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브레드 이발소의 주인공}}}에 대한 내용은 [[브레드 피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브레드 피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브레드 피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브레드 이발소의 주인공: }}}[[브레드 피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브레드 피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브레드 피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if 넘어옴1 != null
'''빵형'''{{{#!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별명이 빵형인 전직 야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박재홍]]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박재홍#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박재홍#|]]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별명이 빵형인 전직 야구선수: }}}[[박재홍]]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박재홍#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박재홍#|]]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494949><colcolor=#fff> 브래드 피트 Brad Pitt | |
| |
이름 | 윌리엄 브래들리 피트 William Bradley Pitt |
출생 | 1963년 12월 18일 ([age(1963-12-18)]세) |
오클라호마 주 쇼니 | |
출신 | 미주리 주 스프링필드[1] |
국적 |
|
신체 | 180cm[2], 80kg, B형 |
학력 | 미주리 대학교 (언론학 / 중퇴) |
자녀[3] | 장남 매독스 치반 졸리(2001년 8월 5일생)[4] 차남 팍스 티엔 졸리(2003년 11월 29일생)[5] 장녀 자하라 말리 졸리(2005년 1월 8일생)[6] 차녀 샤일로 졸리(2006년 5월 27일생)[7] 삼녀 비비안 마셰린 졸리(2008년생)[8] 삼남 녹스 레온 졸리(2008년생)[9] |
활동 | 1987년 ~ 현재 |
종교 | 무종교 (불가지론) |
서명 |
1. 개요
미국의 배우, 영화 프로듀서.2. 인기 및 위상
|
61세, 제48회 세자르 시상식에서의 모습 |
1990년대 이후 현재까지 할리우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배우 중 한 명이다.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할 정도의 연기력을 갖췄음은 물론[10] 근래에 들어서는 연기 활동을 넘어 본인 소유의 제작사 PLAN B를 통해 영화 제작 분야에서도 인상적인 활약을 보이고 있다.
브래드 피트는 신인 때부터 할리우드 내에서 돋보이는 외모[11]로 주목을 받았으며, 그에 그치지 않고 2020년 기준 중년기에 접어든 이후에도 영화에 대한 지속적인 애정과 헌신을 바탕으로 주연은 물론 조연과 카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출연을 통해 꾸준한 연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12]
뛰어난 스타성을 지닌 배우이지만 상대적으로 흥행 성적 측면에서는 저평가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한국에서는 이러한 인식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이는 전 세계 흥행 수익을 기준으로 한 평가로, 북미 시장만을 기준으로 할 경우 톰 크루즈, 윌 스미스, 조니 뎁 등 동시대의 주요 배우들과 견주어도 결코 뒤처지지 않는 흥행 성과를 보여준다. 그의 출연작들은 대체로 북미 지역에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정서와 서사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블록버스터 영화라 하더라도 아시아권 관객들에게는 상대적으로 낮은 호응을 얻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브래드 피트는 동시대를 대표하는 배우들에 비해 아시아권에서의 티켓 파워가 다소 약하다는 평가를 받는다.[13]
3. 연기력
|
브래드 피트는 단순한 대중적 스타에 그치지 않고 연기력 자체로도 비평가들의 꾸준한 인정을 받아왔다. 실제로 그는 미국의 대표적 비평가 협회 세 곳을 일컫는 Trifecta[14] 가운데 로스앤젤레스 비평가 협회를 제외한 두 협회의 시상식에서 여러 차례 연기 부문 수상을 기록하였다.[15]
연기에 필요한 기초적 조건들을 고루 갖춘 배우로 평가된다. 뛰어난 외모와 신체 비율, 소년미와 중후함이 공존하는 단단한 목소리, 부각되는 눈동자 등은 그의 연기적 표현을 뒷받침하는 요소들이다. 이러한 특성들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그는 폭넓은 역할 소화력을 발휘하며 다양한 장르와 캐릭터를 소화하는 데 강점을 보인다.
그의 연기적 특성 중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은 ‘눈빛 연기’이다. 라이언 고슬링, 양조위, 톰 크루즈 등과 함께 섬세한 시선 연기로 감정을 전달하는 배우로 자주 언급되며, 이는 그의 외모적 특성 중 눈동자가 특히 부각되는 점과도 관련이 있다. 초기작 《세븐》의 '데이비드 밀스' 역을 통해 이러한 특성이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이후 《애드 아스트라》에서는 눈빛을 통해 복잡한 내면을 표현하는 고도의 감정 연기를 선보여 호평을 받았다.[16]
브래드 피트는 주로 강한 퍼포먼스보다는 캐릭터가 보여야 할 동작, 자세, 태도 등을 정교하게 표현함으로써 인물의 현실성을 높이는 연기를 한다. 영화 《스내치》에서는 껄렁거리는 성격의 아일랜드 집시 '미키' 역을 맡아 본인의 실제 모습과는 전혀 다른 인물을 구현해냈고, 영국을 떠돌아다니는 아일랜드 집시 건달을 사실적으로 묘사해 강한 몰입감을 이끌어냈다. 《머니볼》에서는 실존 인물인 '빌리 빈'을 세밀하게 재현하는 메소드 연기를 선보였으며, 이 영화는 그의 커리어 중 가장 뛰어난 연기 중 하나로 자주 언급된다.[17]
과시적 표현보다는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연기 스타일로 인해 대중들에게서는 연기력 측면에서 오랜 시간 저평가를 받았다. 이동진 평론가는 연기력 부분에서 저평가를 받는 배우로 톰 크루즈와 함께 브래드 피트를 언급했다.[18] 브래드 피트는 캐릭터 몰입 중심의 리얼리즘 연기를 추구하는 배우로 분류되며, 그의 연기 접근 방식은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비교할 때 특히 뚜렷하게 대비된다.
4. 생애
4.1. 어린 시절 ~ 1990년대
| |
브래드 피트의 어린 시절 |
미주리 대학교에서 언론학을 전공했으나 졸업을 불과 2주 앞둔 시점에 영화에 대한 열정을 느끼고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했다. 이후 LA에서 그래픽 공부를 하며 배우의 꿈을 키워갔고, 다양한 아르바이트를 하며 생계를 이어갔다. 엑스트라 모집 광고에 지원하며 인형탈 알바, 스트립 댄서의 리무진 운전, 냉장고 배달 등 여러 아르바이트를 경험했다. 유명 호러 영화 《환타즘》(1979)의 '마이크' 역 오디션에 도전했지만 탈락한 바 있다.
데뷔작은 1987년 코미디 영화 《헝크》의 엑스트라 역이다. 이후 여러 영화에 엑스트라로 출연했고, 인기 TV 시리즈 《달라스》에 단역으로 출연했으나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슬래셔 호러 영화 《커팅 클래스》(1989)에서는 비교적 비중 있는 배역을 맡았다.[19] 사실상 첫 주연작은 1988년에 유고슬라비아에서 촬영된 영화 《다크 사이드 오브 선》이지만, 현지 내전으로 인해 필름이 유실되면서 개봉이 한참 지연되었고, 결국 이 영화는 1997년에 이르러서야 공개되었다.
| |
영화 《델마와 루이스》에서의 모습 |
그러다 마침내 1991년, 리들리 스콧 감독의《델마와 루이스》에서 여주인공을 유혹하는 매력적인 도둑 'J.D.' 역을 맡으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섹시하면서도 보호 본능을 자극하는 이미지로 강한 인상을 남기며 '제2의 제임스 딘'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이후 실사와 애니메이션을 결합한 영화 《쿨 월드》(1992)에서 주연을 맡았으나 영화가 상업적으로 실패하며 커리어에 일시적인 타격을 받았다. 그러나 곧 로버트 레드포드 감독의 《흐르는 강물처럼》에 주연으로 발탁되는 행운을 얻었다. 해당 영화는 흥행 면에서는 다소 아쉬운 성적을 거뒀지만 비평적으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브래드 피트가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단편 영화 《투 영 투 다이》를 계기로 줄리엣 루이스와 연인 관계를 맺었으며, 이후 그녀와 함께 로드 무비《칼리포니아》(1993)에 출연했다. 이 영화에서 브래드 피트는 잔혹한 연쇄 살인범 '얼리 그레이스' 역을 맡아, 줄리엣 루이스(아델 코네스 역)의 눈앞에서 거리낌 없이 살인을 저지르는 인물을 연기하며 강렬한 존재감으로 영화를 이끌어갔다.
《뱀파이어와의 인터뷰》(1994)에서 당대 최고의 톱스타였던 톰 크루즈와 함께 주연을 맡았고,《가을의 전설》(1994)을 통해 일약 세계적인 스타가 되었다. 이후 성서의 7대 죄악을 바탕으로 전개되는 범죄 스릴러 《세븐》(1995)에서 희대의 살인마를 뒤쫓는 강력계 형사 '데이비드 밀스' 역을 맡아 감정적인 폭발력과 극적인 긴장감을 전달하는 연기를 선보였으며, 모건 프리먼과의 연기 호흡은 언론과 비평가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테리 길리엄 감독의 《12 몽키즈》(1996)에서 정신 질환을 앓는 수감자 '제프리 고인스' 역[20]을 연기하여 골든글로브 남우조연상을 수상했으며,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후보로도 지명되었다. 《세븐》에서의 냉철한 형사 역과는 상반되는 광기 어린 연기를 선보이며 브래드 피트의 연기 스펙트럼을 확장한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된다.
1998년에는 로맨스 영화 《조 블랙의 사랑》에 출연하여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여러 명장면을 만들었다. #
| |
영화 《세븐》에서의 모습 | |
| |
영화 《파이트 클럽》에서의 모습 |
《세븐》(1995)의 감독인 데이비드 핀처와 다시 협업하여 영화 《파이트 클럽》(1999)의 '타일러 더든' 역을 맡으며 공동 주연을 맡은 배우 에드워드 노튼과 함께 큰 호평을 받았다. 해당 영화에서 보여준 멋진 체형과 이미지로 인해 다수의 대중 매체로부터 '올해의 가장 섹시한 남성'으로 선정되었다.
4.2. 2000년대 이후
▲ 《스내치》(2000)에서.
톱스타 반열에 오른 이후부터 작품을 고를 때 흥행 가능성보다는 개인적인 취향과 창작적 흥미를 바탕으로 작품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예로 가이 리치 감독의 《스내치》(2000)가 있다. 브래드 피트가《록 스탁 앤 투 스모킹 배럴즈》를 인상 깊게 본 뒤 가이 리치 감독에게 차기작 출연 의사를 직접 전달하였고, 제작사의 재정 상태에 맞춰 출연료를 자진 삭감하면서까지 출연을 성사시켰다.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중견 배우에 들어선 2002년부터는 본인의 제작사인 PLAN B를 설립하여 제작자로서의 역할도 병행하기 시작했다.[21] 2014년에《노예 12년》의 제작자로서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했다.[22]
2000년 7월 29일, 배우 제니퍼 애니스턴과 결혼했으나 5년 만인 2005년에 이혼했다.[23]
2001년에 하이스트 영화 《오션스 일레븐》의 '러스티 라이언' 역을 맡았다. 절제된 유머와 침착한 태도를 바탕으로 장르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해냈으며, 음식을 먹는 장면을 통해 캐릭터의 개성을 드러내는 연기로도 호평을 받았다.
|
영화 《트로이》에서의 모습 |
2004년에는 호메로스의 서사시 《일리아스》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트로이》에 '아킬레우스' 역으로 출연했다. 이 영화에서 브래드 피트는 절도 있고 강인한 동작을 통해 아킬레우스의 이미지를 현실감 있게 구현해내 호평을 받았으며, 특히 헥토르와의 결투 장면은 훌륭한 신체적 표현과 액션 연출로 인해 영화사에서 가장 인상적인 결투 장면 중 하나로 자주 언급된다.
|
영화 《미스터 & 미세스 스미스》에서의 모습 |
영화 《미스터 & 미세스 스미스》(2005)에 함께 출연한 안젤리나 졸리와 연인이 되었다. 안젤리나 졸리와 함께 연예계 활동 외에도 사회 공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24] 특히 졸리-피트 재단은 아프리카 지역의 빈곤층을 위한 거주지, 식수, 교육, 의료 등의 지원 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캄보디아, 케냐, 아프가니스탄 등지에 15개 이상의 아동 교육 시설을 설립하였다. 에티오피아에서는 HIV 감염 아동을 위한 자하라 어린이 병원을 건립하기도 하였다.
두 사람은 법적으로 결혼하지 않은 상태에서 2006년 5월 27일, 나미비아에서 딸 샤일로 누벨 졸리피트를 낳았으며, 2년 후인 2008년에는 이란성 쌍둥이 비비언 마르셀린 졸리피트와 녹스 리언 졸리피트를 출산했다. 안젤리나 졸리가 이전에 입양한 캄보디아 출신의 매독스, 베트남 출신의 팍스, 에티오피아 출신의 자하라를 법적 자녀로 입양하며 여섯 명의 자녀를 함께 양육하게 되었다.
2009년부터 계속하여 결별설이 제기되었으나 공식 대변인을 통해 이러한 보도에 대해 부인하였다. 2012년 4월 13일에 약혼했으며, 2014년 8월 23일 프랑스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관련 기사
|
영화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에서의 모습 |
2007년, 영화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에서의 연기로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볼피컵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이는 그의 생애 첫 유수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이었다. 이 영화에서 그는 실존 인물인 악명 높은 강도 '제시 제임스'로 분해 그의 잔인한 성격과 정신적인 불안을 섬세한 연기로 그려내었다.
2007년, 2008년, 2009년, 3년 연속으로 포브스 선정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예인 100인'에 이름을 올렸으며, 각각 5위, 9위, 9위를 차지하였다. #
▲ 《번 애프터 리딩》(2008)에서.
2008년 코엔 형제가 연출한 블랙 코미디 영화 《번 애프터 리딩》이 개봉하였다. 이 영화는 브래드 피트의 넓은 연기 폭을 증명하는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이며, 그의 코미디 연기 재능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 그는 이 작품으로 2009년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조연상 후보에 지명되었다.[25][26]
2009년 제81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로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으며, 2012년에는《머니볼》을 통해 다시 한 번 같은 부문 후보에 올랐다.
|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페르소나로 자주 언급된다.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영화《세븐》, 《파이트 클럽》,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등에서 주연으로 출연하며 감독의 연출 스타일과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데 기여했다. 데이비드 핀처 감독은 자신의 작품에서 브래드 피트를 주연 후보로 항상 염두에 둘 정도로 그에게 높은 신뢰를 보여왔으며, 과거에는 브래드 피트의 결혼식에서 카메라맨을 맡기도 했다. 무산된 프로젝트이긴 하나 브래드 피트가 제작 겸 주연을 맡을 예정이었던 《월드워Z》의 속편의 감독으로 내정되기도 했다.
영화 촬영 현장에서는 배우로서의 위상과 별개로 스태프 및 엑스트라들과도 적극적으로 교류하며 친화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유명 배우들이 촬영 외 시간에 트레일러에 머무는 반면, 브래드 피트는 촬영 현장에서 영화계 진출을 꿈꾸는 이들과 조언을 나누거나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었다고 전해진다.
2015년에는 부인인 안젤리나 졸리가 감독과 각본을 맡은 영화《바이 더 씨》에 그녀와 함께 부부로 출연하였으며, 2008년 세계금융위기를 다룬 영화 《빅쇼트》[27]에도 출연했다. 호평받은 《빅쇼트》와 달리 《바이 더 씨》는 비평과 흥행 면에서 모두 실패하여 한국 개봉 가능성은 낮아 보였지만, 2016년 5월에 한국에도 개봉했다.
2016년에는 실존 인물 '스탠리 매크리스털' 을 소재로 한 블랙 코미디 영화 《워 머신》에서 주연을 맡았다. 해당 영화는 2017년 5월 26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었다. 또한 같은 해,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의 제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영화 《얼라이드》에 마리옹 코티야르와 함께 주연을 맡았다. 그는 캐나다 장교 ‘맥스 바탄’ 역을 연기하며, 아내가 독일 스파이일 가능성에 의심을 품고 진실을 추적해 나가는 인물을 섬세하게 표현했다. 극 중에서는 캐나다 군복을 입고 퀘벡식 프랑스어를 구사하는 장면이 등장하며, 정장이나 사복 차림에서는 과거 작품인 《쿨 월드》나 《흐르는 강물처럼》 속 스타일링을 연상시키는 모습이 보여져 대중들 사이에서 향수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제73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 시상자로 나왔는데 나이가 무색한 모습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라이언 고슬링과 브래드 피트
2020년에 자신의 제작사인 PLAN B가 아마존과 계약을 맺었다. #
|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의 모습 |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에서 '클리프 부스' 역[28]을 맡아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하였다.《노예 12년》의 제작자로서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적은 있으나,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로 배우로서는 연기 인생 34년 만에 처음으로 오스카를 수상하게 되었다. 그는 이 영화로 2020년 골든글로브 영화 부문 남우조연상, 영국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등을 휩쓸었다.
2022년 12월 자신이 설립한 제작사 PLAN B 엔터테인먼트의 지분 60%를 프랑스 기업에 매각했다. 배우로서의 은퇴는 아니며, 할리우드 1선에서 조금 물러나 프랑스에서 머물며 여러 예술 활동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2년에는 자신의 스턴트맨 출신인 데이비드 리치 감독의 영화《불릿 트레인》[29]에 출연하였고, 《위플래쉬》와《라라랜드》를 연출한 것으로 알려진 데이미언 셔젤 감독의 영화 《바빌론》에 출연하였다. 《불릿 트레인》은 《월드워Z》, 《퓨리》이후 오랜만에 선보인 팝콘 무비로[30], 스턴트 더블이 필요한 많은 장면에서 직접 액션을 소화해냈다.
《바빌론》은 무성 영화에서 유성 영화로 전환되는 시대를 배경으로, 쇠락해가는 영화배우를 연기한 브래드 피트의 호연이 주목받았다. 북미에서는 비평이 극단적으로 갈리고 흥행에서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나, VOD 출시 이후 컬트적인 인기를 얻으며 매니아층을 형성했다.[31] 이 작품으로 그는 제80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으며, 이듬해 파리 비평가 협회상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하였다.
2025년, 포뮬러 1을 소재로 한 조셉 코신스키 감독의 영화 《F1 더 무비》가 개봉하였고, 아시아권에서도 큰 호흥을 얻어 브래드 피트의 기존 최고 흥행작 《월드워Z》을 제치고 그의 최고 흥행작이 되었다.
5. 필모그래피
브래드 피트는 30년이 넘는 배우 생활 동안 50편이 넘는 영화에 출연하였다. 주연, 조연, 카메오를 가리지 않고 작품성에 매력을 느끼면 출연을 마다하지 않는 배우이다. 《가을의 전설》, 《조 블랙의 사랑》에서 함께 출연한 배우 안소니 홉킨스로부터 받은 조언이 연기 인생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으며, 연기에 대한 열정이 크다는 점을 여러 인터뷰에서 강조한 바 있다.그는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것을 연기자로서의 방향성으로 삼고 있으며, 자신의 제작사 PLAN B를 통해 예술성과 사회적 메시지를 지닌 작품 제작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트리 오브 라이프》, 《머니볼》, 《킬링 소프틀리》, 《월드워Z》, 《빅쇼트》 등 여러 작품에 제작자로서 이름을 올렸고, 직접 출연하기도 했다. 주연으로 나오기도 하지만 《빅쇼트》, 《노예 12년》에서처럼 비중이 적은 조연을 맡기도 했고, 심지어《 데드풀 2》처럼 단 몇 초만 나오는 카메오로 출연하기도 했다.
5.1. 영화
<rowcolor=#ffffff> 년도 | 제목 | 배역 | 감독 | 비고 |
1987년 | <colbgcolor=#f5f5f5> 헝크 Hunk | 해변의 소년 | 로렌스 바소프 | 단역 크레딧 미기재 |
노 웨이 아웃 No Way Out | 파티 참석자 | 로저 도널드슨 | ||
무인지대 No Man's Land | 웨이터 | 피터 워너 | ||
회색 도시 Less than Zero | 파티 참석자 | 마렉 카니에프스카 | ||
1988년 | 다크 사이드 오브 선 The Dark Side of the Sun | 릭 클레이튼 | 보지다르 니콜리치 | 첫 주연작[32] |
1989년 | 해피 투게더 Happy Together | 브라이언 | 멜 댐스키 | |
폭력 교실 Cutting Class | 드와이트 잉갤즈 | 로스포 폴렌버그 | ||
1991년 | 트랙 Across the Tracks | 조이 말로니 | 샌디 텅 | |
델마와 루이스 Thelma & Louise | 제이디 | 리들리 스콧 | ||
조니 수에드 Johnny Suede | 조니 수에드 | 톰 디칠로 | ||
1992년 | 쿨 월드 Cool World | 프랭크 해리스 | 랠프 박시 | |
콘택트 Contact | 콕스 | 조너선 다비 | 단편 | |
흐르는 강물처럼 A River Runs Through It | 폴 맥클레인 | 로버트 레드포드 | ||
1993년 | 칼리포니아 Kalifornia | 얼리 그레이스 | 도미닉 세나 | |
트루 로맨스 True Romance | 플로이드 | 토니 스콧 | ||
1994년 | 여자 둘 남자 셋 The Favor | 엘리엇 파울러 | 도널드 페트리 | |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Interview with the Vampire | 루이스 드 퐁드락 | 닐 조단 | ||
가을의 전설 Legends of the Fall | 트리스탄 러드로우 | 에드워드 즈윅 | ||
1995년 | 세븐 Seven | 데이비드 밀스 | 데이비드 핀처 | |
12 몽키즈 12 Monkeys | 제프리 고인스 | 테리 길리엄 | ||
1996년 | 슬리퍼스 Sleepers | 마이클 설리반 | 배리 레빈슨 | |
1997년 | 데블스 오운 The Devil's Own | 로리 드버니 / 프랜시스 오스틴 맥과이어[33] | 앨런 J. 퍼쿨러 | |
티벳에서의 7년 Seven Years in Tibet | 하인리히 하러 | 장자크 아노 | ||
1998년 | 조 블랙의 사랑 Meet Joe Black | 조 블랙 | 마틴 브레스트 | |
1999년 | 존 말코비치 되기 Being John Malkovich | 본인 | 스파이크 존즈 | 카메오 |
파이트 클럽 Fight Club | 타일러 더든 | 데이비드 핀처 | ||
2000년 | 스내치 Snatch | 미키 오닐 | 가이 리치 | |
2001년 | 멕시칸 The Mexican | 제리 웰바크 | 고어 버빈스키 | |
스파이 게임 Spy Game | 톰 비숍 | 토니 스콧 | ||
오션스 일레븐 Ocean's Eleven | 러스티 라이언 | 스티븐 소더버그 | ||
2002년 | 풀 프론탈 Full Frontal | 본인 | 스티븐 소더버그 | 우정 출연 |
컨페션 Confessions of a Dangerous Mind | 남자 | 조지 클루니 | ||
2003년 | 신밧드 : 7대양의 전설 Sinbad: Legend of the Seven Seas | 신밧드 | 팀 존슨, 패트릭 길모어 | 더빙 |
2004년 | 트로이 Troy | 아킬레우스 | 볼프강 페테르젠 | |
오션스 트웰브 Ocean's Twelve | 러스티 라이언 | 스티븐 소더버그 | ||
2005년 | 미스터 & 미세스 스미스 Mr. & Mrs. Smith | 존 스미스 | 더그 라이먼 | |
2006년 | 바벨 Babel | 리처드 존스 |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 |
2007년 | 오션스 13 Ocean's Thirteen | 러스티 라이언 | 스티븐 소더버그 | |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The Assassination of Jesse James by the Coward Robert Ford | 제시 제임스 | 앤드류 도미닉 | ||
2008년 | 번 애프터 리딩 Burn After Reading | 채드 펠드하이머 | 코엔 형제 |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벤자민 버튼 | 데이비드 핀처 | ||
2009년 |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Inglourious Basterds | 알도 레인 | 쿠엔틴 타란티노 | |
2010년 | 메가마인드 Megamind | 메트로맨 | 톰 맥그라스 | 더빙 |
2011년 | 트리 오브 라이프 The Tree of Life | 오브라이언 | 테런스 맬릭 | |
머니볼 Moneyball | 빌리 빈 | 베넷 밀러 | ||
해피 피트 2 Happy Feet Two | 새우 윌 | 조지 밀러 | 더빙 | |
2012년 | 킬링 소프틀리 Killing Them Softly | 재키 코건 | 앤드류 도미닉 | |
2013년 | 월드워Z World War Z | 제리 레인 | 마크 포스터 | |
노예 12년 12 Years a Slave | 새뮤얼 베스 | 스티브 맥퀸 | 특별 출연 | |
카운슬러 The Counselor | 앤드류 웨스트레이 | 리들리 스콧 | ||
2014년 | 퓨리 Fury | '워대디' 돈 콜리어 | 데이비드 에이어 | |
2015년 | 히팅 디 에이펙스 Hitting the Apex | 내레이터 | 마크 닐 | 다큐멘터리 |
오디션 The Audition | 본인 | 마틴 스코세이지 | 단편 | |
바이 더 씨 By the Sea | 롤랜드 | 안젤리나 졸리 | ||
빅쇼트 The Big Short | 벤 리커트 | 애덤 맥케이 | ||
2016년 | 보이지 오브 타임 Voyage of Time | 내레이터 | 테런스 맬릭 | 다큐멘터리 |
얼라이드 Allied | 맥스 바탄 | 로버트 저메키스 | ||
2017년 | 워 머신 War Machine | 글렌 맥마흔 | 데이비드 미쇼 | |
2018년 | 데드풀 2 Deadpool 2 | 배니셔 | 데이비드 리치 | 카메오 |
2019년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Once Upon a Time... in Hollywood | 클리프 부스 | 쿠엔틴 타란티노 | |
애드 아스트라 Ad Astra | 로이 맥브라이드 | 제임스 그레이 | ||
2022년 | 로스트 시티 The Lost City | 잭 트레이너 | 애덤 니 & 애런 니 | 특별 출연 |
불릿 트레인 Bullet Train | 레이디버그 | 데이비드 리치 | ||
바빌론 Babylon | 잭 콘래드 | 데이미언 셔젤 | ||
2024년 | 이프: 상상의 친구 IF | 키스 | 존 크래신스키 | 크레딧 기재[34] |
울프스 Wolfs | 닉 | 존 왓츠 | ||
2025년 | F1 더 무비 F1 | 소니 헤이스 | 조셉 코신스키 | |
제작 중 | 하트 오브 더 비스트 Heart of the Beast | 데이비드 에이어 | ||
제작 예정 | 클리프 부스의 모험 The Adventures of Cliff Booth | 클리프 부스 | 데이비드 핀처 | |
제작 예정 | 더 라이더스 The Riders | 프레드 스컬리 | 에드바르트 베르거 |
5.2. 기획
- 이어 오브 더 독
- 피파 리의 사생활
- 시간 여행자의 아내
-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 더 하우스 아이 리브 인
- 빅 맨
- 더 노멀 하트
- 나이팅게일
- 퓨리
- 셀마
- 트루 스토리
- 문라이트
- 옥자
- 괜찮아요, 미스터 브래드
- 빌 스트리트가 말할 수 있다면
- 샌프란시스코의 마지막 흑인 사나이
- OA
- 카조니어
- 미나리
- 이리지스터블
- 트리핑 위드 닐스 프람
-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
- 레고 마스터즈
- 파더 오브 더 브라이드
- 페이퍼 걸스
- 위민 토킹
- 그녀가 말했다(영화)
- 하이 스쿨
- 랜드스케이프 위드 인비저블 핸드
- 밥 말리: 원 러브
- 아우터 레인지
- 비틀쥬스 비틀쥬스
- 아포칼립스 인 더 트로픽스
- 니클의 소년들
- 원 투 원: 존 & 요코
- 삼체
- 끝나지 않을 거야, 제프 버클리
- 미키 17
- 올모
- 소년의 시간
5.3. 제작
- 디파티드
- 러닝 위드 씨저스
- 마이티 하트
-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 킥 애스: 영웅의 탄생
- 트리 오브 라이프
- 머니볼
- 킬링 소프틀리
- 월드워Z
- 킥 애스 2: 겁 없는 녀석들
- 노예 12년
- 바이 더 씨
- 빅쇼트
- 보이지 오브 타임
- 잃어버린 도시 Z
- 워 머신
- 바이스
- 애드 아스트라
- 더 킹: 헨리 5세
- 뷰티풀 보이
- 블론드
- 울프스
- 서렌더: U2 보노의 이야기
- F1 더 무비
- 클리프 부스의 모험
- 하트 오브 더 비스트
- 더 라이더스
6. 사생활
1994년부터 1997년까지 기네스 팰트로와 교제하였다. 1996년 12월, 약혼했으나 이듬해 파혼 및 결별하였다. 《12 몽키즈》로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할 당시 기네스 팰트로에게 헌사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2022년, 두 사람이 서로의 사업에 대해 이야기한 인터뷰가 공개되었다. # 기네스 팰트로의 아버지가 브래드 피트를 아들처럼 여겼다는 언급과 함께 두 사람이 현재 친구로서 교류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1998년부터 제니퍼 애니스턴과 사귀기 시작하여 2000년 7월 29일에 결혼했다. 2005년 1월, 별거에 들어갔고 두 달 후 제니퍼 애니스톤이 이혼을 청구해 같은 해 10월에 이혼했다. 여담으로 기네스 팰트로와 제니퍼 애니스턴, 브래드 피트는 현재까지도 교류가 포착될 정도로 각각 친한 사이로 남아있다.
2004년, 영화 《미스터 & 미세스 스미스》를 촬영하며 안젤리나 졸리를 만났다. # 5월부터 두 사람의 열애 소식이 보도되었지만 브래드 피트와 제니퍼 애니스턴이 공식석상에 함께 모습을 드러내며 소문을 일축했다. 그러나 2005년 4월, 브래드 피트와 안젤리나 졸리가 그녀의 아들 매덕스와 함께 케냐에서 포착된 파파라치 사진이 공개되며, 두 사람의 열애설은 다시금 대중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후 해당 사진이 사전에 연출된 것이라는 폭로가 제기되었으며,[35] 이로 인해 두 사람의 관계가 단순한 교제인지, 혹은 제니퍼 애니스턴과의 이혼 이전부터 시작된 불륜 관계였는지에 대한 논란은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두 사람은 이성애 커플이지만[36] 결혼은 미국에서 동성혼이 합법화되는 날에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6명의 자녀를 함께 양육하며 사실혼 관계를 유지했다. 2014년 8월, 프랑스의 샤토 미라벨 저택에서 비공개 결혼식을 올렸다. 하객으로 참석한 데이비드 핀처 감독이 식을 촬영하는 모습이 포착되었고 안젤리나 졸리는 자녀들이 직접 그린 그림이 수놓아진 웨딩드레스를 입어 화제를 모았다.[37]
2016년 9월, 안젤리나 졸리가 이혼을 청구했고 2019년에 이혼했다. 현지 언론에서도 두 사람의 결혼 기간을 2014년부터 2019년이라고 표기한다. 다만, 이혼 이후에도 자녀 양육권을 둘러싼 법적 분쟁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이혼 사유로는 브래드 피트의 가정 내 폭력 혐의가 제기되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관련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래드 피트-안젤리나 졸리 법정공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래드 피트-안젤리나 졸리 법정공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이혼 이후 수차례 열애설에 휘말렸으나 본인은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바 없다. 이와 관련하여 “브래드 피트는 누구를 데리고 나와도 열애설이 돌아서 어머니하고만 시상식에 간다더라”는 농담이 나올 정도였다. 실제로 그는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인터뷰에서 “(2016년 이혼 소송 이후) 4년간 단 한 차례도 데이트한 적이 없다”고 언급하였다.
2020년, 제26회 미국배우조합상 시상식(SAG)에서 브래드 피트가 전 배우자 제니퍼 애니스턴과 다정하게 대화를 나누는 장면 및 그녀의 수상 소감을 바라보는 모습이 포착되어 화제가 되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두 사람의 재결합을 기대하는 반응이 나타나기도 했다. 그러나 과거 논란에 대한 진위 여부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관심이 제니퍼 애니스턴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지적 또한 제기되었다.
2020년 8월, 데일리 메일은 브래드 피트가 독일 출신 모델 니콜 포투랄스키[38]와 교제 중이라고 단독 보도하였다. 두 사람이 프랑스 샤토 미라발로 함께 경비행기를 타고 이동하는 장면이 목격되며 열애설은 더욱 주목을 받았다. 해당 장소는 브래드 피트가 과거 안젤리나 졸리와 결혼식을 올렸던 곳이자 자녀들이 정기적으로 머무는 별장이다. 특히 이 시기는 둘째 딸 샤일로가 수술 후 재활 치료를 받고 있던 시점과 겹쳐 대중의 비판을 받았다.
니콜 포투랄스키는 1993년생으로, 미국에서는 ‘니코 마리’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20세 무렵 아들을 출산하였으며 당시 배우자의 나이는 60세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남성은 그녀가 일하던 레스토랑의 사장으로, 이 레스토랑은 할리우드 배우들이 독일 방문 시 자주 찾는 식당으로 유명하다. 브래드 피트 역시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의 독일 시사회 일정 중 해당 레스토랑을 방문해 니콜 포투랄스키와 처음 인연을 맺은 것으로 보도되었다. 이후 니콜 포투랄스키가 법적으로 이혼하지 않았으며 기존 배우자와 오픈 메리지[39]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면서, 두 사람의 관계는 한동안 논란의 중심이 되었다.
2022년 9월, 모델 에밀리 라타이코프스키와 가벼운 만남을 이어가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지만, 두 사람이 함께 찍힌 사진이 단 한 장도 없는 황색언론의 오보로 확인되었다.
2022년 말부터 스페인계 스위스 출신으로 보석 브랜드 '아니타 코'의 부사장인 이네스 드 라몬[40]과 교제 중이다. #
7. 논란 및 사건 사고
7.1. 카트리나 피해자 주택지원 재단 논란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미국을 강타하며 많은 이들이 집을 잃었고, 그 중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로어 나인스 워드라는 마을은 흑인 빈민층이 밀집한 주거 구역으로 피해가 특히 심각했다. 이에 2006년, 브래드 피트는 'Make It Right'이라는 재단을 설립하여 친환경 주택을 약 150가구에게 15만 달러 이하에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 # 프로젝트 초반에는 엘렌 드제너러스, 빌 클린턴, 당시 연인이었던 안젤리나 졸리까지 후원에 참여하며 순조롭게 진행되는 듯했다. 브래드 피트는 2009년,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건축 잡지의 표지 모델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뉴올리언스의 열대 기후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친환경'을 우선한 주택 설계는 곧 심각한 문제를 일으켰다. 방수와 습기 문제는 물론, 계단 난간 붕괴나 가스배관 파열 등의 결함이 이어졌고 일부 주택은 흰개미와 곰팡이 피해까지 입었다. 이로 인해 입주민 1명이 사망한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 주택 사진들이 실린 기사
재단은 이러한 문제를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2012년, 외부 전문업체에 의뢰한 조사 보고서에는 곰팡이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 입주민들이 공개한 진단서에 따르면 곰팡이가 호흡기 질환이나 만성피로, 두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재단과의 오랜 협의 과정 속에서 정신적인 문제까지 겪었다고 한다. 상황이 악화되자 일부 입주민들은 집을 포기하고 다른 곳으로 이주했으며, 그 과정에서 재단으로부터 보상금을 지급받는 대신 비밀유지각서에 서명해야 했다.
그러나 2015년 8월, 브래드 피트는 인터뷰를 통해 "이곳을 돌아볼 때면 항상 자부심이 생긴다"며 프로젝트의 성공을 자평했다.
2018년 9월, 입주민들은 브래드 피트와 재단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미 2015년부터 재단의 공식 사이트는 업데이트가 중단되었고, 신규 주택 건설도 멈춘 상태였다. 2016년, 브래드 피트가 재단 측에 조사를 지시했지만 입주민들은 결과를 전달받지 못했고 주택의 결함은 여전히 수리해야 할 부분이 많은 상태였다. 2019년 1월, 총 109가구의 주택에 천연가스 계량기가 잘못 설치되어 폭발의 위험이 있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브래드 피트 측 변호인은 "주택 건설에 그의 직접적인 책임은 없다"며 소송에서 그를 제외하고 재단의 대표인 존 윌리엄스만 피고에 포함시켜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2019년, 미국 법원은 이 탄원을 기각했다. #
소송은 계속해서 이어졌고, 브래드 피트는 소송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당시 이혼 소송 중이던 안젤리나 졸리가 운영하는 자선재단 '매덕스 졸리 피트(MJP) 파운데이션'을 통해 50만 달러[41]를 빌리기도 했다. #
2022년 2월 3일,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은 입주민측 변호인과 당시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전문가를 인터뷰하며 문제가 현재까지 해결되지 않았음을 보도했다.
7.2. 브래드 피트-안젤리나 졸리 법정공방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래드 피트-안젤리나 졸리 법정공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래드 피트-안젤리나 졸리 법정공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여담
- 대한민국 한정으로 별명은 빵형, 빵아저씨, 빵발이다. 영어로 '빵'은 bread(브레드), '발'은 feet(피트)라는 언어유희에서 착안된 별명이다. 여의도에는 실제로 'Bread Fit'라는 빵집이 존재한다. 영화 《퓨리》홍보차 방한했을 당시, 기자들이 이러한 별명에 대해 소개하자 친근한 별명을 붙여줘서 좋다며 만족스러운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 브래드 피트의 순자산은 4억 달러, 한화로 약 5,300억 이상으로 알려졌다. 1990년대 후반부터 그의 영화 한 편당 개런티는 1,750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이후 대부분의 영화에서 2,000만-3,000만 달러(약 250억-380억원) 수준의 출연료를 받는다.
- 1995년,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인 한불화장품의 남성 화장품 '오버클래스아이디'[42]의 모델로 활동했다. 이 당시 브래드 피트는 이미 톱스타의 반열에 올라 있었기 때문에 국내 CF 출연은 큰 화제가 되었다. 유튜브 링크
- 한국에 총 4회 방문했다. 2011년 《머니볼》을 계기로 첫 내한을 했으며, 이후 2013년 《월드워Z》, 2014년 《퓨리》, 2022년 《불릿 트레인》으로 내한했다. 할리우드 스타 중 내한을 많이 한 편에 속하며, 직접 내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한국에 대한 애정을 꾸준히 보여줬다.
- 영화 감독 데이비드 핀처와 절친한 관계이다. 《세븐》에서 만난 이후 《 파이트 클럽》,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를 함께 작업하였다. 《밀레니엄 1부》나 《나를 찾아줘》에서도 브래드 피트가 캐스팅되었거나 주인공으로 고려되었으나 스케줄 문제로 하차했다. 비록 무산되었으나 브래드 피트가 제작을 맡을 예정이였던 《월드워Z 2》의 감독으로 데이비드 핀처가 내정되기도 했다. 결혼식 때 카메라맨을 맡았을 정도로 가까운 사이이며, 사적으로 자주 만나 놀고 함께 영화도 보러 다닌다고 한다. 브래드 피트에 따르면 데이비드 핀처는 영화를 볼 때면 옆에서 귓속말로 씬에 대해서 분석과 비평을 한다고 한다.
- 데이비드 리치와 친한 사이이다. 데이비드 리치는 《파이트 클럽》, 《스파이 게임》, 《멕시칸》, 《오션스 시리즈》, 《트로이》, 《미스터 & 미세스 스미스》 등에서 브래드 피트의 전담 스턴트 대역이었다. 서로 호흡이 잘 맞아서 꾸준히 스턴트로 기용했고, 추후 데이비드 리치가 영화 감독이 되자 브래드 피트가 《데드풀 2》에서는 카메오, 《불릿 트레인》에서는 주연을 맡으며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브래드 피트가 출연했던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의 릭 달튼과 클리프 부스가 연상되는 관계이다.[43]
- 브래드 피트는 마틴 스코세이지에게《디파티드》의 시나리오를 전달한 뒤, 자신에게 어떤 역할이 배정될까 설레이며 기다렸다고 한다. 그러나 소식이 없어 물어보자 마틴 스코세이지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맷 데이먼, 잭 니콜슨, 그리고 마크 월버그에게 이미 배역을 준 상태였고, 두 사람 모두 멋쩍어했다는 일화가 있다.
- '먹는 연기'로도 유명하다. 등장하는 장면에서 무언가를 먹고 있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며, 관객이 배고픔을 느낄 정도로 맛있게 먹는 모습을 연기한다. 평론가 김혜리는 "브래드 피트는 주전부리를 달고 다니는 연기로 구강기적 무방비함을 표현해왔다." 라는 평을 하기도 했다. 《파이트 클럽》에서는 첫 전화를 받았을 때 무언가를 씹고 있는 장면이 등장하며, 《월드워Z》에서는 마지막 장면에서 캔음료를 마신다. 《머니볼》에서는 특히 미국 과자인 트윙키를 허겁지겁 먹는 모습이 눈에 띈다. 혼자 있거나 전화를 하거나 복도를 걸어갈 때도 해바라기씨, 과자, 핫도그, 아이스크림, 커피 등 다양한 음식을 끊임없이 먹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중요한 선수의 트레이드 전화를 기다리며 팝콘을 두 줌씩 집어 삼키다 전화가 걸려오자 터프하게 뱉어내는 장면은 자연스러운 생활 연기로 평가받는다. 영상 영상
- 제8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피자를 먹는 모습을 선보였으며 서빙까지 했다. 이러한 '먹방 연기'가 자주 나오는 것은 연기할 때 손을 가만히 두지 못하며 항상 무언가를 만지작거리는 습관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가 음식을 먹고 있지 않은 장면에서 주변 소품이나 벽 등을 손으로 만지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본인도 먹는 것을 좋아해서 먹는 연기에 거부감이 없다고 한다. 음식 섭취 후 손가락을 빠는 행동은 거의 모든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음식이 입에 묻었을 때 엄지 손등으로 닦아내는 동작 또한 그의 특징이다. 2014년 영화 《퓨리》 홍보차 한국을 방문했을 때는 방송에서 제공된 꿀떡을 맛있게 먹는 모습이 공개되기도 했다. #
- 무명 시절 마이크 타이슨에게 폭행당할 뻔한 적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 마이크 타이슨의 전처 로빈 기븐스와 관계를 맺어서 폭행당할 뻔했다며 마이크 타이슨이 자신의 토크쇼에서 소재로 사용했으나, 추후 로빈 기븐스가 토크쇼에 출연하여 브래드 피트와 만남을 가진 적 없으며 촬영을 마치고 함께 돌아가던 길이었을 뿐이라고 부인했다. #
- 아카데미 수상 소감에서 "내가 말할 시간으로 존 볼턴보다 45초를 더 받았군요!"라고 말했다. 브래드 피트는 민주당 지지자인데,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게 트럼프 탄핵심판에 증언할 기회를 주지 않은 걸 비판한 것이다.
- 도널드 트럼프는 2020년 2월 20일, 자신의 유세 연설에서 브래드 피트와 《기생충》을 공개적으로 비난해 논란을 일으켰다. 위의 브래드 피트의 수상소감에 대해 "아는 척, 잘난 척하는 놈"이라며 노골적인 불쾌감을 드러냈고, 《기생충》의 수상에 대해서는 "왜 한국 영화에게 아카데미 상을 주냐"고 불만을 표했다. 이에 브래드 피트는 SNL에 의학 박사이자 미국 코로나19 최고 권위자인 앤서니 파우치 역을 맡아 도널드 트럼프의 코로나19 대처를 풍자 및 강하게 비판했다. #
- 브래드 피트는 공개적인 민주당 지지자이자 환경운동가로 널리 알려진 톰 행크스나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만큼 정치적 행보가 두드러지진 않지만, 사회적 약자와 환경 문제에 대해 꾸준히 진보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 LGBT 권리와 인종 차별 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여왔으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함께 민주당 투표를 독려할 당시 ‘LGBT와 인종 차별’을 가장 먼저 언급하며 중요성을 강조했다.[47][48] 브래드 피트는 전 세계적인 영향력을 지닌 스타인 만큼, 그의 발언은 사회적으로 일정한 파급력을 가진다. 다만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나 와킨 피닉스처럼 직접적인 행동이나 운동에 적극 참여하는 유형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 일각에서는 '입으로만 진보적인 척하는 위선자'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반면 급진적인 환경운동가보다는 상대적으로 조심스럽게 정치적 입장을 표현하는 그를 덜 부담스럽게 받아들이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브래드 피트는 총 41개의 자선구호단체들에게 기부를 하고 있는 배우이다. #
- 두 사람은 프리큐어 Max Heart 제15화에서 브래드 피트가 아닌 피래드 부트로 개명되어서 나온다. 작은 베개에 브래드 피트의 얼굴이 그려져 있다.
- 한국어 더빙판에선 주로 성우 김승준이 그의 배역을 전담하고 있다. 《세븐》, 《쿨 월드》, 《가을의 전설》, 《슬리퍼스》, 《12 몽키즈》등 대부분의 작품을 맡았다.《뱀파이어와의 인터뷰》와 《흐르는 강물처럼》 같은 과거 작품에서는 장세준이 더빙한 적도 있으며 백순철, 구자형, 안지환, 최원형, 양석정이 연기한 적도 있지만 팬들은 김승준, 장세준의 연기를 가장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주로 호리우치 켄유가 그의 전담 성우로 활동하고 있다.
- 2009년-2010년에 수염을 덥수룩하게 기른 적이 있다. "It’s boredom. No other reason than that.(지루함 때문에요. 다른 이유는 없습니다.)”라며 이유를 농담조로 밝힌 바 있다.[50][51][52]
- 2020년 제45회 세자르 시상식에서 공로상 수상자로 내정되었으나 다수의 아동 성범죄를 저지른 로만 폴란스키가《장교와 스파이》로 감독상 및 각색상을 수상하자 인정하지 못한다는 의미로 수상 거부했다.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촬영장에서 티모시 올리펀트가 본인이 가장 일찍 출근했다 생각했는데 딱 한 명, 브래드 피트만 먼저 와 있었다고 한다. 평소 부지런한 성격인 것으로 보인다. #
- 배우 브래들리 쿠퍼와 절친으로 알려져 있으며 취미 생활도 함께 즐긴다.
- 1994년, 170만 달러에 LA에 있는 주택을 매입한 뒤 주변 부동산을 추가로 사들여 약 30년간 부지를 확장하였다. 주택 중 한 곳에는 아내를 잃은 95세의 노인이 살고 있었는데, 그가 105세로 사망할 때까지 무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임대료를 받지 않았다. #[53]
- 할리우드 내에서도 손에 꼽힐 정도의 골초였다. 그가 나오는 영화에서도 흡연하는 장면이 자주 나왔을 정도이다. 하지만 최근에 코로나를 계기로 금연을 한 상태이다.
- F1 더 무비 촬영 이후,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에서 실제 F1 차량인 맥라렌 MCL60을 주행했다.
9. 둘러보기
브래드 피트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 ||||
| |||||
최우수 작품상 수상작 | |||||
제85회 (2013년) | → | 제86회 (2014년) | → | 제87회 (2015년) | |
벤 애플렉 조지 클루니 그랜트 헤슬로브 (아르고) | → | 스티브 맥퀸 데드 가드너 제러미 클레이너 브래드 피트 안소니 카타가스 (노예 12년) | → |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존 레셔 제임스 W. 스코치도폴 (버드맨) | |
역대 베니스 영화제 | ||||
| ||||
볼피 컵 - 남우주연상 | ||||
제63회 (2006년) | → | 제64회 (2007년) | → | 제65회 (2008년) |
벤 애플렉 (할리우드 랜드) | → | 브래드 피트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 → | 실비오 올랜도 (일 파파 디 지오반나) |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 ||||
남우조연상 - 영화 | ||||
제52회 (1995년) | → | 제53회 (1996년) | → | 제54회 (1997년) |
마틴 랜도 (에드 우드) | → | 브래드 피트 (12 몽키즈) | → | 에드워드 노튼 (프라이멀 피어) |
제76회 (2019년) | → | 제77회 (2020년) | → | 제78회 (2021년) |
마허샬라 알리 (그린 북) | → | 브래드 피트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 → | 대니얼 칼루야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 ||||
| ||||
남우조연상 | ||||
제72회 (2019년) | → | 제73회 (2020년) | → | 제74회 (2021년) |
마허샬라 알리 (그린 북) | → | 브래드 피트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 → | 대니얼 칼루야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
| ||||
| ||||
영화부문 남우조연상 | ||||
제25회 (2019년) | → | 제26회 (2020년) | → | 제27회 (2021년) |
마허샬라 알리 (그린 북) | → | 브래드 피트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 → | 대니얼 칼루야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 ||||
| ||||
남우조연상(영화) | ||||
제24회 (2019년) | → | 제25회 (2020년) | → | 제26회 (2021년) |
마허샬라 알리 (그린 북) | → | 브래드 피트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 → | 대니얼 칼루야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
역대 새턴 시상식 | ||||
| ||||
영화 남우조연상 | ||||
제21회 (1994년) | → | 제22회 (1995년) | → | 제23회 (1996년) |
게리 시니스 (포레스트 검프) | → | 브래드 피트 (12 몽키즈) | → | 브렌트 스파이너 (스타트렉: 퍼스트 콘택트) |
}}} ||
[1] 쇼니에서 태어나자마자 스프링필드로 이사하여 대학 시절까지 미주리에서 자랐다.[2] #[3] 자녀 모두 전처 안젤리나 졸리 사이 소생이다. 자녀들의 양육권을 두고 법정 분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별거 이후 아이들은 안젤리나 졸리와 함께 지내고 있다. 또한 장남을 시작으로 자녀들은 모두 '피트'라는 성을 버렸다.[4] 캄보디아 출신 입양아[5] 베트남 호치민 출신 입양아[6] 에티오피아 출신 입양아[7] 나미비아 출생[8] 프랑스 니스 출생[9] 프랑스 니스 출생[10] 브래드 피트의 역대 수상 및 노미네이션 목록[11] 젊은 시절에는 과거 할리우드 내에서 손꼽히는 미남이었던 로버트 레드포드의 닮은 꼴로 자주 언급되었다. 로버트 레드포드만큼은 아니지만 돈 아메체의 닮은 꼴로 언급되기도 했다.[12] 인터뷰를 통해 그가 영화에 대해 가지고 있는 깊은 애정을 확인할 수 있다.[13] 그에게 오스카를 안겨준 2019년작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역시 지극히 ‘미국적인’ 영화이다. 1억 달러에 달하는 제작비가 투입된 영화였으나, 서구권의 대흥행과는 달리 대한민국에서는 관객 수가 30만 명이 채 되지 않는다. 《월드워Z》를 제외하면 브래드 피트의 블록버스터 영화들 또한 아시아권에서는 흥행 성적이 부진한 편이다.[14] 전미 영화 비평가 협회,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를 통칭한다.[15]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로 전미 비평가 협회 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을, 《머니볼》과 《트리 오브 라이프》로 전미 비평가 협회와 뉴욕 비평가 협회 시상식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다만 Trifecta 석권에 가장 가까웠던 2011년, 로스앤젤레스 비평가 협회 시상식에서 수상하지 못하며 완전한 석권에는 이르지 못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16] 《애드 아스트라》의 '로이'는 감정 표현과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결여된 인물이다. 그러한 인물이 모험을 하면서 감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서사나 연출이 아닌 브래드 피트 본인의 연기만으로 표현된다. 그의 연기적 내공이 드러나는 작품이다.[17] 이동진 평론가 역시 이 작품에서 브래드 피트의 연기를 높이 평가하며,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았어야 하는 영화라고 언급했다. #[18] 톰 크루즈와 브래드 피트는 모두 뛰어난 연기력을 갖추고 있으며 내추럴함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 배우이다. 그러나 톰 크루즈는 배역에 자신의 고유한 개성을 일정 부분 반영하는 경향이 있으며, 캐릭터를 보다 더 강한 에너지로 이끌어간다. 브래드 피트는 배우로서의 개성을 드러내기보다는 배역에 철저히 동화되어 자신의 이미지를 지우고 인물 그 자체로 설득력을 부여하는 연기를 선보인다는 것에서 차이점이 있다.[19] 이후 브래드 피트가 스타가 되면서 해당 영화는 그가 주연인 것처럼 홍보되며 국내 케이블 방송에서 자주 방영되었다. DVD 표지 개봉 당시 포스터[20] 해당 역할을 맡기 위해 감독에게 직접 접촉하여 강한 의지를 보였다는 일화도 전해진다.[21] PLAN B를 통한 활동 외에도 개인으로 제작에 참여하는 사례를 점차 확대해 나갔다.[22] 영화《디파티드》(2006) 역시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바 있으나 수상자는 그레이엄 킹(Graham King) 뿐으로 브래드 피트는 이 작품의 제작에 관여했으나 당시 수상 명단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질적인 첫 수상은 《노예 12년》으로 간주된다.[23] 여담으로, 교제 중이던 시절 제니퍼 애니스턴 주연의 시트콤《프렌즈》에 게스트로 출연한 적이 있다. 제니퍼 애니스턴의 앙숙 역할로 출연하였다.[24] 브래드 피트에 따르면, 안젤리나 졸리의 가치관과 삶의 태도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25] 참고로 그는 이 해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남우주연상 후보와 남우조연상 후보에 동시 지명되었다. 남우주연상 후보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로 지명되었다.[26] https://www.theguardian.com/film/2009/jan/15/baftas-2009-full-list-of-nominations[27] 한국에는 2016년 1월에 개봉했다.[28]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연기한 릭 달튼의 스턴트 배우.[29] 원작은 이사카 코타로의 소설 《마리아 비틀》.[30] 카메오 출연으로는 《데드풀 2》, 《로스트 시티》 등도 있으나 주연작으로선 오랜만이다.[31] 해당 영화에 출연한 배우 마고 로비 또한 팟캐스트에서 해당 영화가 시간이 지날수록 재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발언했다. 실제로 Letterboxd, 왓챠피디아와 같은 영화 평점 사이트에서 매니아 영화로 평가받았으며, 국내에서도 주기적으로 돌비 시네마 재개봉이 이뤄지고 있다.[32]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필름이 소실되어 이후 1997년에 DVD로 출시되었다.[33] 애칭: 프랭키, 별명 :천사의 프랭키[34] 더빙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데드풀 2의 투명인간 개그를 이용해 크레딧에 기재되었다.[35] 한국어 요약문 원문[36] 다만 안젤리나 졸리가 양성애자이다. 브래드 피트와 교제 전에 여자친구를 사귄 적이 있다.[37] #[38] 니콜 포투랄스키[39] 법적으로 혼인 관계를 유지한 채, 배우자 이외의 사람과도 자유롭게 연애나 성적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서로 합의한 결혼 형태.[40] 미국 배우 폴 웨슬리의 전처.[41] 한화로 약 6억 원[42] 아직도 판매되고 있다.[43] 실제로 브래드 피트는 클리프 부스 역을 연기할 때 자신과 데이비드 리치와의 관계를 떠올리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44]
[45]
[46] 이후 봉준호 감독은 국내에 돌아와 후일담을 전하며, 브래드 피트가 자신과 비슷한 50대의 나이임에도 여전히 전성기처럼 날카로운 턱선을 유지하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47] 참고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환경 문제를 가장 먼저 언급했다.[48] 해당 주제에 대한 브래드 피트의 관심은 그의 인터뷰나 기부 활동 등에서도 자주 드러난다.[49] 오션 프로덕션의 재더빙판에서는 톰 퓨즈(Tom Fuse)로 변경했다.[50] #[51]
[52]
[53] 여담으로 2023년, 해당 복합 저택을 4,000만 달러에 매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