6. 주니치 드래곤즈 2기 시절
주니치로 다시 돌아온 야마사키는 2012년 90시합에 출장하며 건재를 과시했지만, 홈런이 1개에 그치는 등 노쇠화가 완연한 모습을 보였고, 결국 2013년 51시합 13안타 0홈런 7타점 타율 .210의 성적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통산성적은 2249시합 8102타석 1834안타 403홈런 1205타점 14도루 타율 .257이다.
7. 기타
불같은 성질로 유명해서 현역 시절 6차례나 퇴장을 당하는 등의 일을 겪었다. 그것도 현역으로 재직한 3구단에서 전부 시합 도중 퇴장당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이는 야마사키와 마찬가지로 노익장으로 유명한 터피 로즈와 같이 가지고 있다. 다만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악의 악동 중 한 명인 발비노 갈베스에게 빈볼을 맞고 덤벼들었다가 래리어트와 주먹연타를 얻어맞는 굴욕을 당한 경험도 있다. 야마사키도 덩치나 완력으로 따지면 일본에서는 어디가도 꿀리는 선수가 아니었기에 호기를 부린 감이 있었지만, 하필 상대가 현피실력이 엄청나기로 유명한 갈베스였기에 그대로 당했다. 나중에 밝혀진 바로는 치아가 3대 부러졌다고 한다.은퇴 후 한때 팀메이트였던 카네무라 요시아키[18]와 게스트로 출연했던 야구 토크쇼에서 본인이 노력파보다는 천재형 타자에 가깝다는 발언을 한 적 있다. 일화로는 2000년 시즌 전 스프링캠프 연습때 야구화를 깜빡하고 두고 와서 스파이크가 없는 연습화를 신고 타격하던 도중 호시노 센이치 감독에게 적발되었는데, 당시 선수들의 조그마한 실수에도 벌금을 엄격하게 물리기로 유명한 감독이 무서워서 "올 시즌은 스파이크 없이 치는 타법으로 정했습니다"라고 임기응변으로 어찌저찌 넘어가고 결국 시즌 내내 스파이크 없이 연습화로 경기를 했는데[19] 놀랍게도 타율이 직전 시즌보다 7푼 가까이 오르는 현상이 벌어졌다. 디딤발이 잘 미끄러져서 힘없는 우익수 앞 안타가 많이 나왔다고. 그 대신 장타력이 하락하며 지난 시즌보다 홈런이 10개나 감소해 버렸고, 결국 다음 시즌부터는 다시 스파이크를 신었다고 한다. 또 장비에 민감하지 않은 타입이라, 홈런왕을 기록했던 96년 시즌 전 스프링캠프에서는 이전 시즌까지 쓰던 배트보다 조금 긴 배트[20]를 썼던 것을 스프링캠프 종료 직전에야 알아차리고 원래대로 바꾸기 귀찮아서 별 생각 없이 시즌 내내 사용했는데, 시즌 후 결과는 홈런왕과 베스트 나인이었다.
상술했듯 라쿠텐에 들어갔을 때만 해도 은퇴가 얼마 남지 않은 타자로 여겨져서 별다른 기대를 받지 못했는데, 그 흔적으로 라쿠텐 시절 응원가는 주니치 시절 2번째 응원가(1997~2001)를 그대로 가져왔다. 라쿠텐의 초창기 야수진 전력구성은 오릭스+킨테츠에서 분배 드래프트로 온 선수들이 주축이 되고 거기에 타 구단의 방출선수와 무상으로 양도받은 잉여 전력들이 더해진 형태였는데, 이들 중 주축 선수로 활약한 지 얼마 안 되었거나 좀 미래가 있다 싶은 선수들은 막 만들어진 라쿠텐 응원단이 새롭게 응원곡을 작곡했지만 노장들은 과거 전성기를 보낸 구단의 응원가를 그대로 연주했다. 야마사키도 이 부류로 여겨졌기에 분명 도호쿠에서 뛰고 있는데도 '나고야의 의지' 같은 가사가 들어간 응원가를 불렀지만 야마사키가 회춘에 성공한 뒤에도 왠지 이 응원가는 바뀌지 않고 계속 불렸다.[21] 그래서인지 현역 끝물에 주니치로 복귀했을 때에는 주니치 시절 1번째 응원가(~1996)를 다시 쓰게 되었다.[22]
선동열, 이종범, 이상훈 한국인 3인방이 주니치에서 뛰던 시절 팀의 중심타자였기에 한국의 야구 팬들 사이에서도 나름대로 이름을 알렸던 선수였지만, 나무위키 항목 작성은 다소 늦은 편이다. 원래 이 항목은 야마자키 타케시의 리다이렉트 항목이었다.
3살 위인 야마모토 마사와 절친한 친구 사이. 이 둘은 나고야 지역에서 함께 RC카 대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1] 愛工大名電, 과거에는 나고야 전기 고등학교였다. 이 학교 출신 유명 선수로는 '우승 청부사'로 유명한 쿠도 키미야스와 메이저리거 스즈키 이치로가 있다.[2] 첫째는 오치아이 히로미츠(롯데->주니치), 두 번째는 터피 로즈(킨테츠->요미우리).[3] 이 중 '쟈만'이란 별명은 원래 야마사키가 나이만 먹고 성깔만 남은 퇴물 타자로 여겨지던 시절, 팀에 '쟈마'(방해)가 된다는 의미로 경멸조로 '쟈마사키' 등으로 불리던 것이 회춘한 듯한 활약을 펼치면서 변형되며 인터넷 상에서 불리게 된 별명이다.[4] 선배로 쿠도 키미야스. 후배로 스즈키 이치로나 아즈마 카츠키 등이 있다.[5] 쇼다는 이날 경기에서 야마사키와 교체 출장한 나카무라 타케시에게도 도루 1개를 추가하여 일본프로야구 최고 기록인 1경기 6도루를 기록했고, 이 6도루로 이해 센트럴리그 신인왕을 수상한 토마시노 켄지(야쿠르트)를 2개 차이로 제치고 극적으로 도루왕을 수상했다.[6] 파웰은 주니치에서 수위타자 3회(1994~96)를 차지한 오른손 강타자, 타이호(대만인으로 타이호 야스아키는 NPB 등록명, 본명은 천타펑)는 홈런왕 1회(1994)를 차지한 외다리타법의 왼손 거포였다. 하지만 나고야 돔 원년인 97년에 둘 모두 성적이 대폭 하락했고 그 해 오프시즌에 파웰은 방출, 타이호는 야노 아키히로와 묶여 한신의 세키카와 코이치 + 쿠지 테루요시와 트레이드되는 식으로 강타자 부재에 시달리던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했다. 파웰은 1년차에 방출되었고, 타이호는 2000년까지 한신에서 파트타임 1루수로 뛰다가 2001~2002년 친정팀 주니치로 돌아와 현역생활을 마감했다.[7] 타이호 트레이드로 주니치로 간 세키카와 코이치는 빠른 발을 살리기 위해 포수에서 외야수로 전환된 뒤 주전 중견수로 출장하며 고감도 타격을 보여주었고, 쿠지 테루요시도 안정된 내야수비로 1998년 수비불안을 노출한 이종범을 대신해 유격수 주전 자리를 차지하기도 했으며 거물 유망주 후쿠도메 코스케가 입단한 뒤엔 내야 유틸리티, 대수비로 뛰며 팀에 쏠쏠히 공헌했다. 한신으로 간 야노 아키히로는 주니치에서는 나카무라 타케시에 밀려 외야와 포수 자리를 오가던 애매한 입지의 선수였지만, 한신에서는 10년간 부동의 주전 포수로 공수에서 맹활약하며 2000년대 한신의 침체기 탈출에 크게 공헌해 한신 팬들에게는 사실상 프랜차이즈 스타 대접을 받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트레이드는 두 팀 모두의 리그 우승(1999 주니치, 2003, 05 한신)에 공헌한 윈-윈 트레이드가 되었다.[8] 고졸 3년차인 1995년에 마무리 투수로 혜성같이 등장해 15승 5패 27세이브 ERA 2.32의 빼어난 성적으로 구원왕 + 신인왕을 차지하며 오릭스의 리그 우승에 공헌했던 투수. 하지만 95년의 무리한 기용으로 이후 줄곧 부상에 시달리며 부진한 성적만 거두고 있었다.[9] 그 해 팀 내 일본인 타자 최다 홈런.[10] 다만 이하라와는 퇴단 후 화해했다고 한다.[11] 1980년대 주니치 드래곤즈의 중심타자로 3년 연속 최다안타를 기록한 좌타 교타자였다. 소년 시절 스즈키 이치로가 동경하던 선수로도 알려져 있다.[12] 그 중엔 주니치 드래곤즈에서 이적해온 노망주나 베테랑 선수들이 꽤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츠치야 텟페이, 세키카와 코이치가 있었다. 야마사키 본인도 주니치 출신이었으며 감독 타오 야스시도 주니치 OB여서 초창기 라쿠텐은 주니치 출신 비중이 꽤 높았다.[13] 아시다시피 이해 라쿠텐은 38승 1무 97패 승률 .281의 처참한 시즌을 보냈다. 그런 와중에도 회춘에 성공한 야마사키는 이와쿠마 히사시와 함께 제몫을 해준 몇 안되는 선수였었다.[14] 앞의 두 명은 오치아이 히로미츠와 터피 로즈.[15] KBO리그로 치면 딱 NC 다이노스의 이호준 포지션이다.[16] 팀 내 홈런 1위. 2위는 마쓰이 가즈오의 9홈런[17] 사실 호시노는 자신의 과거를 아는 선수들을 상당히 껄끄럽게 생각했거나 아무래도 자신의 과거를 아는 선수들이 섞여 있으면 선수들 사이에서 카리스마를 유지하기 힘들다고 판단했는지 감독 취임 때마다 그 팀의 기존의 고참급 선수들을 중심으로 방출 내지는 트레이드의 소용돌이가 한번 지나가던 경향이 있었다. 실제로 호시노의 취임과 함께 메이저리그 생활을 접고 일본 복귀를 택한 마쓰이 가즈오와 이와무라 아키노리가 라쿠텐에 합류했고, 이와무라는 크리스 코글란과의 충돌 여파로 폭망했지만 야마사키가 나간 뒤 등번호 '7'을 다시 달고 주장직을 맡은 마쓰이가 팀 야수진의 리더격 역할을 맡는다.[18] 재일 한국인 3세 야구선수로 한국명은 김의명이다. 고교 시절 투수로 활약하며 팀을 고시엔 우승으로 이끌었고, 이후 킨테츠 버팔로즈에서 내야수로 활약하다 말년에 주니치 드래곤즈, 세이부 라이온즈를 거치며 야마사키와 잠깐 팀메이트로 뛰기도 했다.[19] 야쿠르트 스왈로즈와의 경기 도중 상대 포수 후루타 아츠야가 야마사키가 스파이크를 신지 않은 것을 알아차리고 "스파이크 없이 어떻게 타격을 하느냐"라고 걱정한 나머지 시합이 잠시 중단될 뻔 해서 곤란했다고 한다.[20] 이 배트를 두고 전 삼성 라이온즈 투수코치였던 오치아이 에이지와의 일화가 있다. 오치아이 항목 참조.[21] 함께 주니치에서 뛴 세키카와 코이치 역시 라쿠텐 시절엔 주니치 응원가를 그대로 사용했다.[22] 여담으로 야마사키가 은퇴한 직후 주니치 드래곤즈 응원단이 새롭게 물갈이되면서 기존 응원가들을 쓰지 않기로 방침을 정하는 바람에 야마사키의 응원가도 2개 모두 다시 쓰일 일이 없어져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