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00:18:41

트루 로맨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찰리 XCX의 음반}}}에 대한 내용은 [[True Romance(찰리 XCX)]]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True Romance(찰리 XCX)#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True Romance(찰리 XCX)#|]]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찰리 XCX의 음반: }}}[[True Romance(찰리 XCX)]]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True Romance(찰리 XCX)#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True Romance(찰리 XCX)#|]]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토니 스콧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200> 파일:1979 러빙 메모리 로고.png ||<width=200> 파일:1983 악마의 키스 로고.png ||<width=200> 파일:1986 탑건 로고.png ||
러빙 메모리 (1979) 악마의 키스 (1983) 탑건 (1986)
파일:1987 버버리 힐스 캅 2 로고.png 파일:1990 리벤지 로고.png 파일:1990 폭풍의 질주 로고.png
비버리 힐스 캅 2 (1987) 리벤지 (1990) 폭풍의 질주 (1990)
파일:1991 마지막 보이스카웃 로고.png 파일:1993 트루 로맨스 로고.png 파일:1995 크림슨 타이드 로고.png
마지막 보이스카웃 (1991) 트루 로맨스 (1993) 크림슨 타이드 (1995)
파일:1996 더 팬 로고.png 파일:1998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 로고.png 파일:2001 스파이 게임 로고.png
더 팬 (1996)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 (1998) 스파이 게임 (2001)
파일:2004 맨 온 파이어 로고.png 파일:2005 도미노 로고.png 파일:2006 데자뷰 로고.png
맨 온 파이어 (2004) 도미노 (2005) 데자뷰 (2006)
파일:2009 펠햄 123 로고.png 파일:2010 언스토퍼블 로고.png
펠햄 123 (2009) 언스토퍼블 (2010)

상세정보 링크 열기
<colbgcolor=#eaeaea><colcolor=#000> 트루 로맨스 (1993)
True Romance
파일:트루 로맨스 한국판포스터.jpg
{{{#!wiki style="margin: -5px -9px"
장르 범죄, 로맨스, 드라마
감독 토니 스콧
각본 쿠엔틴 타란티노
제작 게리 바버
사무엘 하디다
제임스 G. 로빈슨
빌 웅거
출연 크리스찬 슬레이터
패트리샤 아퀘트
데니스 호퍼
발 킬머
게리 올드만
브래드 피트
크리스토퍼 워컨
촬영 제프리 L. 킴볼
편집 마이클 트로닉
크리스찬 와그너
음악 한스 짐머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모건 크리크 프로덕션
데이비스 필름
어 밴드 아파트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1993년 9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년 12월 24일
화면비 2.39 : 1
상영 시간 118분 [극장판]
121분 [감독판]
제작비 1,3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13,088,850 (출처)
북미 박스오피스 $12,281,591 (1993년 10월 7일)
대한민국 총 관객 수 30,259명[서울시] (출처)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Restricted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
4.1. 화려한 캐스팅
5. 줄거리6. 사운드트랙7. 평가8. 기타

1. 개요

1993년 토니 스콧이 연출하고 쿠엔틴 타란티노가 각본을 쓴 범죄/로맨스 영화로, 토니 스콧의 최고작이라고 거론되는 영화 중 한편이다.

제작사는 모건 크리크, 배급은 워너 브라더스가 맡았다.

2. 예고편

3. 시놉시스

생일날 할 일이 없어 혼자 싸구려 영화관에서 액션영화를 보면서 자신의 우상 엘비스 프레슬리와 상상 속에서 대화를 나누는 한심한 만화가게 점원 클래런스 월리. 영화관에서 금발 미녀 앨라배마가 클래런스에게 팝콘을 쏟으면서 어찌어찌 잘 엮여서 하룻밤을 같이 보내게 된다. 앨라배마의 정체는 생일선물로 만화가게 사장이 고용해준 콜걸이었으나, 하룻밤 만에 둘은 진짜로 사랑에 빠진다.

쥐뿔도 없지만 허세쩌는 클래런스는 앨라배마에게 자유를 찾아주려고 포주에게 쳐들어갔다가 얼떨결에 포주를 죽이게 되고, 앨라배마의 소지품을 들고 오려다가 실수로 마약가방을 들고 오는 바람에 마피아에게 쫓기게 되는데...

4. 등장인물

4.1. 화려한 캐스팅

크리스찬 슬레이터, 패트리샤 아퀘트가 주인공 커플을 맡았으며 조연으로 게리 올드만[6], 브래드 피트[7], 새뮤얼 L. 잭슨[8], 크리스토퍼 워컨[9], 데니스 호퍼[10], 발 킬머[11], 제임스 갠돌피니[12]라는 정말 이래도 되는 건가 싶은 캐스팅을 자랑한다.

게다가 이들은 거의 무슨 조연이나 카메오 수준으로 굴려진다. 거기에 전쟁 영화에 자주 나온 톰 시즈모어숀 펜의 동생 크리스 펜도 경찰로 출연한다. 이때만 해도 커리어의 정점을 달리던 슬레이터와 이 영화를 계기로 《에드 우드》, 《로스트 하이웨이》 등의 작품에 출연하여 커리어의 정점에 오르게 되는 아퀘트의 모습을 보는 것도 쏠쏠하다.

여담으로 이 영화에 출연한 배우들 중 이후 타란티노 영화에 출연한 사람들이 꽤 된다. 단골로 나오는 새뮤얼 L. 잭슨은 물론이고, 저수지의 개들의 크리스 펜,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의 브래드 피트 등.

5.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미국 디트로이트의 한 극장에서 앨라배마 휘트먼이 엘비스 프레슬리의 광신도 클래런스 월리와 대화를 나눈다. 둘은 서로에게 눈이 맞게 되고 시내에 있는 클래런스의 아파트에서 섹스를 한다. 앨라배마는 사실 클래런스의 상사가 생일 선물로 고용한 콜걸이지만 결국 클래런스에게 사랑에 빠졌다고 눈물을 흘리며 고백한다. 다음 날 두 사람은 시청에서 결혼식을 올린다. 엘비스의 유령은 클래런스를 찾아가 앨라배마를 학대하는 포주 드렉슬 스파이비를 죽이라고 설득한다. 앨라배마가 일하는 사창가로 간 클래런스는 몸싸움 끝에 드렉슬을 총으로 쏴 죽이고, 앨라배마의 소지품이 들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방을 가져간다. 아파트로 돌아온 클래런스와 앨라배마는 드렉슬이 두 명의 마약 밀매업자로부터 훔친 코카인이 다량 들어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부부는 은퇴한 경찰이자 별거 중인 클래런스의 아버지 클리포드를 찾아가 도움을 청한다. 클리포드는 클래런스에게 경찰이 드렉슬이 살해된 딜러들에게 복수하기 위해 자행된 갱 살해로 추정한다고 말한다. 이후 두 사람은 로스앤젤레스로 떠나고 클리포드는 조직 '블루 루 보일'의 보스 빈센초 코코티에게 심문을 받는다. 드렉슬을 고용해 코카인을 훔치게 하고 유통시킨 빈센트는 부하들이 드렉슬의 시체에서 클래런스의 운전면허증을 발견했기 때문에 그가 마약이 들어있는 가방을 훔쳤다고 밝힌다. 클리포드는 어차피 죽을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코코티에게 조롱하듯 반항한다. 결국 빈센초는 P7 권총을 꺼내 클리포드를 사살하고, 부하 중 한 명이 클리포드의 냉장고에 붙어있던 LA 주소를 발견한다.

LA에서 클래런스와 앨라배마는 배우 지망생인 친구 딕 리치를 만나게 되고, 리치는 그에게 배우이자 제작자의 조수인 엘리어트 블리처를 소개한다. 엘리어트는 마지못해 상사이자 전설적인 영화 제작자인 리 도노위츠에게 연락해 마약 판매를 중개하는 것에 동의한다. 클래런스가 점심을 사러 나간 동안 코코티의 부하인 버질은 모텔 방에서 앨라배마를 발견하고 정보를 캐내기 위해 폭행한다. 일방적으로 맞으면서도 욕설로 응수하는 앨라배마. 헤어스프레이를 이용해 버질의 옷에 불을 붙이고 톱질한 코르크 스크루로 찌른 뒤 산탄총을 집고 미친 듯이 쏴죽여버린다. 클래런스는 모텔 방으로 와서 앨라배마를 데리고 나가 그녀를 치료해준다. 두 사람은 부부의 미래에 대해 함께 논의한다.

한편 엘리어트는 운전을 하다가 속도위반에 걸려 경찰이 차를 세우라고 한다.[13] 엘리어트는 내연녀를 보고 널 수색하지 않을 것이라며 드레스에 코카인이 들어있는 봉지를 숨기려 하지만, 내연녀는 거절한다. 둘의 실갱이가 계속되고 결국 봉지가 터지면서 엘리어트의 얼굴에 마약이 쏟아진다. 엘리어트는 속도 위반과 마약 소지 혐의로 기소된다. LAPD 형사인 니키 다임즈와 코디 니콜슨은 감옥에 가고 싶지 않으면 마약의 출처를 대라고 한다. 니키와 코디는 클래런스와 도노위츠 사이에 마약 거래가 일어날 것이라는 정보를 얻어내는 데에 성공하고, 엘리어트 몸 속에 녹음기를 차서 마약과 관련된 자들을 모두 잡아내려고 한다. 또한 코코티의 부하들은 딕의 돌팔이 룸메이트 플로이드로부터 거래가 어디서 일어나는지 정보를 알아낸다. 클래런스, 앨라배마, 딕, 엘리어트는 마약을 가지고 앰배서더 호텔에 있는 도노위츠의 스위트룸으로 간다.[14] 엘리베이터 안에서 클래런스가 엘리어트를 의심하면서 총을 겨눈다. 겁 먹은 엘리어트는 자비를 간청하고 클래런스는 미안하다며 총을 내린다.

클래런스는 도노위츠에게 마약이 부패한 경찰에 의해 자기에게 건네졌다는 이야기를 꾸며내고, 도노위츠는 구매하겠다고 한다. 화장실에 간 클래런스에게 엘비스의 환영이 나타나 일이 잘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린다. 그러나 그 때 경찰들이 호텔 스위트룸으로 돌입해서 총을 겨누고 도노위츠와 경호원들의 대치상황이 벌어진다. 이와중에 코코티의 부하들까지 난입해서 상황은 더욱 꼬이게 된다. 엘리어트는 다임스 형사에게 나는 빼달라고 하면서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정보원임을 밝힌다. 빡친 도노위츠는 엘리어트에게 커피 포트에 있는 커피를 부어대면서 모욕을 주고, 결국 니콜슨이 도노위츠를 쏴버리는 걸 시작으로 총격전이 벌어지면서 난장판이 된다. 코디는 빈센초의 부하들에게 총을 맞아 사망하고, 나머지 경찰들과, 마피아, 도노위츠의 경호원들까지 세 개의 세력의 총격전이 계속된다. 엘리어트는 이 시점에서 난사를 당해 죽는다. 이와중에 화장실에서 나온 클래런스는 다임스의 총격에 눈에 총을 맞는다. 딕은 마약 가방을 공중에 던지고 호텔방에서 달아나고, 마약가방은 총들에 의해 산산조각난다. 결국 얼마 남지 않은 세력들, 다임스가 마지막으로 남은 도노위츠의 경호원을 죽인다.[15] 더 많은 경찰이 호텔에 도착하고[16] 클래런스와 앨라배마는 도노위츠의 돈을 가지고 탈출한다. 두 사람은 멕시코로 가고, 앨라배마가 엘비스라는 이름을 가진 아들을 낳고 클래런스와 행복한 엔딩을 맞이한다.

6. 사운드트랙

<colbgcolor=#eaeaea><colcolor=#ffffff> <colbgcolor=#eaeaea><colcolor=#ffffff>
You're so Cool
메인 테마곡
You're so Cool (Main Title)
오프닝 장면 버전의 메인 테마

당시 거장 영화음악가로 자리매김하던 한스 짐머오리지널 스코어를 작곡했다. 이 작품의 메인 테마곡인 “You’re So Cool”은 특히 널리 알려져 있으며, 짐머의 대표곡 중 하나로 손꼽힌다. 다만 이 곡은 짐머의 완전한 오리지널 작품이라기보다는, 독일 출신의 작곡가 카를 오르프의 음악 'Gassenhauer'에 바탕을 두고 있다. 오르프의 곡도 원곡이 따로 있는데, 16세기의 류트 연주자 한스 노이지들러(Hans Neusiedler) 작품들을 모아둔 모음집 Gassenhauer nach Hans Neusiedler(1536)을 재편곡한 것이다.

<colbgcolor=#eaeaea> Musica Poetica I: Gassenhauer
칼 오르프 작곡
“You’re So Cool”의 원곡

짐머가 이 음악을 사용한 데에는 명확한 이유가 있다. 바로 테렌스 맬릭 감독의 1973년 영화 《황무지》(Badlands)에 대한 오마주다. 《황무지》 역시 살인을 저지른 남성과 그를 사랑하는 여성이 도피 행각을 벌이는 내용이며, 영화의 도입부에서 여주인공의 회상 내레이션과 함께 이 음악이 나오는 등 서사 구조와 내러티브가 유사하다.

영화의 오프닝 시퀀스에 등장한“You’re So Cool”은 이후 다양한 변주와 편곡으로 스코어 전반에 반복되며, 1990년대 초반 짐머 특유의 스타일을 대표하는 곡으로 자리 잡았다. 마림바, 스틸 드럼, 일렉트릭 기타, 신디사이저, 타악기 등이 어우러진 이 경쾌한 테마는 이후 자동차나 맥주 광고 등에서도 자주 사용되며 대중적인 인지도까지 얻게 되었다.

영화는 사랑에 빠진 남녀 주인공과 그들을 둘러싼 마피아의 위협을 중심으로 전개되기에, 스코어 역시 전반적으로 두 가지 상반된 분위기를 갖는다. 한쪽에는 사랑스럽고 귀여운 톤의 음악이, 다른 한쪽에는 거칠고 다이내믹한 일렉 기타와 신디사이저가 연주되는 음악으로 구성되어 극의 분위기를 선명하게 나눈다. 이외에도 부자(父子) 관계를 상징하는 서브 테마가 존재하며, 일부 곡에서는 신스와 마림바를 활용해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You're So Cool'은 정은임의 영화음악의 시그널 뮤직으로 쓰였다. 일본에서는 짱구는 못말려 애니메이션의 음악이 이 곡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있으며 신에이는 이에 대해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았다. 이런 이유로 해당 음악은 정식 발매하지 않았다.

정식 사운드트랙에는 짐머의 오리지널 스코어가 3곡만 수록되어있다. 하지만 시간이 한참 지난 후인 2017년과 2018년에 오리지널 스코어만 담긴 음반이 따로 발매되었다.
True Romance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nopad> 파일:True Romance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webp
트랙 제목 아티스트 재생시간 듣기 비고
1 You’re So Cool 한스 짐머 3:4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Charlie Sexton 찰리 섹스턴 3: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In Dreams 존 웨이트 3:4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Wounded Bird Charles & Eddie 5:1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I Want Your Body 님포매니아 4:1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Stars At Dawn 한스 짐머 2:0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I Need a Heart To Come Home To 셸비 린 4:2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Viens Mallika Sous Le Dome Edais From Lakme Howard Blake 3:5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Love Is) The Tender Trap 로버트 파머 2:3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Outshined 사운드가든 5:1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Amid the Chaos of the Day 한스 짐머 4:5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Two Hearts 크리스 아이작 3:3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평가

<nopad> 파일:IMDb 로고.svg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요약하자면 "매우 타란티노적인 스토리를 스콧적인 감성으로 표현한 영화"로, 상반되는 두 명의 스타일이 기묘하게 공존을 이루는 점이 매력인 작품이다. 일부 팬들에게는 토니 스콧 작품 중 최고라고 평가받으며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다. 극장 흥행은 평타를 쳤지만 대신 비디오 대여같은 2차 시장에서 꽤 성공했다.

8. 기타


[극장판] [감독판] [서울시] [4] 여주인공의 포주(게리 올드먼)와 마약거래 중 살해당하는 역.[5] 1998년작 고질라에서 여주인공을 연기한 배우.[6] 앨라배마의 포주 드렉슬 역.[7] 클래런스의 배우 지망생 친구인 딕 리치의 룸메이트 플로이드 역.[8] 포주 드렉슬과 거래하다 총에 맞아 죽는 빅 돈 역.[9] 주인공을 쫓는 마피아 고문 빈센초 코코티 역.[10] 클래런스의 아버지 클리포드 역. 코코티에게 협박당하면서 대화하는 장면이 명장면이다.[11] 클래런스 환상 속의 엘비스 프레슬리 역.[12] 모텔방에서 앨라배마를 떡이 되도록 두들겨 패던 마피아 버질 역. 갠돌피니는 나중에 《소프라노스》에서 토니 소프라노 역을 맡아 대스타가 된다.[13] 내연녀의 고개가 엘리어트의 밑에서 나오는 걸 보면 정황상 엘리어트가 내연녀한테 펠라치오를 받고 있었다.(...)[14] 엘리어트는 경찰의 사주를 받아 거래현장을 녹음하라는 이야기를 한다. 몸 안에 녹음기가 있는 상태였다.[15] 후술하겠지만 극장판과 감독판에서 그려지는 니키 다임스의 죽음이 전혀 다르다. 극장판에서 다임스는 생명줄이 얼마 남지 않은 코코티의 부하한테 총을 맞고 사망하지만, 감독판에서는 앨라배마한테 총을 맞고 사망한다.[16] 몇몇 살아남은 빈센초의 부하들이 시민들을 인질로 잡고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진다.[17] 타란티노는 토니 스콧의 작품들을 정말로 좋아해, 스콧이 연출을 맡은 것에 매우 만족했다고.[18] 이 총격씬은 동일 감독의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의 후반부와 유사하다. 톰 시즈모어는 둘 다 출연했다. 한번은 경찰로, 한번은 갱 두목으로.[19] 클래런스가 죽고 앨라배마는 다른 범죄에 가담하는 내용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저수지의 개들》에서 미스터 화이트의 전 파트너가 앨라배마라는 여자였다는 언급도 나온다.[20] 스콧의 코멘터리에 따르면 "주인공 캐릭터들이 너무 마음에 들어 차마 죽일 수 없었다"고...[21] 그래도 《내추럴 본 킬러》보다는 좋은 평가를 했다. 각본가 출신 감독 올리버 스톤을 대차게 깐 적이 있으니.[22] 특히 이 부분이 극장판과 감독판의 상영 시간이 가장 많이 차이나는 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