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8:18:45

우용득

우용득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1.svg
KBO 리그
우승코치
1985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ecd00> 1대 2대 3대 4대 5대
서영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1983)
이충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
김영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1986)
박영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1988)
정동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0)
<rowcolor=#fff> 6대
7대
8대 8대 9대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2)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1995)
백인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7)
감독대행
조창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1999)
<rowcolor=#fff> 10대 11대
12대
13대 14대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김응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4)
선동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10)
류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6)
김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9)
<rowcolor=#fff> 15대 15대 16대 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svg파일:삼성 라이온즈 원정 워드마크.svg
허삼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2)
감독대행
박진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박진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2군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ed1c24> 초대 2대
3대
4대 5대
임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이성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임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7)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배대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rowcolor=#000> 6대 7대
8대
9대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1)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김정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2)
이재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03)
감독 대행
김무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rowcolor=#fff>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감독 대행
박영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박영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정영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8)
<rowcolor=#fff>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양상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박정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윤학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정인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rowcolor=#fff> 19대 20대 21대 22대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8)
강진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서튼 파일:미국 국기.svg
(2020~2021)
감독 대행
정호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정호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rowcolor=#fff> 23대 24대 25대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배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24대 한정 총괄 코치로 직함 변경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ed1c24> 초대 2대 3대 4대
박영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1983)
감독 대행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1986)
성기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
어우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89)
<rowcolor=#ed1c24> 5대
6대
7대
김진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
감독 대행
도위창 파일:일본 국기.svg
(1990)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3)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8)
감독 대행
김명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rowcolor=#000> 8대 9대
10대
김명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1)
감독 대행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감독 대행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백인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03)
<rowcolor=#fff> 10대 11대 12대 13대 14대
감독 대행
김용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양상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로이스터 파일:미국 국기.svg
(2008~2010)
양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2)
<rowcolor=#fff> 15대 16대
17대
18대
김시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4)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조원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8)
양상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감독 대행
공필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rowcolor=#fff> 19대
20대
21대 파일:롯데 자이언츠 워드마크.svg
허문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1)
서튼 파일:미국 국기.svg
(2021~2023)
감독 대행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김태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4번
팀 창단 우용득
(1982~1983)
송상진
(1985~1985.8.18.)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3번
서영무
(1982~1983)
우용득
(1984)
김헌수
(1996~1999)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74번
결번 우용득
(1985~1987)
임호균
(1996~1998)
{{{#ffff00 [[MBC 청룡|MBC 청룡]] 등번호 73번}}}
최정상
(1986~1988)
우용득
(1989)
이종도
(1992~1993)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94번
결번 우용득
(1993~1995)
송주호
(2007)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9번
결번 우용득
(1998~2002)
박상신
(2013)
[[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92번
공지환
(2007)
우용득
(2009)
박대한
(2010)
}}} ||
파일:external/photo.hankooki.com/ljh566220151231115803_P_02_C_1.jpg
우용득
禹龍得 | Woo Yong-Deuk
출생 1950년 2월 13일 ([age(1950-02-13)]세)
대구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대구달성초등학교 (졸업)
대구중학교 (졸업)
대구상업고등학교 (졸업)
포지션 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2년 삼성 라이온즈 창단멤버 겸 코치
소속팀 한일은행 야구단 (1970, 1974~1981)
삼성 라이온즈 (1982~1983)
지도자 한일은행 야구단 코치 (1981)
삼성 라이온즈 1군 플레잉코치 (1982~1983)
삼성 라이온즈 1군 타격·배터리코치 (1984~1987)
MBC 청룡 1군 타격코치 (1988~1989)
삼성 라이온즈 1군 타격·작전코치 (1990~1992)
삼성 라이온즈 감독 (1993~1995)
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1998)[1]
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1998)[2]
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1999~2001)[3]
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2001)[4]
롯데 자이언츠 감독대행 (2001)[5]
롯데 자이언츠 감독 (2002)
프런트 삼성 라이온즈 스카우트 (2009~2013)
경력 KBO 규칙위원 (1997, 2008)
KBO 육성위원장 (2005)
KBO 상벌위원 (2006~2008)
KBO 경기운영위원 (2006~2008)
KBO 기술위원 (2007~2008)
대학야구연맹 전무이사 (2016)
병역 해병대-공군 야구단 (1971~1974)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연도별 주요 성적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롯데 자이언츠 감독.

2. 선수 경력

대구 출신으로, 대구상고(42회)를 졸업하고 실업 야구 제일은행, 한일은행[6] 등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포지션은 포수로, 1970년대 국가대표 선수였다. 그래서인지 이미 전성기가 지난 나이였음에도 불구, 삼성 측에선 그래도 국가대표 포수니 만약을 대비한다는 개념으로 백업 포수를 목적으로 플레잉 코치로 등록시켰다.

3. 지도자 경력

1981년 선수 생활을 은퇴하고 한일은행 야구단의 코치로 있다가 1982년 한국프로야구 출범과 함께 삼성 라이온즈의 코치진에 합류했다. 코치 중에는 젊은 편이었기 때문에 플레잉 코치로 활동하여, 선수로서도 경기에 출전하기도 했다. 프로에서는 주로 대타로 출전. 스스로도 내심 선수 생활에 미련이 남았는지 비시즌마다 선수들과 같이 훈련을 받았다. 그러다가 1984년 김일융의 전담 포수를 겸해 영입된 송일수의 모습을 본 후 선수에 대한 미련을 버렸다.

그 후 계속 삼성 라이온즈의 코치로 재직[7]하다가, 1992년 시즌 후 김성근의 후임으로 삼성의 감독이 됐다. 감독이 되자 세대교체에 힘써서 노장 선수들을 정리하고 젊은 피로 체질을 개선했다. 1993년 정규 시즌을 2위로 마치고 1993년 한국시리즈에서 숙명의 라이벌 해태 타이거즈와 접전을 벌여 4차전까지는 2승 1무 1패로 앞서 나갔으나,[8]젊은 선수들의 경험 부족으로 잠실에서 3경기를 연달아 패해 우승에는 실패했다. 이것과 비교되어[9] 그의 전임자가 삼성에서 기록한 흑역사가 더욱 부각되었다.

그러나 1994년과 1995년에 내리 5위로 시즌을 마감하여 삼성의 감독직에서 해임됐다. 이 때 당시 뛰던 일부 선수들은 전임자와의 차별화 때문이었는지 리빌딩의 강도가 너무 강했고, 노장 선수들의 부재가 팀 단합에 영향을 끼쳐 성적이 떨어졌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하지만 저 위의 평가를 뒤집을 수 있는게, 이 시기가 평균 관중이 가장 많았던 해였다. 우용득은 전임자인 김성근 감독 시절에 위축되었던 삼성 특유의 호쾌한 공격야구를 부활시켰고, 이에 힘입어 부임 첫해이자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1993년에는 평균 관중 수가 지방 구단[10] 최초로 50만 관중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뒀다. 1995년에도 부진한 성적과는 별개로 평균 관중 60만을 기록하는 등 평균 관중 동원쪽에서 평타 이상을 기록했다.

여기에 더해, 이승엽, 신동주 등 훗날 라이온즈를 뒷받침할 스타를 꾸준히 기용했다. 94 시즌과 95 시즌 성적이 워낙 저조해서 그렇지 그때를 그리워 하는 팬들도 많다. 또한 만약 그 감독 휘하였다면 양준혁이 이렇게 대단한 기록을 낼 수 있었을까? 그리고 김응용의 피를 말리게 한 1993 한국시리즈에서 혈전을 펼친 상대 수장도 그였다.

이후 롯데 자이언츠에서 2군 감독을 지내다 2001년 여름, 김명성 감독이 갑자기 급사하자 감독 대행이 되었다. 하반기 동안 팀을 나름대로 잘 이끈 공로를 인정받은 뒤 2002년 시즌을 맞아 7년 만에 정식 감독으로 복귀하나, 투자에 너무 소극적인 구단과 타선을 이끌었던 펠릭스 호세의 2중 계약 파문 등 어수선한 팀 분위기 때문에 최하위를 전전하고 16연패를 당하기도 하면서 그 해 6월에 해고되었다. 만약 그가 짤리지 않았다면 롯데는 이 시즌에 97패를 당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11]

고졸 좌완 투수 유망주 이승엽과 우완 투수 유망주 이대호를 타자로 전향시킨 인물이기도 하다.[12] 롯데 시절에는 펠릭스 호세배영수를 가격하여 남은 시즌을 뛸 수 없게 되자, 호세를 말소한 후 그 때 이대호를 1군에 불러들였다.

이후 신문의 야구 컬럼을 쓰기도 하고 야구중계 해설자 등을 맡고 있다가, 2009년 한일은행 시절 선배이자 스승인 김응용의 부름을 받고 삼성 라이온즈스카우트 팀에 합류하여 복귀하였으며[13], 2015년 12월 18일에 대학야구연맹의 전무 이사로 승진했다. #

4.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1982 삼성 1군 기록 없음
1983 14 18 .111 2 0 0 0 1 0 0
KBO 통산(1시즌) 14 18 .111 2 0 0 0 1 0 0


[1] ~6월 14일[2] 6월 15일~[3] ~6월 9일[4] 6월 10일~7월 23일[5] 7월 24일~[6] 이 때 사부는 다름 아닌 친정 팀 삼성 제국의 기틀을 다진 김응용.[7] 중간에 1988년부터 2년간 MBC 청룡의 코치로 옮겨간 적이 있었다.[8] 3차전에선 박충식이 15회까지 181개의 공을 던져서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그 경기를 잡았다면 해태를 벼랑 끝으로 몰고 갈수도 있었다.[9] 삼성은 불과 1년 전인 1992년 롯데와의 준플레이오프에서 투수 단 2명(염종석, 박동희)에게 1점도 못 내고 두 경기 연속 완봉패로 탈락했다.[10] 잠실, 사직 제외.[11] 참고로 삼성 감독과 롯데 감독 시절 후임자가 두 경우 모두 다름 아닌 백인천이었다.[12] 박승호 코치 역시 이승엽을 타자로 전향시킨 인물이다.[13] 이시기 최무영을 비롯한 다른 스카우터들이 투수뽑자고 할때 김응용이 점찍어 놓은 구자욱을 직접 지명해서 뽑았다. 왕조멤버들을 직접 뽑았던 성기영과 우용득이 삼성을 다시 떠난 이후 최무영이 팜을 완전히 황폐화시켜버렸다. 오죽하면 LG출신인 이종열이 단장부임하고 최무영과 가까운 김민수 스카우터 팀장을 갈아치울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