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05:08:11

미키 17


봉준호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width=33.33%><bgcolor=#0b6c08> 파일:플란다스의개.png ||<width=33.33%><bgcolor=#121212> 파일:살추.png ||<width=33.33%><bgcolor=#5d5d5d> 파일:영화괴물.png ||
파일:마더 (1).png 파일:설국열차.png 파일:옥자.png
파일:기생충.png 파일:미키17.png

상세정보 링크 열기
한국 개봉일까지 D[dday(2025-02-28)]
<colbgcolor=#cdd1c9,#101010><colcolor=#000,#fff> 미키 17 (2025)
Mickey 17
파일:미키 17 메인 포스터.jpg
북미 포스터 ▼
파일:미키 17_영어 메인 포스터.jpg
장르 SF, 모험, 드라마, 블랙 코미디, 디스토피아
감독 봉준호
각본
원작 에드워드 애슈턴 - 소설 《미키7[1]
제작 봉준호
디디 가드너
제레미 클레이너
최두호[2]
기획 브래드 피트
메리앤 젠킨스
주연 로버트 패틴슨
촬영 다리우스 콘지
편집 양진모[3]
음악 정재일[4]
미술 피오나 크롬비[5]
의상 캐서린 조지
세트 앨리스 펠튼
촬영 기간 2022년 8월 2일 ~ 2022년 12월 5일
제작사 오프스크린
케이트 스트리트 픽쳐스
플랜 B 엔터테인먼트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5년 3월 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2월 2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5년 3월 28일
화면비 1.85:1
상영 타입 2D | IMAX | 4DX | ScreenX | Dolby Cinema
상영 시간 137분 (2시간 16분 48초)
제작비 8,000만~1억 5,000만 달러[6]
월드 박스오피스
북미 박스오피스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스트리밍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영륜 G 로고.svg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7. 줄거리8. 사운드트랙9. 평가10. 흥행
10.1. 대한민국10.2. 북미
11. 기타

[clearfix]

1. 개요

오늘도 죽으러 갑니다
인류를 위해

HE'S DYING TO SAVE MANKIND
2025년 2월 28일에 개봉하는 봉준호 감독의 8번째 장편 영화. 복제인간을 소재로 한 에드워드 애슈턴의 SF 소설 《미키7》을 원작으로 한다.

제7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베를리날레 특별 상영 부문 초청작.

2. 개봉 전 정보

3. 포스터

파일:미키 17_영어 포스터.jpg 파일:미키 17_영어 메인 포스터.jp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1000025508.jpg 파일:미키 17 메인 포스터.jp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

4. 예고편

티저 예고편[18]
한국 공식 예고편
2차 예고편
북미 공식 예고편
BGM: 딘 마틴 - Ain't That A Kick In The Head

5. 시놉시스

위험한 일에 투입되는 소모품(익스펜더블)으로, 죽으면 다시 프린트되는 ‘미키’가 17번째 죽음의 위기를 겪던 중, 그가 죽은 줄 알고 ‘미키 18’이 프린트되면서 벌어지는 예측불허의 이야기를 그리는 영화

6. 등장인물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9.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10. 흥행

10.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2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

10.2. 북미

11. 기타


[1] 출판사 황금가지에서 7월 25일 출간되었다.[2] 한국영화아카데미 15기 출신의 프로듀서로, 봉준호 감독의 전작인 〈설국열차〉와 〈옥자〉의 제작에도 참여했다. 참고로 봉준호는 한국영화아카데미 11기로, 영화감독으로 데뷔한 때부터 이미 알고 지낸 사이다.[3] 영화 〈뷰티 인사이드〉, 〈부산행〉, 〈밀정〉, 〈럭키〉, 〈옥자〉, 〈1987〉, 〈독전〉, 〈기생충〉, 〈〉, 〈인생은 아름다워〉 등의 편집감독이다.[4] 봉준호 감독과 〈옥자〉, 〈기생충〉에서 호흡을 맞추었고, 드라마 〈오징어 게임 시리즈〉의 음악감독을 맡았다.[5] 영화 〈맥베스〉,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더 킹: 헨리 5세〉, 〈크루엘라〉, 〈보 이즈 어프레이드〉 등의 미술감독이다.[6] 최소와 최대 범위만 공개됐고, 정확한 제작비는 공개되지 않았다. 최신 기사는 추측성에 지나지 않는다.[7] 25만평 규모의 초대형 스튜디오로, 대규모의 세트장 건설이 필요한 영화 제작에 적합한 스튜디오로 알려져 있다. 이곳에서 촬영된 영화들 대부분 1억 달러 이상의 제작비가 투입되었다. #[8] 빡빡한 일정을 소화하면서도 항상 미래에 대한 걱정 때문에 제대로 쉴 수가 없다고 하는데, 이런 성격은 유전적인 것으로, 자신의 아버지도 휴일을 잘 즐기지 못하는 분이었다고 덧붙였다.[9] 2024년은 주요 IMAX 개봉작이 이미 정해져 있기에 본작이 들어갈 자리가 없다.[10] 물론 미국의 R등급은 한국의 청불 등급과는 달리 미성년자도 보호자를 동반하면 관람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11] 안 그래도 같은 R등급 영화였던 〈조커: 폴리 아 되〉가 완전히 망해버리면서 더욱 불만을 가질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12] 다만, 타 영화사이나 진중한 분위기에 R등급으로 흥행에 대성공한 〈오펜하이머〉의 사례도 있다.[13] 그 전날에는 예고편을 예고하는 17초짜리의 짧은 영상이 공개되었다. #[14] 마이클 잭슨의 전기 영화[15] 봉준호는 비록 비경쟁 부문인 포럼 부문이기는 했지만 설국열차를 베를린에 출품한 적이 있다.[16] 앞서 언급된 두 작품 모두 흥행 수익 7억불의 흥행 성적을 내었으며, 두 작품 각각 제작비 2억불과 1억 9000만불로, 앞선 본 작보다도 많은 제작비가 투입되었으면서도, 상반기의 좋은 흥행세를 이끌어내어, 비수기에도 평가와 화제성만 있다면 흥행 성공을 바라볼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 셈이다.[17] 2024년 3월〈듄: 파트 2〉이후 몇 주뒤에 공개된 같은 배급사의 작품 〈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가 시리즈 최고의 흥행 성적을 달성했고, 같은 시기에 경쟁작인 〈쿵푸팬더 4〉 역시 좋은 흥행 성적을 내며, 3월 개봉은 작품성이나 상품성 및 화제성만 높다면 흥행 성공을 바라보기 좋은 시즌이 되었다.[18] 배경 음악은 레이 첸이 연주한 주세페 타르티니의 '악마의 트릴' 소나타 - 3악장: Allegro Assai이다. #[19] 넷플릭스 시리즈 〈빌어먹을 세상 따위 시즌2〉, 영화 〈레이디 맥베스〉,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에 출연한 배우.[20] 데뷔 이래 최초로 악역을 연기했다고 한다.[21] 영국 맨체스터 출신의 1988년생 배우. 영화보다는 TV드라마 쪽의 경력이 많다. IMDB 디즈니 실사판 〈신데렐라〉에서 못된 언니 아나스타샤 역으로 출연했으며 드라마 〈보르지아〉에서 루크레치아 보르지아 역으로 나온 적이 있다.[22] 2021년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작 〈레벤느망〉 주연 프랑스 배우. 당시 봉준호가 베니스 영화제 심사위원장이었다.[23]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24] 양적 MRI 등 영상과학 분야를 공부하면서 대학에서 양자물리학을 가르치는 교수이기도 하다.[25] 한국인 부모 밑에서 한국에서 태어났으나 5살때 미국으로 이민을 가 미국 국적자이다.[26] 정확한 수치는 미정이다.[27] 역대 한국 영화 중 제작비 1위다.[28] 한국계 감독으로 범위를 넓히면 정이삭의 〈트위스터스〉(1억 5,500만 달러)가 최고 제작비다. 공교롭게도 두 작품 모두 워너 브라더스 배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