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10:47:54

조창수

조창수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1.svg파일:lgv1.pn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1983 1990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역대 감독
{{{-3 {{{#fff
(해태 시절 포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 초대 2대 3대
김동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
감독 대행
조창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
김응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2000)

김성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4)
감독 대행
유남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rowcolor=#fff> 4대 5대
6대
7대
유남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감독 대행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조범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11)
선동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4)
<rowcolor=#fff> 8대
9대
10대 11대
김기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9)
감독 대행
박흥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2020~2021)
김종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2023)
이범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군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박창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1989)
류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1991)
박용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1993)
김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5)
감독 대행
조창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
<rowcolor=#fff> 5대 6대 7대 8대 9대
정순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7)
이철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신용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신용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4)
<rowcolor=#fff>
10대
11대 12대 13대
장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09)
장효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감독 대행
양일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장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6)
성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9)
<rowcolor=#fff> 14대 15대 16대 17대
오치아이 파일:일본 국기.svg
(2020~2021)
박진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감독 대행
최태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김재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정대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rowcolor=#fff> 17대 18대
이병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최일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ecd00> 1대 2대 3대 4대 5대
서영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1983)
이충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
김영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1986)
박영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1988)
정동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0)
<rowcolor=#fff> 6대
7대
8대 8대 9대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2)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1995)
백인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7)
감독대행
조창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1999)
<rowcolor=#fff> 10대 11대
12대
13대 14대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김응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4)
선동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10)
류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6)
김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9)
<rowcolor=#fff> 15대 15대 16대 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svg파일:삼성 라이온즈 원정 워드마크.svg
허삼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2)
감독대행
박진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박진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2군
역대 감독
(SK 와이번스 시절 포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김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김종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2)
조창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박종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2004)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김동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계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10)
이만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rowcolor=#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계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이만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3)
박경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세이케 파일:일본 국기.svg
(2015)
<rowcolor=#fff>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김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
김무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8)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0)
조원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김석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rowcolor=#fff> 21대 22대 23대 24대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플레처 파일:미국 국기.svg
(2022)
이대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손시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2025~)
20대부터 22대까지는 총괄코치 직함 사용.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2번
성기영
(1987)
조창수
(1988~1989)
배대웅
(1997~1998)
LG 트윈스 등번호 91번
결번 조창수
(1990~1991)
오영일
(1993~2001)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91번
김성근
(1991~1992)
조창수
(1993~1995)
이재현
(2007)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71번
고재섭
(1994~1995)
조창수
(1996~1997)
신용균
(1999~2004)
SK 와이번스 등번호 90번
결번 조창수
(2002)
황건주
(2010)
}}} ||
파일:조창수.jpg
조창수
趙昌秀 | Cho Chang-Soo
출생 1949년 4월 20일 ([age(1949-04-20)]세)
경상북도 대구시[1]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경북고
포지션 외야수
투타 우투우타
소속팀 한일은행 야구단 (1969~1974)
육군 야구단 (1971~1972)
롯데 자이언트 (1975~1978)
지도자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1979~1981)
해태 타이거즈 타격코치 (1982)[2]
해태 타이거즈 감독대행 (1982)[3]
해태 타이거즈 타격코치 (1983~1984)
롯데 자이언츠 1군 타격코치 (1985~1989)
LG 트윈스 1군 수석코치 (1990~1991)
삼성 라이온즈 1군 수석코치 (1993~1995)[4]
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 (1995)[5]
삼성 라이온즈 1군 수석코치 (1996~1997)[6]
삼성 라이온즈 감독대행 (1997)[7]
SK 와이번스 1군 수석코치 (2002)[8]
SK 와이번스 2군 감독 (2002)[9]
가족 배우자 조혜정, 딸 조윤희, 조윤지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가족관계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프로야구 전 감독대행. 유독 감독대행이라는 말을 강조한데는 다 이유가 있어서 그런 것이다. 그의 야구 인생, 특히 지도자 인생을 보면 그렇다.

2. 선수 경력

1949년생으로 1967년과 1968년 경북고가 전국대회에서 무려 다섯 번의 우승을 차지할 때, 그 주역이었다.[10] 함께 우승을 일군 선수가 임신근이었고, 당시 감독이 서영무였다. 그리고 3년 뒤의 남우식 시대까지 합쳐서 소위 경북고의 1차 전성기를 일군 주역이었다.[11] 고교야구 시절, 고교야구 역사상 최초의 끝내기 홈런의 주인공이었다. 홈런을 친 대회가 1968년 청룡기 경남고와의 4강전이었으니, 팀 우승에 정말 제대로 기여한 셈. 졸업 후에는 한일은행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한일은행에서 밀려난 후에는 새로 생긴 실업 팀 롯데 자이언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3. 지도자 경력

현역에서 은퇴한 후에는 광주일고 감독으로 재직했다.[12] 그러다가 프로야구 출범과 함께 새롭게 창단한 해태 타이거즈의 코치로 부임하게 되었다. 먼저 김동엽 감독이 권유해서 가게 되었는데, 훗날 은사인 서영무 감독이 권유했을 때, 잠시 망설였다고 한다. 그러나 먼저 권유한 사람의 말을 따르게 되었는데, 돌아온 것은 망신뿐.. 그 결과로 빚어진 사건이 조창수·유남호 코치 잠적 사건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간략히 말해 김동엽 감독은 짤리고, 그는 그 해 4월 29일 자로 해태의 감독 대행에 임명되어 1982년 시즌을 소화했다.[13] 김동엽 감독이 시즌 시작 후, 겨우 한 달도 채 되지 않아서 물러났기 때문에 사실상 그가 감독 역할을 했다. 그러나 정식 감독으로는 임명되지 못하고 김응용 감독이 부임하면서 다시 코치로 돌아갔다.

이후 강병철을 따라 롯데로, 다시 백인천을 따라 LG로 가서 코치 생활을 하다가 1993년에 우용득삼성 라이온즈의 새 감독으로 부임하자 수석코치로 임명된다. 그리고 감독이 교체되었음에도 유임되어, 1997년 뇌출혈로 백인천이 입원했을 때, 1차로 감독대행으로 팀을 지휘한다. 그리고 퇴원한 백인천 감독이 다시 시즌 도중 신인급 투수인 전병호의 뺨을 때리고 그냥 집에 가는 초유의 상황이 나오면서[14] 결국 남은 시즌 동안 두 번째로 감독 대행으로 팀을 지휘하게 된다.

감독대행으로 경력이 나쁜 편은 아니었다. 1997년 준PO에서는 김성근쌍방울을 눌렀고, 객관적인 전력에서 뒤진다는 평을 받았던 LG와의 PO에서도 2승 3패로 상당히 선전했다.[15][16] 그래서 시즌 종료 후, 새 감독 선임 과정에서 당연히 신임 감독으로 유력했지만, 그리고 스스로도 정식 감독으로 올라간다고 알고 있었지만, 결국 정식 감독에 오르지 못했다. 서정환에게 밀렸는데, 이유는 서정환이 해태 시절 우승을 많이 해서 한국시리즈에 약한 팀 체질을 개선시킬 적임자로 여겼다는 후문.[17] 그러나 조창수는 광주일고, 해태, 롯데, LG에서 모두 한번씩 우승했다는 게 함정 물론 그 뒤의 역사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국 감독대행만 세 번하고, 정식 감독에는 오르지 못했다.

감독대행 직에서 물러난 뒤, SK 와이번스의 수석코치와 2군 감독, 모교 경북고의 감독을 지냈다. 그리고 그 뒤로는 완전한 야인으로 지내고 있다. 근래 나오는 뉴스는 부인과 두 딸에 관한 뉴스에 같이 취급되는 정도다.

4. 가족관계

5. 여담

6. 관련 문서


[1]대구광역시[2] ~4월 28일[3] 4월 29일~[4] ~5월 7일[5] 5월 8일~[6] ~7월 23일[7] 7월 24일~[8] ~8월 11일[9] 8월 12일~[10] 1967년 대통령배, 청룡기 및 1968년 대통령배, 청룡기, 황금사자기. 당시 서울에서 개최한 전국대회는 3개 뿐이라 사실상의 전관왕이라고 할 수 있다. 봉황대기는 1971년에 창설됐으며 초대 우승을 경북고가 차지했다.[11] 2차 전성기는 1970년대 중반의 이선희, 황규봉 시대. 3차 전성기는 1981년 3관왕(청룡기, 황금사자기, 봉황대기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성준류중일이 이끌던 멤버들.[12]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방수원이 술회하길 이 당시 방수원이 선동열에게 슬라이더를 가르치려고 하자 '어째 잘 던지는 애한테 가르치려고 하냐. 그러지 말아라'고 했지만 '너한텐 이게(슬라이더) 필수품목인것 같다'고 하면서 몰래 가르쳤다고 한다. 결국 당시 배운 슬라이더는 이후 선동열의 주무기가 되어 한국 야구 최강의 투수로 군림하는 데 기여했다.[13] 이 때 조창수의 나이는 만 33세 9일로 지금까지 KBO 역대 최연소 감독대행 기록을 갖고 있다. 2021년 시즌 롯데 자이언츠래리 서튼 감독이 자녀의 코로나 19 확진으로 자가격리(6/24 ~ 7/8)에 들어가면서 그 기간 수석코치인 최현이 감독대행을 맡으며 33세 5개월로 그 뒤를 잇게 되었다.[14] 백인천은 뒷날 뇌출혈과 스트레스로 도저히 감독직을 수행하기 힘들어서 자진 사임했다고는 하는데, 롯데 감독으로 다시 부임한 것을 보면, 꼭 그런 것만은 아닌 듯 하다. 그러나 롯데 감독으로 부임하던 2002년까지 5년의 공백이 있었다는 것을 보면 어찌어찌 병세가 회복된 모양이다.[15] 그것도 2연패 뒤 2연승을 기록했고, 5차전에서도 6회까지 2-0으로 앞서면서 한국시리즈 진출을 눈앞에 두었는데, 포수 김영진의 포구 실책을 저지른 것이 도화선이 되어 무려 7실점(...)하면서 역전패하면서 2승 3패가 된 것이었다.[16] 또한 5차전씩이나 치르며 간신히 한국시리즈에 올라간 LG도 정규시즌에서 불과 1.5게임차로 뒤졌던 해태와의 한국시리즈에서 1승 4패로 맥없이 물러난다.[17] 그 외에도 플레이 오프 2차전에서 잘 던지던 박동희를 강판시키고 성준을 올려 서용빈에게 끝내기 안타를 맞고 패하는 어이없는 투수교체가 감독으로 승격되지 못한 원인인듯 하다.[18] 조창수 감독이 4살 연상이다. 이 정도면, 원래 남자가 먼저 들이대지 않던가.[19] 이후 이재우-이영주 커플이 두번째 야구-배구 부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