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09:46:34

올리버 스톤

올리버 스톤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

베를린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곰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82년1983년1984년1985년1986년
제임스 스튜어트 없음
1987년1988년1989년1990년1991년
없음 알렉 기네스 더스틴 호프먼 올리버 스톤 없음
1992년1993년1994년1995년
없음 빌리 와일더 그레고리 펙 소피아 로렌 알랭 들롱
1996년1997년1998년1999년
잭 레먼 엘리아 카잔 킴 노박 카트린 드뇌브 셜리 맥클레인
2000년2001년2002년2003년
잔느 모로 커크 더글러스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로버트 올트먼 아누크 에메
2004년2005년2006년
페르난도 솔라나스 임권택 페르난도 페르난 고메스 이안 맥켈런 안제이 바이다
2007년2008년2009년2010년
아서 펜 프란체스코 로시 모리스 자르 한나 쉬굴라 볼프강 콜하세
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아민 뮬러스탈 메릴 스트립 클로드 란츠만 켄 로치 빔 벤더스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
마이클 볼하우스 밀레나 카노네로 윌렘 대포 샬럿 램플링 헬렌 미렌
2021년2022년2023년2024년2025년
없음 이자벨 위페르 스티븐 스필버그 마틴 스코세이지 틸다 스윈튼
}}}}}}}}} ||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감독상 수상자
'''[[틀:아카데미 감독상 수상자|Academy Award for Best Directo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1회
(1929년)
제2회
(1930년)
제3회
(1931년)
제4회
(1932년)
제5회
(1933년)
코미디:
루이스 마일스톤
(미인국 2인 행각)
드라마:
프랭크 보제이지
(제7의 천국)
프랭크 로이드
(정염의 미녀)
루이스 마일스톤
(서부 전선 이상 없다)
노먼 터로그
(스키피)
프랭크 보제이지
(나쁜 여자)
제6회
(1934년)
제7회
(1935년)
제8회
(1936년)
제9회
(1937년)
제10회
(1938년)
프랭크 로이드
(캐벌케이드)
프랭크 카프라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존 포드
(밀고자)
프랭크 카프라
(천금을 마다한 사나이)
레오 맥캐리
(이혼 소동)
제11회
(1939년)
제12회
(1940년)
제13회
(1941년)
제14회
(1942년)
제15회
(1943년)
프랭크 카프라
(우리 집의 낙원)
빅터 플레밍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존 포드
(분노의 포도)
존 포드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
윌리엄 와일러
(미니버 부인)
제16회
(1944년)
제17회
(1945년)
제18회
(1946년)
제19회
(1947년)
제20회
(1948년)
마이클 커티즈
(카사블랑카)
레오 맥캐리
(나의 길을 가련다)
빌리 와일더
(잃어버린 주말)
윌리엄 와일러
(우리 생애 최고의 해)
엘리아 카잔
(신사협정)
제21회
(1949년)
제22회
(1950년)
제23회
(1951년)
제24회
(1952년)
제25회
(1953년)
존 휴스턴
(시에라 마드레의 황금)
조셉 L. 맨키위즈
(세 부인)
조셉 L. 맨키위즈
(이브의 모든 것)
조지 스티븐스
(젊은이의 양지)
존 포드
(말 없는 사나이)
제26회
(1954년)
제27회
(1955년)
제28회
(1956년)
제29회
(1957년)
제30회
(1958년)
프레드 진네만
(지상에서 영원으로)
엘리아 카잔
(워터프론트)
델버트 만
(마티)
조지 스티븐스
(자이언트)
데이비드 린
(콰이 강의 다리)
제31회
(1959년)
제32회
(1960년)
제33회
(1961년)
제34회
(1962년)
제35회
(1963년)
빈센트 미넬리
(지지)
윌리엄 와일러
(벤허)
빌리 와일더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로버트 와이즈
제롬 로빈스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데이비드 린
(아라비아의 로렌스)
제36회
(1964년)
제37회
(1965년)
제38회
(1966년)
제39회
(1967년)
제40회
(1968년)
토니 리차드슨
(톰 존스의 화려한 모험)
조지 큐커
(마이 페어 레이디)
로버트 와이즈
(사운드 오브 뮤직)
프레드 진네만
(사계절의 사나이)
마이크 니콜스
(졸업)
제41회
(1969년)
제42회
(1970년)
제43회
(1971년)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캐럴 리드
(올리버!)
존 슐레진저
(미드나잇 카우보이)
프랭클린 J. 샤프너
(패튼 대전차군단)
윌리엄 프리드킨
(프렌치 커넥션)
밥 포시
(카바레)
제46회
(1974년)
제47회
(1975년)
제48회
(1976년)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조지 로이힐
(스팅)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대부 2)
밀로스 포먼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존 G. 아빌드센
(록키)
우디 앨런
(애니 홀)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제54회
(1982년)
제55회
(1983년)
마이클 치미노
(디어 헌터)
로버트 벤튼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로버트 레드포드
(보통 사람들)
워렌 비티
(레즈)
리처드 애튼버러
(간디)
제56회
(1984년)
제57회
(1985년)
제58회
(1986년)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제임스 L. 브룩스
(애정의 조건)
밀로스 포먼
(아마데우스)
시드니 폴락
(아웃 오브 아프리카)
올리버 스톤
(플래툰)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마지막 황제)
제61회
(1989년)
제62회
(1990년)
제63회
(1991년)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배리 레빈슨
(레인 맨)
올리버 스톤
(7월 4일생)
케빈 코스트너
(늑대와 춤을)
조나단 드미
(양들의 침묵)
클린트 이스트우드
(용서받지 못한 자)
제66회
(1994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제69회
(1997년)
제70회
(1998년)
스티븐 스필버그
(쉰들러 리스트)
로버트 저메키스
(포레스트 검프)
멜 깁슨
(브레이브 하트)
안소니 밍겔라
(잉글리쉬 페이션트)
제임스 카메론
(타이타닉)
제71회
(1999년)
제72회
(2000년)
제73회
(2001년)
제74회
(2002년)
제75회
(2003년)
스티븐 스필버그
(라이언 일병 구하기)
샘 멘데스
(아메리칸 뷰티)
스티븐 소더버그
(트래픽)
론 하워드
(뷰티풀 마인드)
로만 폴란스키
(피아니스트)
제76회
(2004년)
제77회
(2005년)
제78회
(2006년)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피터 잭슨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클린트 이스트우드
(밀리언 달러 베이비)
이안
(브로크백 마운틴)
마틴 스코세이지
(디파티드)
조엘 코엔
에단 코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제81회
(2009년)
제82회
(2010년)
제83회
(2011년)
제84회
(2012년)
제85회
(2013년)
대니 보일
(슬럼독 밀리어네어)
캐스린 비글로
(허트 로커)
톰 후퍼
(킹스 스피치)
미셀 하자나비시우스
(아티스트)
이안
(라이프 오브 파이)
제86회
(2014년)
제87회
(2015년)
제88회
(2016년)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알폰소 쿠아론
(그래비티)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버드맨)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데이미언 셔젤
(라라랜드)
기예르모 델 토로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제94회
(2022년)
제95회
(2023년)
알폰소 쿠아론
(로마)
봉준호
(기생충)
클로이 자오
(노매드랜드)
제인 캠피온
(파워 오브 도그)
다니엘 콴
다니엘 샤이너트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제96회
(2024년)
제97회
(2025년)
제98회
(2026년)
제99회
(2027년)
제100회
(2028년)
크리스토퍼 놀란
(오펜하이머)
----
}}}}}}}}}}}}}}}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각색상
제50회
(1978년)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앨빈 사전트
(줄리아)
올리버 스톤
(미드나잇 익스프레스)
로버트 벤턴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역대 베를린 영화제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
은곰상 : 감독상
<rowcolor=#000000> 제36회
(1986년)
제37회
(1987년)
제38회
(1988년)
기오르기 셴겔라이아
(젊은 작곡가의 여행)
올리버 스톤
(플래툰)
노만 주이슨
(문스 트럭)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BAFTA 로고.svg
감독상
제40회
(1987년)
제41회
(1988년)
제42회
(1989년)
우디 앨런
(한나와 그 자매들)
올리버 스톤
(플래툰)
루이 말
(굿바이 칠드런)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감독상
제43회
(1986년)
제44회
(1987년)
제45회
(1988년)
존 휴스턴
(프리찌스 오너)
올리버 스톤
(플래툰)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마지막 황제)
제46회
(1989년)
제47회
(1990년)
제48회
(1991년)
클린트 이스트우드
(버드)
올리버 스톤
(7월 4일생)
케빈 코스트너
(늑대와 춤을)
제48회
(1991년)
제49회
(1992년)
제50회
(1993년)
케빈 코스트너
(늑대와 춤을)
올리버 스톤
(JFK)
클린트 이스트우드
(용서받지 못한 자)
각본상
제35회
(1978년)
제36회
(1979년)
제37회
(1980년)
닐 사이먼
(굿바이 걸)
올리버 스톤
(미드나잇 익스프레스)
로버트 벤턴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제46회
(1989년)
제47회
(1990년)
제48회
(1991년)
나오미 포너
(허공에의 질주)
올리버 스톤
론 코빅
(7월 4일생)
마이클 블레이크
(늑대와 춤을)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이트.svg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4a1a1><colcolor=#fff,#000> 이름 올리버 스톤
OLIVER STONE
분야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영화 심볼.jpg 영화
입성날짜 1996년 3월 15일
위치 7013 Hollywood Blvd.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올리버 스톤
Oliver Stone
파일:external/www.phactual.com/a82.jpg
본명 윌리엄 올리버 스톤
William Oliver Stone
출생 1946년 9월 15일 ([age(1946-09-15)]세)
뉴욕 주 뉴욕 시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83cm
직업 영화감독, 각본가, 영화 제작자
데뷔 1974년 영화 《강탈》
학력 더 힐 스쿨 (졸업) (-1964년)
예일 대학교 (중퇴) (1964-1965년)
뉴욕 대학교 (BFA) (-1971년)
배우자 나즈와 사르키스(1971~1977)
엘리자베스 콕스(1981~1993)
정순정(1996~현재)[1]
자녀 아들 션 스톤(1984년생)[2][3]
아들 마이클 스톤(1991년생)[4]
딸 타라 스톤(1995년생)[5]
종교 불교
서명 파일:rijrnp5qT.jpg

1. 개요2. 영화 각본3. 영화 감독4. 여담

[clearfix]

1. 개요

미국영화감독. 아카데미 감독상을 2번이나 받은 명감독이다. 특유의 일관된 사회적 비판과 작품관으로 인해 많은 지지자와 안티를 동시에 가진 감독이기도 하다.[6]

작품을 보면 알지만 감독을 맡았던 작품들이 대개 미 보수파들이 '미국의 미덕'이라 부를만한 것들에 대해 가차없이 비판을 가하는 작품들이 많고[7] 흥행작도 많다. 플래툰, 7월 4일생에서는 '전장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광기'와 후유증을[8], 월스트리트에서는 '자본주의 안에 숨겨있는 인간의 탐욕'을 가혹하게 비판하는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2. 영화 각본

올리버 스톤은 영화 시나리오를 쓰면서 헐리우드에서 이름을 알렸다. 존 밀리어스 감독의 영화 <코난>(1981, 아놀드 슈워제네거 주연) 각본을 썼으며 그 유명한 <스카페이스>도 그가 시나리오를 쓴 것이다. (마약이라는 키워드가 있는걸 보면 의미심장하다.)

플래툰으로 아카데미상을 받으며 유명해지기 전에는 감독 데뷔작인 악마의 여왕 (Seizure, 1974)를 비롯하여 악마의 손(The Hand, 1981)같은 호러영화들도 감독한 바 있다. 탈옥을 다룬 영화, <미드나잇 익스프레스 Midnight Express>(1978)로 아카데미 각본상을 받으며(감독은 알란 파커) 각본가로도 이름을 떨쳤으나 이 영화가 터키를 너무 악랄하게 표현했다는 비난 속에 결국 터키에 가서 사과 방송을 한 적도 있다.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했는데, 영화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마약 밀매를 하여 감옥에 간 미국인 빌리 헤이즈 이야기를 다루었다. 하지만, 영화를 본 실존인물 빌리 헤이즈는 영화가 꽤 부풀려졌다고 되려 영화를 비난했다. 결국 감독인 파커도 나중에 터키 신문으로 사과발언을 했다.)

3. 영화 감독

올리버 스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bgcolor=#AAC75B> 파일:악마의여왕로고.png || 파일:악마의손로고.png || 파일:살바도르로고.png ||
지옥의 여왕 (1974) 악마의 손(1981) 살바도르 (1986)
파일:플래툰로고.png 파일:월스트리트로고.png 파일:토크라디오로고.png
플래툰 (1986) 월 스트리트 (1987) 토크 라디오 (1988)
파일:7월4일생로고.png 파일:도어스로고.png 파일:JFK로고.png
7월 4일생 (1989) 도어스 (1989) JFK (1991)
파일:하늘과땅2.png 파일:올리버 스톤의 킬러로고.png 파일:닉슨로고.png
하늘과 땅 (1993) 올리버 스톤의 킬러 (1994) 닉슨 (1995)
파일:유턴로고.png 파일:애니기븐선데이로고.png 파일:알렉산더로고.png
유턴 (1997) 애니 기븐 선데이 (1999) 알렉산더 (2004)
파일:월드트레이드센터로고.png 파일:더프레지던트로고.png 파일:월스트리트머니네버슬립스로고.png
월드 트레이드 센터 (2006) 더 프레지던트 (2008) 월 스트리트:머니 네버 슬립스 (2010)
파일:파괴자들로고.png 파일:스노든로고.png
파괴자들 (2012) 스노든 (2016)

※ 다큐멘터리 제외
한국에도 동명의 잡지가 있다. 윌럼 더포찰리 쉰을 비롯한 모든 출연 배우가 3주간 정글전 체험을 한다. 감독 자신이 베트남전 참전 경험이 있는 데다가 군사고문인 데일 다이가 짧은 시간 동안 정글전에서 받을 수 있는 모든 경험을 다 시키려고 했다고. 이 영화의 시나리오는 올리버 스톤이 베트남전에서 전역한 뒤 7년 만에 초고가 완성되고, 다시 7년 후에 영화화된 꽤 오래묵은 시나리오였으며, 당시로서는 600만 달러짜리 저예산 영화였다.
찰리 쉰은 패러디 영화인 못말리는 람보에 출연하고 만다.(참고로 람보리처드 크레나도 출연한다.)
거장 스탠리 큐브릭풀 메탈 재킷을 흥행으로 완패시켰다. (풀 메탈 재킷이 망한 건 아니지만, 플래툰이 이 영화의 3배가 넘는 흥행을 거두었기 때문.) 허나, 큐브릭 본인은 플래툰을 좋아한다고한다.

4. 여담

어린 시절 올리버 스톤은 증권거래소에 다니는 유대계 아버지[12] 밑에서 자랐는데, 아버지의 불륜 때문에 가정이 파탄났다.(...) 하지만 아버지와는 계속 알고 지냈다고 한다. 그리고 대학교 시절에 영어강사를 하기 위해 베트남으로 갔다. 물론 그때는 베트남전이 일어나기 전이었다. 그리고 21살에는 베트남전에 자원 입대한다. 군 생활 중에 제1 기병사단 레인저 연대의 모태가 되는 장거리 정찰대(LRRP)에서 복무했다. 거기서 플래툰의 캐릭터 일라이어스의 실제 모티브가 되는 선임과 만난다. 이때 두 번의 부상을 입었지만 무공훈장과 그를 일생동안 괴롭혀온 마약 중독을 얻게 되었다.

상기했듯 그는 베트남전에서 마약 중독에 빠지게 되는데, 나중에는 갱생원에 갔다고 했지만, 결국 마약을 계속하다가 투여량을 잘못 조절해서 죽을 뻔한 적도 있다고 한다. 2005년에는 마약하고 운전을 했다가 경찰에 체포되기도 했었다.# 또 자서전을 읽어보면 아버지 음식에 마약을 약간 타서 먹인 적이 있다고 한다. 아버지가 깜짝 놀라자 올리버 스톤이 장난스럽게 "뭔 일 있나요” 이런 식으로 물었다고 한다.

여자 관계가 꽤 복잡하다는 루머가 있지만, 외부적으론 자세한게 밝혀진건 첫 번째 부인과의 결혼이 바람으로 파탄났다는 정도. 이건 여자관계가 복잡했던 부친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도 있다. 그래서 마약을 음식에..? 참고로 3번째 부인이 한국계 여성이다.

한국영화에 여러 차례 관심을 보인 적 있는데 영화 ‘알렉산더’를 촬영할 당시엔 김성수 감독의 무사전 스탭들에게 관람 주문하기도 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한국에도 여러 차례 방한하였고 이명세 감독과 대담도 하였고 이래저래 아시아 문화권에 많은 관심을 보이는 감독이다.

2013년 8월 3일에는 방한, 제주도 해군 기지 건설 논란 관련해 반대 주장을 하고 가기도 했다.

2015년 1월 2일, “우크라이나인들은 미국 신냉전 전략의 희생자들”이라고 미국 정부를 비난했다.기사 현재 유로마이단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있다고 한다. 이름은 '우크라이나: CIA 쿠데타'. (Ukraine: The CIA Coup) 2016년에 Ukraine On Fire라는 다큐멘터리를 만들었으며, 그 후속작인 Ukraine Revealing을 2019년에 만들었다. 두 작품 모두 우크라이나 사태의 서방 개입과 네오나치 그리고 스테판 반데라의 비판을 담고 있으며, 미국을 비판하는 입장을 취했다. 따라서 우크라이나 공영방송에서는 상영을 금지했다.

뜬금없지만 울트라맨 가이아의 광팬으로 유명하며 헐리우드화도 직접 하려고 했지만 거절당했다고 한다.

저서로는 아무도 말하지 않는 미국 현대사 2부작 짜리 역사 서적이 있다. 하워드 진이나 노엄 촘스키가 쓴 서적들처럼 미 제국주의를 비판적 시각에서 본 책이다. 책이 나오기 이전에 다큐멘터리로도 제작되었다.

이오시프 스탈린에 대해 제2차 세계 대전을 승리로 이끈 지도자로 평가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의외로 자신이 만드는 영화 스타일과 180도 다른 저예산 슬레셔 영화를 주로 만드는 제작사 트로마의 대표 로이드 카우프먼과 겹치는 점이 많다. 예일대에 학적을 둔 적이 있고 (올리버 스톤은 도중에 나갔지만은) 월남전 참전 경험이 있다는 점 등.

2020년 관동대학살 추모식에 메세지를 보냈다. 또한 당해 말에는 코로나 창궐 상황에 대비해서 스푸트니크 V 백신을 맞았다고 한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선 미국은 양심에 따라 침략 전쟁을 많이 벌이고 있지만, 우크라이나에 대한 푸틴 대통령의 침략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는 반응의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 페이스북 글 링크. 미국의 내로남불도 많이 깠고 남의 나라 사정도 많이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편인 그지만, 러시아의 침공은 그 자체로 부당하다고 본 것.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올리버 스톤이 러시아에 대한 우호적인 입장을 완전히 전환한 것으로 볼 수는 없다. 즉, 앞의 부분은 어디까지나 침공에 대한 실책을 지적했던 것이다. 전쟁이 발발하고 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올리버 스톤은 이 전쟁을 부추기고 이를 통해 이득을 보는 세력이 미국임을 분명히 했으며, 우크라이나의 작위적인 언론검열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한 2022년 5월에 부차 학살이 우크라이나 정부와 서방에 의해 조작되었다는 트위터를 올리기도 했다.# # # 사실 2013년 유로마이단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올리버 스톤의 입장은 일관적이었다. 앞서 언급한 유로마이단과 돈바스 내전을 다룬 다큐멘터리 '우크라이나 불길에 휩싸이다(Ukraine On Fire 2016)'에서 스톤은 우크라이나의 네오나치나 극우주의 그리고 미국 네오콘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따라서 올리버 스톤은 초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공은 분명 잘못됐음을 인정하는 한편, 전쟁 과정에서 서방이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선택적인 분노를 하고 있고, 여론조작을 하고 있다고 보며 비판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기후변화로 원자력 발전에 대해서 다시 보았다며, 원전을 지지했다.# # # 특히 “한국에는 숙련된 엔지니어와 과학자가 많고 표준형 원자로가 있으며, 아주 저렴한 가격에 전기를 생산하고 있었는데 탈원전 정책을 펼치기 시작했다”고 언급하며 “2016년 성공을 거둔 영화 ‘판도라’는 실제 후쿠시마보다 더 끔찍한 원전사고를 다루었고, 반핵 여론 형성에 일조했다”고 비판했다.#

[1] 이름 그대로 한국인이며, 스톤 부부를 직접 만나본 윤여정언급에 따르면 전남 신안 출신이라고 한다.[2] 엘리자베스 콕스 사이의 자녀[3] 2012년 이란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했다.[4] 엘리자베스 콕스 사이의 자녀[5] 정순정 사이의 자녀[6] 쿠엔틴 타란티노처럼 별로 안좋아하는 감독도 있고(타란티노와는 내추럴 본 킬러 때문에 악연이 있다.) 스탠리 큐브릭처럼 옹호하는 감독도 있다.[7] 정작 아이러니하게도 올리버 스톤은 명문대를 졸업한 인텔리에다 반전주의가 횡행하던 베트남 전쟁 기간에 의무병역을 마친 그들 기준 바람직한 미국인의 초상에 부합되는 인물이다.[8] 미국 보수파들은 베트남 전쟁을 '공산주의 확산 방지를 위한 필요악'이었다고 보기도 한다. 물론 실패한게 함정이지만.[9] 원제: 내추럴 본 킬러[10] 자신들에게 잠자리와 식사를 제공해준 한 인디언 노인을 실수로 죽였는데(꿈에서 괴물을 보고 놀라서 잠결에 총을 쏴버렸는데 하필 총구방향에 노인이 있었다.) 그건 후회하는지, 인터뷰를 할 때도 다른 피살자들은 관심없는데 그 노인에게만은 정말 죄송하고 후회한다고 얘기한다.[11] 이것 때문에 타란티노는 이 영화의 오리지널 스토리를 책으로 낼려다가 소송을 당하기도 했다고 한다. 미카엘 하네케 감독이 비판한 타란티노의 폭력성도 그닥...[12] 조부 때부터 기독교로 개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