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베를린 영화제 | ||||
제74회 (2024년) | → | 제75회 (2025년) | → | 제76회 (2026년)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쟁 부문 상 | 황금곰상, 심사위원대상, 심사위원상, 감독상, 주연상, 조연상, 각본상, 예술공헌상 ※ 폐지된 상 : 알프레드 바우어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 |
역대 영화제 | 1980년대 | 30회, 31회, 32회, 33회, 34회, 35회, 36회, 37회, 38회, 49회 | |
1990년대 | 40회, 41회, 42회, 43회, 44회, 45회, 46회, 47회, 48회, 49회 | ||
2000년대 | 50회, 51회, 52회, 53회, 54회, 55회, 56회, 57회, 58회, 59회 | ||
2010년대 | 60회, 61회, 62회, 63회, 64회, 65회, 66회, 67회, 68회, 69회 | ||
2020년대 | 70회, 71회, 72회, 73회, 74회, 75회 | ||
※ 역대 심사위원 |
2025년 제7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 |
▲ 공식 포스터 | |
개최기간 | 2025년 2월 13일 ~ 2월 23일 |
개최장소 | 독일 베를린 테아터 암 포츠다머 플랏츠 Theater am Potsdamer Platz(Berlinale Palast) |
심사위원장 | 토드 헤인즈 |
개막작 | 《더 라이트》 |
황금곰상 | |
홈페이지 | 공식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2025년 제7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2025년 2월 13일부터 2월 23일까지 개최된다.2. 개최 과정
- 2024년 12월 5일, 톰 티크베어의 장편 영화 '더 라이트(Das Licht)'가 개막작으로 선정되었다. #
- 2024년 12월 17일, 회고전 부문 최종 라인업이 발표되었다. 또 제너레이션 부문, 베를리날레 특별 상영 부문, 파노라마 부문의 일부 라인업이 발표되었다.
- 2024년 12월 19일, 공식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 2025년 1월 9일, 포럼 익스펜디드 부문과 포럼 스페셜 부문 라인업이 발표되었다.
- 2025년 1월 13일, 베를리날레 클래식과 베를리날레 단편 경쟁 부문 라인업이 발표되었다.
- 2025년 1월 16일, 포럼 부문 메인 프로그램, 제너레이션 부문, 베를리날레 특별 상영 부문, 파노라마 부문의 라인업이 발표되었다.
3. 심사위원
3.1. 경쟁 부문
- 토드 헤인즈 - 심사위원장, 미국의 영화감독, 각본가, 영화 제작자
- 판빙빙 - 중국의 배우
- 마리아 슈라더 - 독일의 배우, 영화감독
- 로드리고 모레노 - 아르헨티나의 영화감독
- 나빌 아유쉬 - 모로코의 영화감독
- 비나 다이겔러 - 독일의 의상 디자이너
- 에이미 니콜슨 - 미국의 영화 평론가, 작가
3.2. 퍼스펙티브 부문
4. 공식부문
4.1. 경쟁 부문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아리 | Ari | 레오노르 세라이예[1] | 프랑스, 벨기에 |
블루 문 | Blue Moon | 리처드 링클레이터 | 멕시코, 미국 |
세이프 하우스 | La cache | 라이오넬 바이에르[2] | 스위스, 룩셈부르크, 프랑스 |
드림스 | Dreams | 미첼 프랑코 | 멕시코 |
드림스 (섹스 러브) | Drømmer | 다그 요한 하우거루드[3] | 노르웨이 |
그 자연이 네게 뭐라고 하니 | 그 자연이 네게 뭐라고 하니 | 홍상수 | 대한민국 |
핫 밀크 | Hot Milk | 레베카 렌키윅츠[4] | 영국 |
내가 다리가 있으면 널 차버릴꺼야 | If I Had Legs I'd Kick You | 메리 브론스타인[5] | 미국 |
콘티넨탈 '25 | Kontinental '25 | 라두 주데 | 루마니아 |
메시지 | El mensaje | 이반 푼드[6] | 아르헨티나, 스페인 |
마더스 베이비 | Mother's Baby | 요하나 모더 | 오스트리아, 스위스, 독일 |
죽은 다이아몬드에 비친 모습 | Reflet dans un diamant mort | 헬렌 카테, 브루노 포르자니[7] | 벨기에, 룩셈부르크, 이탈리아, 프랑스 |
삶의 터전 | 生息之地 | 곽맹 | 중국 |
타임스탬프 | Strichka chasu | 카테리나 고르노스타이[8] | 우크라이나,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프랑스 |
얼음탑 | La Tour de Glace | 뤼실 하지할릴러비치[9] | 프랑스, 독일 |
블루 트레일 | O último azul | 가브리에우 마스카루[10] | 브라질, 멕시코, 네덜란드, 칠레 |
마리엘이 아는 것 | Was Marielle weiß | 프레데릭 함발렉 | 독일 |
날고 싶은 여자 | 想飞的女孩 | 비비안 취[11] | 중국 |
유난 | Yunan | 아미르 파케르 엘딘 | 독일, 캐나다, 이탈리아, 팔레스타인, 카타르,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
4.2. 퍼스펙티브 부문
※ 인카운터스 부문이 2025년부터 폐지되었고 데뷔작이 경쟁하는 퍼스펙티브로 대체되었다.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4.3. 베를리날레 특별 상영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Ancestral Visions of the Future | Ancestral Visions of the Future | 레모항 예레미아 모세세 | 레소토, 프랑스, 독일, 사우디아라비아 |
Honey Bunch | Honey Bunch | 마들렌 심즈 퓨어, 더스티 맨치넬리 | 캐나다 |
Islands | Islands | 쟌 올 거스터 | 독일 |
All I Had Was Nothingness | Je n’avais que le néant - "Shoah" par Lanzmann | 기욤 리봇 | 프랑스 |
Köln 75 | Köln 75 | 이도 플럭 | 독일, 폴란드, 벨기에 |
더 라이트[개막작] | Das Licht | 톰 티크베어[13] | 독일 |
The Best Mother in the World | A melhor mãe do mundo | 안나 무이라에르트[14] | 브라질, 아르헨티나 |
미키 17 | Mickey 17 | 봉준호 | 미국 |
먼 북으로 가는 좁은 길[15] | The Narrow Road to the Deep North | 저스틴 커젤 | 호주 |
파과 | 파과[16] | 민규동 | 대한민국 |
쇼아 | Shoah | 클로드 란츠만 | 프랑스 |
The Thing with Feathers | The Thing with Feathers | 딜리안 서던 | 영국 |
4.4. 베를리날레 단편 경쟁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4.5. 파노라마 부문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4.6. 포럼 부문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4.7. 제너레이션 부문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4.8. 베를리날레 클래식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더티 해리 (8K) | Dirty Harry | 돈 시겔 | 미국 |
지옥의 천사들 | Hell's Angels | 하워드 휴즈, 제임스 웨일 | 미국 |
Smile at Last | Naerata ometi | 레이다 라이우스, 아르보 이호 | 에스토니아 |
패러다인 부인의 재판 | The Paradine Case | 앨프리드 히치콕 | 미국 |
세이사쿠의 아내 | 清作の妻 | 마스무라 야스조 | 일본 |
신녀 | 神女 | 오영강 | 중국 |
솔로 써니 | Solo Sunny | 콘라트 볼프 | 동독 |
Dressed in Blue | Vestida de azul | 안토니오 히메네스 리코 | 스페인 |
4.9. 회고전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Bloody Friday | Blutiger Freitag | 에머슨 폭스 | 독일, 이탈리아 |
데드락 | Deadlock | 롤란트 클리크 | 독일 |
우리들 중의 하나, 또는 다른 사람 | Einer von uns beiden | 볼프강 페테르젠 | 독일 |
Spare Parts | Fleisch | 라이너 얼러 | 독일 |
Strange City | ''Fremde Stadt' | 루돌프 돔 | 독일 |
Hat Off When You Kiss | Hut ab, wenn du küsst! | 롤프 로산스키 | 독일 |
요나탄 | Jonathan | 한스 W. 가이센되르퍼 | 독일 |
레이디 드라큘라 | Lady Dracula | 프란츠 조세프 고티엡 | 독일 |
The Brutes | Mädchen mit Gewalt | 로거 프리츠 | 독일 |
The Girls from Atlantis | Männer sind zum Lieben da | 에크하트 슈미트 | 독일 |
Carnations in Aspic | Nelken in Aspik | 귄터 라이쉬 | 독일 |
Don’t Cheat, Darling! | Nicht schummeln, Liebling! | 요아킴 하슬러 | 독일 |
지옥의 오르페 | Orpheus in der Unterwelt | 호르스트 보넷 | 독일 |
Rocker | Rocker | 클라우스 렘크 | 독일 |
Tenderness of the Wolves | Die Zärtlichkeit der Wölfe | 울리 로멜 | 독일 |
5. 수상
5.1. 공식부문
<경쟁부문>- 황금곰상:
- 은곰상 : 심사위원대상:
- 은곰상 : 심사위원상:
- 은곰상 : 감독상:
- 은곰상 : 각본상:
- 은곰상 : 주연상:
- 은곰상 : 조연상:
- 은곰상 : 예술공헌상:
<퍼스펙티브>
- 작품상
- 특별 심사위원상
- 감독상
<GWFF 데뷔작 상>
- 작품상
- 특별 언급상
<베를리날레 다큐멘터리 상>
- 작품상
- 특별 언급상
<국제 단편 영화상>
- 단편 황금곰상
- 은곰 심사위원상
- 국제 단편 심사 특별언급상
<제너레이션 14플러스>
- 수정곰상
- 특별언급상 -
- 단편 수정곰상
- 단편 특별언급상
- 국제심사위원 대상
- 특별언급상
- 단편 국제심사위원 특별상
- 단편 특별언급상 -
<제너레이션 K플러스>
- 수정곰상 -
- 특별언급상 -
- 단편 수정곰상 -
- 단편 특별언급상 -
- 국제심사위원 대상 -
- 특별언급상 -
- 단편 국제심사위원 특별상 -
- 단편 특별언급상 -
<명예 황금곰상> - 틸다 스윈튼
5.2. 독립부문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테디상>
<관객상>
6. 여담
- 미국의 프로그래머 트리시아 터틀이 처음으로 이끄는 베를린 국제 영화제다. 터틀은 2024년 4월 베를린 영화제 집행위원장으로 취임했다. 참고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BFI 런던 영화제의 수장이기도 했다. #
[1] 데뷔작 《처음 만난 파리지엔》으로 제70회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받아 황금카메라상을 수상했고, 《마더 앤 선》으로 제75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받은 바 있다.[2] 스위스의 영화 감독으로, 《또 다른 남자》, 《엄마는 여자를 사랑해》 등을 감독했다. 스위스 로잔 예술 대학교의 영화학과 교수를 역임하면서 장뤽 고다르의 인스타그램 라이브 인터뷰에서 진행을 맡기도 했다. #.[3] 제7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파노라마 부문 및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상영작 《어바웃 섹스》와 제81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및 제29회 부산국제영화제 상영작 《사랑일까요》 감독. 앞선 두 작품과 이 작품을 통해 3부작을 구성했다.[4] 영국의 극작가로 이다, 콜레트, 그녀가 말했다 등의 각본을 썼다. 본작이 연출 데뷔작.[5] 미국의 배우이자 감독. 사프디 형제 협업자인 로널드 브론스타인의 아내다. 본작도 로널드와 사프디 형제 사단이 제작에 참여했다. 멈블코어계 독립 영화 《이스트》로 장편 연출 데뷔한 적 있으며 이 작품이 두번째 연출작이다.[6] 아르헨티나의 촬영 감독 출신 영화 감독으로, 제63회 칸 영화제 주목할만한 시선 여우주연상 수상작 《입술》이나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 상영작 《더스크 스톤》 등을 연출했다.[7] 둘이 콤비를 이루어 활동하는 감독으로, 지알로 장르를 화려하게 재해석한 《아메르》, 《네 몸에서 흐르는 눈물의 이상한 색깔》, 《시체들을 태우라》 같은 작품들로 유명해졌다.[8] 우크라이나의 감독으로, 장편 데뷔작 《스톱-젬리아》가 제23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9] 보스니아 출신의 프랑스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로, 《에볼루션: 새로운 탄생》 등을 감독했다. 가스파 노에의 아내이기도 하다.[10] 브라질의 시각 예술가이자 영화 감독. 두번째 연출작 《네온 불》로 제7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오리종티 부문 특별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11] 중국의 영화 프로듀서 및 감독. 댜오이난의 영화 백일염화를 제작하기도 했으며 두번째 연출작 《천사는 흰 옷을 입는다》로 제7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받은 바 있다.[개막작] [13] 롤라 런, 향수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등을 감독했다.[14] '세컨드 마더' 감독.[15] TV 시리즈. 호주의 작가 리처드 플래너건이 쓴, 2014년 부커 상을 수상한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16] 영제는 'The Old Woman with the Kn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