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9 23:56:13

이종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이종운(1959)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73 김일경 · 80 박경완 · 81 김정준 · 83 정수성
· 85 염경엽 [[틀:LG 트윈스 감독|
]] · 93 장진용 · 94 김재율 · 97 모창민
· 99 김광삼 · # 송지만'''
2군
'''71 김경태 · 75 김용의 · 76 윤진호 · 79 손지환
· 82 최경철 · 86 신재웅 · 89 양원혁 · # 이병규 [[틀:LG 트윈스 2군 감독|
]]'''
잔류·재활군
67 이종운 · 77 정주현 · 78 양영동 · 92 최상덕
트레이닝 파트
69 양희준 · 87 안영태 · 88 김용일 · 91 이권엽
· 95 고정환 · 96 배요한 · 98 박종곤
· 유현원 · 최재훈 · 김종욱 · 김국헌
인스트럭터
퓨처스 황병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1군 엔트리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이종운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롯데우승엠블럼V2.jp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1992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c2340>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역대 주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ed1c24> 1982~1983 1984 1985 1986 1987
권두조 김성관
김용희
유두열 정학수
1988 <rowcolor=#ed1c24> 1989~1991 1992 1993~1994 1995
김용철 ?? 한영준
조성옥 한영준
<rowcolor=#000> 1996 1997 1998 1999 2000
김응국 이종운 공필성 박정태
강성우
2001 2002 <rowcolor=#fff> 2003 2004 2005
강상수 조경환 박현승 김대익 염종석
<rowcolor=#fff> 2006 2007 2008 2009~2010 2011
손인호 손민한 정수근조성환 조성환 홍성흔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김사율 조성환 박준서 최준석 강민호
2017~2018
<rowcolor=#fff> 2019 2020 2021~2022 2023
이대호 손아섭민병헌 민병헌 전준우 안치홍
<rowcolor=#fff> 2024
전준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ed1c24> 초대 2대 3대 4대
박영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1983)
감독 대행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1986)
성기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
어우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89)
<rowcolor=#ed1c24> 5대
6대
7대
김진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
감독 대행
도위창 파일:일본 국기.svg
(1990)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3)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8)
감독 대행
김명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rowcolor=#000> 8대 9대
10대
김명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1)
감독 대행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감독 대행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백인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03)
<rowcolor=#fff> 10대 11대 12대 13대 14대
감독 대행
김용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양상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로이스터 파일:미국 국기.svg
(2008~2010)
양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2)
<rowcolor=#fff> 15대 16대
17대
18대
김시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4)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조원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8)
양상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감독 대행
공필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rowcolor=#fff> 19대
20대
21대 파일:롯데 자이언츠 워드마크.svg
허문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1)
서튼 파일:미국 국기.svg
(2021~2023)
감독 대행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김태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2군
역대 감독
(SK 와이번스 시절 포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김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김종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2)
조창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박종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2004)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김동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계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10)
이만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rowcolor=#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계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이만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3)
박경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세이케 파일:일본 국기.svg
(2015)
<rowcolor=#fff>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김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
김무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8)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0)
조원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김석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rowcolor=#fff> 21대 22대 23대 24대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플레처 파일:미국 국기.svg
(2022)
이대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손시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2025~)
20대부터 22대까지는 총괄코치 직함 사용.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2군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ed1c24> 초대 2대
3대
4대 5대
임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이성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임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7)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배대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rowcolor=#000> 6대 7대
8대
9대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1)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김정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2)
이재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03)
감독 대행
김무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rowcolor=#fff>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감독 대행
박영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박영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정영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8)
<rowcolor=#fff>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양상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박정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윤학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정인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rowcolor=#fff> 19대 20대 21대 22대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8)
강진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서튼 파일:미국 국기.svg
(2020~2021)
감독 대행
정호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정호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rowcolor=#fff> 23대 24대 25대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배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24대 한정 총괄 코치로 직함 변경
}}}}}}}}}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번
박용성
(1983~1988)
<colbgcolor=#000000><colcolor=#fff> 이종운
(1989~1997)
차명주
(1998)
한화 이글스 등번호 33번
이강돈
(1985~1997)
이종운
(1998)
최익성
(1999)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99번
이정담
(2012~2013)
이종운
(2014~2015)
이용훈
(2016~2021)
SK 와이번스 등번호 73번
이동수
(2016~2017)
이종운
(2018~2020)
나이트
(2021)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90번
레어드
(2022)
이종운
(2023)
고영민
(2024~)
LG 트윈스 등번호 67번
최현준
(2023)
이종운
(2024~)
현역
}}} ||
파일:2023 이종운 프로필.png
<colbgcolor=#c30452><colcolor=#ffffff> LG 트윈스 No.67
이종운
李鍾雲 | Lee Jong-Un
출생 1966년 4월 6일 ([age(1966-04-06)]세)
부산직할시 서구
(現 부산광역시 사하구)
거주지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남천 삼익비치아파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부산감천초등학교 (졸업)
부산대신중학교 (졸업)
경남고등학교 (졸업)
동아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 / 학사)
신체 176cm, 77kg
포지션 외야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89년 2차 2라운드 (롯데)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1989~1997)
한화 이글스 (1998)
지도자 치바 롯데 마린즈 연수코치 (1999)
롯데 자이언츠 1군 주루코치 (2000~2002)
경남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3~2013)
롯데 자이언츠 3군 수석코치 (2014)[1]
롯데 자이언츠 1군 주루코치 (2014)[2]
롯데 자이언츠 감독 (2015)
SK 와이번스 루키팀 책임코치 (2018)
SK 와이번스 2군 감독 (2019~2020)
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2023)[3]
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2023)[4]
롯데 자이언츠 감독대행 (2023)[5][6]
LG 트윈스 잔류군 총괄코치 (2024~)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30452><colcolor=#fff> 가족 아들 이정윤, 딸 이승아(1992년생)
종교 불교 }}}}}}}}}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평가5. 연도별 주요 성적6. 역대 감독 전적7. 여담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야구인. 현역 시절 포지션은 외야수였다. 롯데 자이언츠에서 선수, 코치, 수석코치, 감독대행, 감독까지 오를 수 있는 모든 자리에 올라 본 인물이다.

2. 선수 경력

부산 감천초등학교, 부산대신중학교, 경남고등학교,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89년 신인드래프트를 통해서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였다.
파일:attachment/leejongwoon.jpg
파일:external/image.sportsseoul.com/l_2014110101000014400138231.jpg
1991년부터 1994년까지 4년 동안이 전성기였다. 특히 1992년 우승 때는 .314의 타율과 21도루로 남두오성의 일익을 담당했고, 14개의 3루타를 쳐내 단일 시즌 최다 3루타 기록을 세웠다.[7]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었음에도 늘 김응국전준호라는 걸출한 외야수에 밀려 나머지 한 자리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해야 했다.

1996 시즌 초반 미친 듯한 맹타를 휘두르며 기량이 만개하나 싶었지만, 6경기만에 경기 도중 다리 골절 부상으로 시즌 아웃 판정을 받고 다시는 예전 기량을 회복하지 못했다. 1997년 10월 3일 외야수 강대호를 상대로 한화 이글스트레이드되었으며, 1998 시즌 후 거기서 은퇴했다.
파일:external/photo.isportskorea.com/20010327165304892G.jpg
(출처 : 포토로)

마지막 1시즌만 뛰고 은퇴한 한화 이글스 현역 선수 시절. 이 시기에 한화에서 뛰고 있던 장종훈과 친분이 생겼다고 한다.

베트를 짧게 쥐고[8]커트를 해가며 원하는 공을 골라 안타로 연결시키는 스타일의 타자였다. 주력도 준수해서 팬북에는 100m를 12초 플랫에 끊는다는 말도 있었다.

델동님이 되면서 이미지를 많이 망쳐서 그렇지 짧은 전성기의 이종운은 지금의 이용규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정교하고 발 빠른 타자였다. 다만 이종운보다 좀 더 정교하고 좀 더 발이 빨랐던 전준호와 이종운보다 역시 좀 더 정교하고 발 빠르기는 비슷했으며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할 수 있는 장타력이 있었던 김응국에 좀 가려진 면이 있다. 하지만 서건창이 깨기 전까지 최다 3루타 기록을 20년 넘게 지켜올 정도로 전성기의 주루 센스는 탁월한 편이었다.

수비에서는 의외로 돌글러브 기질이 좀 있었다. 특히 염종석의 승을 날려먹는 멋진 실책은... 당시 직관 갔던 사람의 말에 의하면 공을 놓치자 마자 온갖 육두문자와 함께 외야 관중석에서 오물이 날아들었다고.

오래된 팬들은 실력에 비해서 캐릭터가 부족했던 선수로 기억하는 면이 강하다.

전준호같은 독기도, 김응국같은 다재다능함도 없었고 전성기가 길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가 롯데의 마지막 우승에 크게 공헌한 것은 사실이며 감독으로서의 실책이 아무리 많았다 해도 이 조차 희석되어서는 안 된다.

3. 지도자 경력

파일:이종운 감독대행.png
감독 대행 첫 날 언론사 기자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종운/지도자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종운/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rowcolor=#000>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89 롯데 61 64 .266 17 5 0 0 6 8 2 5 .344 .319
1990 4 6 .167 1 0 0 0 1 0 1 0 .167 .167
1991 106 234 .256 60 10 4 1 35 28 4 17 .346 .304
1992 108 401 .314 126 15 14
(1위)
3 57 66 21 26 .444 .354
1993 123 392 .253 99 9 7
(3위)
2 42 45 16 34 .327 .311
1994 121 448 .272 122 13 5
(3위)
2 32 48 21 19 .337 .301
1995 62 178 .315 56 4 3 0 19 22 15 13 .371 .350
1996 6 19 .474 9 1 0 0 3 2 1 0 .526 .450
1997 106 301 .252 76 13 0 0 11 31 15 10 .296 .276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98 한화 42 89 .157 14 2 1 1 6 8 2 2 .236 .176
KBO 통산
(10시즌)
739 2132 .272 580 72 34 9 212 258 98 126 .350 .311

6. 역대 감독 전적

역대 감독 전적
연도 경기 정규리그 포스트시즌
2015 롯데 자이언츠 144 66 77 1 8위 진출 실패
<rowcolor=#fff> 연도 경기 정규리그 포스트시즌
2023 롯데 자이언츠 36 18 18 0 7위 진출 실패
통산 180 84 95 1

7. 여담


파일:/image/447/2014/12/01/201412011024169431_1_99_20141201102503.jpg
파일:/image/396/2014/11/30/20141130000370_0_99_20141130132721.jpg
파일:external/photo.isportskorea.com/201411131257537924.jpg
(출처: 포토로)

8. 관련 문서


[1] ~8월 20일.[2] 8월 21일~.[3] ~6월 26일.[4] 6월 27일~8월 28일.[5] 8월 29일~10월 16일.[6] 정식 임명 전인 8월 17일 경기와 8월 28일 경기에서도 래리 서튼 전 감독의 건강 문제로 감독 대행을 맡았다.[7] 그리고 2014년 9월 6일 롯데전에서 서건창이 그 기록을 15개로 경신하는 장면을 바로 그 현장에서, 그것도 상대 팀 코치 입장으로 지켜봐야만 했다.[8] 당시 이종운은 리그 전체에서도 가장 배트를 짧게 쥐는 선수였다. 거의 한 뼘 이상 짧게 쥐었을 정도.[9] 두산 베어스의 일수 강점기를 이끌었던 송일수 감독에 빗대어 부른 것. 돡갤과 꼴갤 사이의 흔한 논쟁거리가 둘 중에 누가 더 나쁜 감독인가를 따지는 것이다 진지하게 따지자면 우위를 가릴 수 없는 정도일 것이다. 이종운은 2015년 용병 3명이 모두 터진 롯데를 데리고 8위를 했고, 손아섭, 김민하 등 수많은 문제까지 일으켰다. 송일수는 2013년부터 2021년까지 매 해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그 전력 탄탄하다는 두산을 데리고 6위를 찍었다. 둘 다 1군 감독으로의 능력은 추호도 없다는 뜻.[10] 김용철 감독대행을 포함하면 3번째 프랜차이즈 스타 출신 감독이다. 그러나 김용철 대행은 백인천 감독이 경질되고서 수석코치 신분에서 감독 대행을 한 인물인 지라...[11] 왼쪽부터 주장 박준서, 감독 이종운, 사장 이창원, 단장 이윤원이다.[12] 물론 김용희는 롯데의 감독으로서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기록하는 등 나름의 성과를 기록하고 5년여간 감독생활을 하다 성적부진으로 경질되었지만 이종운은 고작 1년 만에 기행을 일삼다가 경질되었다는 점에서 역량차이는 비교가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