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09:43:49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상
'''[[틀:아카데미상|Academy Award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colbgcolor=#dfca4e><colcolor=#000> 시상 부문 작품상 · 감독상 · 여우주연상 · 남우주연상 · 여우조연상 · 남우조연상 · 각본상 · 각색상 · 음악상 · 주제가상 · 프로덕션 디자인상 · 분장상 · 의상상 · 촬영상 · 편집상 · 시각효과상 · 음향상 · 국제영화상 · 장편 애니메이션상 · 단편 애니메이션상 · 단편 영화상 · 장편 다큐멘터리상 · 단편 다큐멘터리상 · 공로상
시상식 1920년대 1929년
1930년대 1930년, 1930년, 1931년, 1932년, 1934년, 1935년,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1970년대 1976년
1980년대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대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대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대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대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수상 관련 수상 기록 · 수상 논란
}}}}}}}}}}}}}}}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 제98회 아카데미 시상식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
97th Academy Awards
파일:97th Oscars Poster.jpg
<colbgcolor=#000><colcolor=#fff> 일시 현지 시각 2025년 3월 2일 오후 7시
한국 시각 2025년 3월 3일 오전 9시
국가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 돌비 극장
방송사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OCN[1]파일:세계 지도.svg ABC, 훌루

1. 개요
1.1. 일정
2. 후보작 및 수상작
2.1. 작품상
2.1.1. 수상 예측2.1.2. 결과
2.2. 감독상
2.2.1. 수상 예측2.2.2. 결과
2.3. 여우주연상
2.3.1. 수상 예측2.3.2. 결과
2.4. 남우주연상
2.4.1. 수상 예측2.4.2. 결과
2.5. 여우조연상
2.5.1. 수상 예측2.5.2. 결과
2.6. 남우조연상
2.6.1. 수상 예측2.6.2. 결과
2.7. 각본상
2.7.1. 수상 예측2.7.2. 결과
2.8. 각색상
2.8.1. 수상 예측2.8.2. 결과
2.9. 음악상
2.9.1. 수상 예측
2.10. 주제가상
2.10.1. 수상 예측
2.11. 미술상
2.11.1. 수상 예측
2.12. 분장상
2.12.1. 수상 예측
2.13. 의상상
2.13.1. 수상 예측
2.14. 촬영상
2.14.1. 수상 예측
2.15. 편집상
2.15.1. 수상 예측
2.16. 시각효과상
2.16.1. 수상 예측
2.17. 음향상
2.17.1. 수상 예측
2.18. 장편 애니메이션상
2.18.1. 수상 예측
2.19. 장편 국제영화상
2.19.1. 수상 예측
2.20. 장편 다큐멘터리상
2.20.1. 수상 예측
2.21. 단편 다큐멘터리상2.22. 단편 실사영화상2.23. 단편 애니메이션상
3. 특별상
3.1. 공로상3.2. 어빙 G. 솔버그 기념상3.3. 진 허숄트 박애상
4. 이야깃거리

[clearfix]

1. 개요

2025년 3월 3일에 개최되는 아카데미 시상식.

미국의 코미디언이자 전 토크쇼 진행자 코난 오브라이언이 사회를 맡았으며, 코난 오브라이언의 첫 오스카 사회 자리이다.

1.1. 일정

아카데미상 #
타 주요 시상식 일정 [ 펼치기 · 접기 ]
* 제82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2025년 1월 6일

2. 후보작 및 수상작

복수 부문에서 후보에 오른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2.1. 작품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제작자 배급사
아노라 알렉스 코코
사만다 콴
션 베이커
파일:니온 로고.svg파일:니온 로고 화이트.svg
브루탈리스트 닉 고든
브라이언 영
앤드류 모리슨
D.J 구겐하임
브레이디 코벳
파일:A24 로고.svg파일:A24 로고 흰색.png
컴플리트 언노운 프레드 버거
제임스 맨골드
알렉스 하인만
파일:서치라이트 픽처스 로고.svg파일:서치라이트 픽처스 로고 화이트.svg
콘클라베 테사 로스
줄리엣 하웰
마이클 A. 잭맨
파일:포커스 피처스 로고.svg파일:포커스 피처스 로고 화이트.svg
듄: 파트 2 매리 페어런트
케일 보이터
타냐 라푸앵트
드니 빌뇌브
파일: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로고(2023).svg
에밀리아 페레즈 파스칼 코셰토
자크 오디아르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아임 스틸 히어 마리아 카를로타 페르난데스 브루노
로드리고 테세이라
파일:Sony Pictures Classics_logo.png파일:소니 픽처스 클래식 로고 화이트.png
니클의 소년들 디디 가드너
제레미 클라이너
조슬린 반스
파일:Amazon_MGM_Studios.png
서브스턴스 코랄리 파르자
팀 베번
에릭 펠너
파일:MUBI 로고.svg
위키드 마크 플랫 파일:유니버설 픽처스 로고.svg파일:유니버설 픽처스 로고(화이트).svg

2.1.1. 수상 예측


오스카 레이스 초반에는 현대적 고전 걸작의 탄생이라는 찬사를 들은 <브루탈리스트>와 전위적인 연출로 화제가 된 <에밀리아 페레즈>가 유력 후보로 떠올랐다. 하지만 후보 공개 전후로 <브루탈리스트>는 AI 사용 논란, <에밀리아 페레즈>는 멕시코 및 트랜스젠더에 대한 모멸적 묘사 논란 및 주연 배우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의 과거 혐오 발언 발굴로 홍역을 치렀다.

특히 <에밀리아 페레즈>의 경우, 인터넷상에서 매우 강도 높은 비판과 함께[19] 각종 사이트에서의 평점 테러가 발생할 정도로 격양된 상황까지 몰려 있어 아카데미 회원들도 쉽사리 뽑지 못할 분위기가 형성되었다.[20] 게다가 이러한 여론이 트랜스포비아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트랜스젠더를 비롯한 LGBTQ+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는 점이 큰 문제이다.

<브루탈리스트>는 <에밀리아 페레즈>보다 상대적으로 덜 시끄럽다고는 해도, 하필 2년 전 할리우드 파업 사태의 주된 원인으로 꼽혔던 생성형 AI 문제를 건드렸기에 수상에 있어 충분한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다.[21]

이러한 혼란 속에서 <아노라>가 유력 후보로 떠올랐다. <아노라>는 션 베이커 감독의 섬세한 연출과 마이키 매디슨, 유리 보리스프 등 주조연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력으로 구축한 매력 있는 캐릭터로 이민자 출신 성노동자의 고된 현실을 유쾌하면서도 씁쓸하게 연출한 수작 블랙 코미디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였다.

본격적인 오스카 레이스에 들어가기 앞서 가장 유력한 작품상 후보 중 하나로 꼽혔지만 골든 글로브에서 충격적인 무관에 그치면서 오스카 레이스에서 탄력을 잃는 분위기였다.[22] 그러나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에서 깜짝 작품상을 수상하고[23], PGA 작품상까지 연달아 가져가면서 <아노라>가 가장 유력한 후보가 되었다.

한편 BAFTA에서는 <콘클라베>가 작품상을 수상하면서 1순위 <아노라>, 2순위 <브루탈리스트>, 3순위 <콘클라베>의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2.1.2. 결과

2.2. 감독상

<rowcolor=#ffffff,#2d2f34> 감독 작품
션 베이커 아노라
브레이디 코벳 브루탈리스트
제임스 맨골드 컴플리트 언노운
자크 오디아르 에밀리아 페레즈
코랄리 파르자 서브스턴스

<브루탈리스트>의 브레이디 코벳, <아노라>의 션 베이커, <에밀리아 페레즈>의 자크 오디아르가 확실한 후보로 점쳐지고, <콘클라베>의 에드워드 버거와 <서브스턴스>의 코랄리 파르자가 그 뒤를 이었다. <니클의 소년들>의 라멜 로스, <위키드>의 존 추, <듄: 파트 2>의 드니 빌뇌브, 컴플리트 언노운제임스 맨골드 등이 와일드 카드로 거론된 끝에 버거 대신 맨골드가 후보에 올랐다.

2.2.1. 수상 예측


<아노라>에서 사회비판적 메세지를 날카로우면서도 유머러스하게 풀어낸 훌륭한 스토리텔링과 연출을 보여준 만개한 거장 션 베이커와 <브루탈리스트>를 고전 대서사시 영화 감성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연출해낸 떠오르는 샛별 브레이디 코벳의 2파전으로 예측된다. 이번 아카데미 시상식에 있어 가장 치열한 수상 경쟁이 예측되는 부문이다.

2.2.2. 결과

2.3. 여우주연상

<rowcolor=#ffffff,#2d2f34> 배우 작품 배역
신시아 에리보 위키드 엘파바 트롭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 에밀리아 페레즈 에밀리아 페레즈 / 후안 마니타스 델 몬테
마이키 매디슨 아노라 아노라 '애니' 메이헤바
데미 무어 서브스턴스 엘리자베스 스파클
페르난다 토히스 아임 스틸 히어 유니스 파이바

무어, 매디슨, 가스콘[24], 에리보가 후보 지명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남은 한 자리를 두고 <아임 스틸 히어>의 페르난다 토히스, <하드 트루스>의 마리애나 장바티스트, <마리아>의 안젤리나 졸리, <더 라스트 쇼걸>의 파멜라 앤더슨, <베이비걸>의 니콜 키드먼이 치열한 경쟁을 벌였으며, 골든 글로브 수상의 흐름을 타고 토히스가 후보에 올랐다.[25]

2.3.1. 수상 예측


데미 무어는 <서브스턴스>에서 대중들의 관심과 젊음에 집착하는 중년 여배우 "엘리자베스 스파클" 역할을 맡아 임팩트 있는 연기로 호평을 받았고, 골든글로브와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수상하며 가장 유력한 후보로 자리잡았다.[26]

BAFTA에서는 <아노라>의 마이키 매디슨이 수상하며 다크호스로 떠오르는 모양새다. 다른 주요 시상식에서 상을 놓쳤지만 BAFTA에서의 수상을 바탕으로 오스카 트로피까지 거머쥔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안소니 홉킨스라는 가까운 선례도 있기 때문에, 쉽게 수상자를 예단하기는 힘들게 되었다. BAFTA 시상식이 아카데미 회원들의 최종 투표 기간이 끝나갈 무렵에 열렸기 때문에 마이키 매디슨으로 분위기가 바뀔 수도 있다.

<아임 스틸 히어>에서 가슴을 치게 하는 잔잔하고 강인한 명연기로 비영어 영화의 장벽을 넘어 세계적인 사랑을 받은 페르난다 토히스도 가능성이 있다.[27] 페르난다 토히스는 골든글로브와 아카데미에서만 후보 지명이 된 상황이기 때문에 다른 시상식에서의 결과에 관계없이 오스카에서는 페르난다 토히스가 받을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28]

만약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이 수상한다면, 아카데미 시상식 최초로 트랜스젠더 여우주연상 수상자가 탄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25년 1월,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이 한 인터뷰에서 페르난다 토히스 측에서 자신을 상대로 네거티브 여론 공작을 펼치고 있다는 근거없는 주장을 내놓으며 논란이 점화되었다. # 경쟁상대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음해하는 것은 아카데미 규정에 위배되는 것이라 후보 자격 박탈까지 거론되었다. 이를 계기로 그녀의 과거 SNS상의 각종 인종차별 발언들[29]이 재발굴되며 논란이 커졌고, 결국 사과문을 업로드하고, X(구 트위터) 계정은 삭제하기까지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론은 좋지 못하여 인스타그램에서 아카데미 계정이 그를 언팔로우하는 등 여러 유명인들도 그녀와 거리를 두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넷플릭스 측도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에 대한 여우주연상 캠페인을 지원하지 않기로 했으며, 심지어 오스카 홍보 포스터에서 가스콘을 빼기까지 했다. # 해외 도박사들 사이에서 가스콘은 이번 사건 여파로 인해 배당 최하위까지 밀려났다. #

2.3.2. 결과

2.4. 남우주연상

<rowcolor=#ffffff,#2d2f34> 배우 작품 배역
에이드리언 브로디 브루탈리스트 라즐로 토스
티모시 샬라메 컴플리트 언노운 밥 딜런
콜먼 도밍고 씽씽 존 디바인 G. 휘필드
레이프 파인스 콘클라베 토머스 로렌스 추기경
세바스찬 스탠 어프렌티스 도널드 트럼프

브로디, 샬라메, 도밍고, 파인스가 후보로 확정되는 분위기 속에 <퀴어>의 다니엘 크레이그, <어프렌티스>의 세바스찬 스탠, <헤레틱>의 휴 그랜트 등이 경쟁했으며, 스탠이 후보에 올랐다.[30]

2.4.1. 수상 예측


에이드리언 브로디는 <브루탈리스트>에서 홀로코스트 생존자 출신 유대인 이민자가 미국에서 겪는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생생하게 연기하였으며, 골든 글로브와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유력 수상 후보로 예측되고 있다. 만약 수상한다면 <피아니스트> 이후 22년 만의 두 번째 수상인데, 공교롭게도 두 작품 모두 브로디가 홀로코스트 피해자 역할을 맡았다.

다크 호스로는 밥 딜런 역할을 완벽하게 소화한 티모시 샬라메가 거론되고 있다. 만약 티모시 샬라메가 수상한다면 2003년 7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피아니스트>로 최연소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던 에이드리언 브로디의 기록을 깰 수 있다.

2.4.2. 결과

2.5. 여우조연상

<rowcolor=#ffffff,#2d2f34> 배우 작품 배역
모니카 바바로 컴플리트 언노운 조안 바에즈
아리아나 그란데 위키드 글린다 업랜드
펄리시티 존스 브루탈리스트 엘제벳 토스
이사벨라 로셀리니 콘클라베 아그네스 수녀
조 샐다나 에밀리아 페레즈 리타 모라 카스트로
<에밀리아 페레즈>의 조 샐다나, <위키드>의 아리아나 그란데, <콘클라베>의 이사벨라 로셀리니, <브루탈리스트>의 펄리시티 존스가 유력 후보로 부상한 가운데, 나머지 한 자리에는 <서브스턴스>의 마가렛 퀄리, <라스트 쇼걸>의 제이미 리 커티스, <피아노 레슨>의 다니엘 데드와일러, <에밀리아 페레즈>의 셀레나 고메즈, <컴플리트 언노운>의 모니카 바바로, <니클의 소년들>의 안저뉴 엘리스 테일러가 경쟁한 끝에 바바로가 이름을 올렸다.

2.5.1. 수상 예측


<에밀리아 페레즈>에서 인상적인 뮤지컬 넘버 대부분을 책임진 조 샐다나가 유력한 수상 후보이다. 샐다나는 영화 내에서 약간의 논란이 있긴 하지만 카를라랑 달리 본인 인성 문제가 터진 것도 아니고 타이틀 롤만 아닐 뿐 준주역급 활약해 수상 가능성이 높다.

2.5.2. 결과

2.6. 남우조연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배우 배역
아노라 유리 보리소프 이고르
리얼 페인 키에란 컬킨 벤지 카플란
컴플리트 언노운 에드워드 노튼 피트 시거
브루탈리스트 가이 피어스 해리슨 리 밴 뷰런
어프렌티스 제레미 스트롱 로이 콘
<리얼 페인>의 키에란 컬킨, <브루탈리스트>의 가이 피어스, <아노라>의 유리 보리소프, <컴플리트 언노운>의 에드워드 노턴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고, 남은 한 자리에는 <글래디에이터 II>의 덴젤 워싱턴, <어프렌티스>의 제레미 스트롱, <씽씽>의 클라렌스 맥클린 등이 경쟁한 끝에 스트롱이 본선에 진출했다.

2.6.1. 수상 예측


<석세션>에 이어 <리얼 페인>까지 호평받으며 절정의 연기력을 보여준 키에란 컬킨이 유력하다.

2.6.2. 결과

2.7. 각본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각본가
아노라 션 베이커
브루탈리스트 브레이디 코벳, 모나 파스트볼
리얼 페인 제시 아이젠버그
9월 5일: 위험한 특종 팀 펠바움, 모리츠 빈더, 알렉스 데이비드
서브스턴스 코랄리 파르자

2.7.1. 수상 예측


두 사회풍자 코미디의 맞대결이 벌어지는 부문이다. 여성에 대한 사회의 교묘한 압박의 굴레를 파격적인 상상력으로 풀어낸 <서브스턴스>와 자본주의 계급 사회에 대한 통렬한 풍자를 담은 <아노라>가 맞붙는다.[31] 올해의 힐링 영화라는 호평을 받은 <리얼 페인>도 수상작 선정 투표 기간 중에 열린 BAFTA 각본상을 수상하면서 아카데미 회원들의 주목을 받을 가능성이 생겼다.

2.7.2. 결과

2.8. 각색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각본가 원작
컴플리트 언노운 제임스 맨골드, 제이 콕스 엘리자 월드의 평전 《Dylan Goes Electric!》
콘클라베 피터 스트로갠 로버트 해리스의 소설 《콘클라베
에밀리아 페레즈 자크 오디아르 자크 오디아르의 오페라용 극본 《에밀리아 페레즈》
니클의 소년들 라멜 로스, 조슬린 반스 콜슨 화이트헤드의 소설 《니클의 소년들》
씽씽 그렉 퀘다르, 클린트 벤틀리(원안, 각본)
클라렌스 맥클린, 존 "디바인 G" 휘필드(원안)
존 H. 리처드슨의 기사 《The Sing Sing Follies》, 브렌트 뷸의 희곡 《Breakin' the Mummy's Code》

2.8.1. 수상 예측


극심한 양극화 시대 속 진보와 보수의 진영 갈등에 대한 통찰을 종교, 정치 스릴러 영화의 문법으로 풀어낸 <콘클라베>기 유력 후보이다. 비극적인 역사의 기억을 신선한 방식으로 체화시킨 <니클의 소년들>도 가능성이 있다.[32]

2.8.2. 결과

2.9. 음악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작곡가
브루탈리스트 다니엘 블룸버그
콘클라베 볼커 베텔만
에밀리아 페레즈 카미유 달메, 클레망 뒤콜
위키드 스티븐 슈워츠, 존 파월
와일드 로봇 크리스 바우어스
1차 후보 [ 펼치기 · 접기 ]
* 〈에이리언: 로물루스

2.9.1. 수상 예측

골든 글로브,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음악상을 수상한 <챌린저스>가 오스카에선 후보에도 오르지 못하는 이변이 발생했다.[33]

언론과 배팅 사이트에서는 <브루탈리스트>가 주요 수상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2.10. 주제가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노래 작사가, 작곡가
에밀리아 페레즈 El Mal 클레망 뒤콜 (작곡) / 클레망 뒤콜, 카미유 달메, 자크 오디아르 (작사)
6888 중앙우편대대 The Journey 다이앤 워렌 (작사·작곡)
씽씽 Like A Bird 에이브러햄 알렉산더, 아드리안 퀘사다 (작사·작곡)
에밀리아 페레즈 Mi Camino 카미유 달메, 클레망 뒤콜 (작사·작곡)
엘튼 존: 네버 투 레이트 Never Too Late 엘튼 존, 브랜디 칼라일, 앤드류 와트, 버니 토핀 (작사·작곡)
1차 후보 [ 펼치기 · 접기 ]
* 〈베터 맨〉의 “Forbidden Road”[34]

2.10.1. 수상 예측


<에밀리아 페레즈>에서 모순되고 뻔뻔한 세상의 부조리를 표현한 넘버인 "El Mal"이 유력하다.

2.11. 미술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미술 감독 세트 데코레이터
브루탈리스트 주디 베커 파트리샤 구치아
콘클라베 수지 데이비스 신시아 슬레이터
듄: 파트 2 파트리스 베르메트 셰인 뷔유
노스페라투 크레이그 라트로프 베아트리스 브렌트네로바
위키드 네이선 크롤리 리 샌데일스

2.11.1. 수상 예측


오즈의 세계를 대작다운 스케일과 환상적인 색감으로 창조해낸 <위키드>가 수상할 것으로 예측된다.

2.12. 분장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메이크업 아티스트, 헤어 스타일리스트
어 디프런트 맨 마이크 마리노, 데이비드 프레스토, 크리스탈 후라도
에밀리아 페레즈 줄리아 플로치 카보넬, 엠마누엘 장비에, 장-크리스토프 스파다치니
노스페라투 데이비드 화이트, 트레이치 로더, 수잔느 스톡스-먼튼
서브스턴스 피에르-올리비에 페르신, 스테파니 길리온, 마릴린 스카셀리
위키드 프란세스 하농, 로라 블런트, 사라 누스
1차 후보 [ 펼치기 · 접기 ]
* 〈어프렌티스

2.12.1. 수상 예측

폭력적인 미의 기준을 고발하고 실감나는 특수 분장으로 호평받은 <서브스턴스>가 유력 수상 후보이다.

2.13. 의상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의상 디자이너
컴플리트 언노운 애리언 필립스
콘클라베 리시 크리스틀
글래디에이터 II 잔티 예이츠, 데이비드 크로스맨
노스페라투 린다 뮈르
위키드 폴 타즈웰

2.13.1. 수상 예측

다채로운 캐릭터들의 개성과 매력을 각양각색의 의상으로 각인시킨 <위키드>가 유력 수상 후보이다.

2.14. 촬영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촬영 감독
브루탈리스트 롤 크롤리
듄: 파트 2 그레이그 프레이저
에밀리아 페레즈 폴 기욤
마리아 에드워드 래크먼
노스페라투 자린 블리슈크

2.14.1. 수상 예측


낮은 채도의 흑백에 가까운 컬러를 통해 고전적인 고딕 호러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영상미와 미장센을 보여준 <노스페라투>, 웅장하면서도 고전적인 감성의 영상미를 선보인 <브루탈리스트>가 유력 후보이다.

2.15. 편집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편집 감독
아노라 션 베이커
브루탈리스트 다비드 얀초
콘클라베 닉 에머슨
에밀리아 페레즈 쥘리에트 웰플링
위키드 마이런 커스타인

2.15.1. 수상 예측

2.16. 시각효과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후보
에이리언: 로물루스 에릭 바르바, 넬슨 세풀베다-파우저, 다니엘 마카린, 셰인 마한
베터 맨 루크 밀러, 데이비드 클레이튼, 키스 헤르프트, 피터 스텁스
듄: 파트 2 폴 램버트, 스티븐 제임스, 라이스 살콤베, 게드 네프저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에릭 윈키스트, 스티븐 윈터브란츠, 폴 스토리, 로드니 버크
위키드 파블로 헬만, 조나단 파우크너, 데이비드 셔크, 폴 코볼드
1차 후보 [ 펼치기 · 접기 ]
* 〈에이리언: 로물루스

2.16.1. 수상 예측

아라키스의 웅장한 세계를 현실로 구현하고 실제 특수효과와 시각효과의 매끄러운 결합을 보여준 <듄: 파트 2>가 시리즈 2연속 수상에 도전한다.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도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다.

2.17. 음향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후보
컴플리트 언노운
듄: 파트 2
에밀리아 페레즈
위키드
와일드 로봇
1차 후보 [ 펼치기 · 접기 ]
* 〈에이리언: 로물루스

사실적이고 현장감 넘치는 사운드를 들려준 〈시빌 워: 분열의 시대〉와 효과적으로 적재적소에 쓰인 과장된 사운드를 들려주고 BAFTA, AMPS에서 노미네이트된 〈서브스턴스〉가 1차 예비 후보에도 들지 못하는 이변이 있었다.

2.17.1. 수상 예측

2.18. 장편 애니메이션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감독·제작자
플로우 긴츠 질발로디스, 마티스 카자
인사이드 아웃 2 켈시 맨, 마크 닐슨
달팽이의 회고록 아담 엘리엇, 리즈 키어니
월레스와 그로밋: 복수의 날개 닉 파크, 멀린 크로싱햄, 리차드 빅
와일드 로봇 크리스 샌더스, 제프 헤르만

2.18.1. 수상 예측

2.19. 장편 국제영화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감독 국가
아임 스틸 히어 바우테르 살리스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바늘을 든 소녀 매그너스 본 혼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에밀리아 페레즈 자크 오디아르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성한 나무의 씨앗 모하마드 라술로프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플로우 긴츠 질발로디스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1차 후보 [ 펼치기 · 접기 ]
* 브라질의 〈아임 스틸 히어

대한민국은 <서울의 봄>을 국제영화상 후보로 출품했으나, 1차 숏리스트에서 탈락했다.

2.19.1. 수상 예측

올해 시상식 최고 화제작으로 떠오른 <에밀리아 페레즈>가 유력하나, 작품상 후보에 함께 오른 <아임 스틸 히어>가 다크 호스가 될 가능성도 있다. 본심 투표를 앞두고 터진 <에밀리아 페레즈>에 대한 각종 논란이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본심 투표 기간에 열린 BAFTA에서도 <에밀리아 페레즈>가 받으면서 논란에 관계없이 이 상만큼은 <에밀리아 페레즈>로 확정되는 분위기이다.

2.20. 장편 다큐멘터리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감독·제작자
Porcelain War 파울라 두프레 페스맨, 브렌던 벨로모, Aniela Sidorska, Slava Leontyev
블랙 박스 다이어리 이토 시오리, 에릭 니아리, Hanna Aqvilin
쿠데타의 사운드트랙 요한 그리몬프레즈, 레미 그렐티, 단 밀리어스
노 어더 랜드 유발 이브라함, Basel Adra, 레이첼 쇼르, Yuval Abraham
슈거케인 Julian Brave NoiseCat, 에밀리 캐시, 켈렌 퀸
1차 후보 [ 펼치기 · 접기 ]
* 〈The Bibi Files〉
  • 〈블랙 박스 다이어리〉
  • 다호메이
  • 〈아빠와 딸의 춤〉
  • 〈이노〉
  • 〈쿠데타의 사운드트랙〉
  • 〈Frida〉
  • 〈할리우드게이트〉
  • 〈노 어더 랜드〉
  • 〈Porcelain War〉
  • 〈퀸덤〉
  • 〈이벨린의 비범한 인생〉
  • 〈슈거케인〉
  • 〈Union〉
  • 〈윌과 하퍼〉

2.20.1. 수상 예측

동시대 전쟁을 소재로 한 두 다큐멘터리가 유력 후보로 거론된다. <노 어더 랜드>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을, <Porcelain War>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로 관객들을 감동시켰다. 한편 PGA를 비롯한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을 한 크리스토퍼 리브 전기 다큐멘터리는 노미네이트가 되지 않았다.

2.21. 단편 다큐멘터리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감독·제작자
Incident 빌 모리슨, 제이미 칼벤
I Am Ready, Warden 스마리티 문드라, 마야 그닙
온리 걸 인 더 오케스트라 리사 레밍턴, 몰리 오브라이언
Death by Numbers 킴 A. 스나이더, 자나크 L. 로빌라드
Instruments of a Beating Heart 에마 라이언 야마자키, 에릭 니아리
1차 후보 [ 펼치기 · 접기 ]
* 〈Chasing Roo〉
  • 〈Death by Numbers〉
  • 〈Eternal Father〉
  • 〈I Am Ready, Warden〉
  • 〈Incident〉
  • 〈Instruments of a Beating Heart〉
  • 〈Keeper〉
  • 〈Makayla’s Voice: A Letter to the World〉
  • 〈Once upon a Time in Ukraine〉
  • 〈온리 걸 인 더 오케스트라〉
  • 〈Planetwalker〉
  • 〈The Quilters〉
  • 〈Seat 31: Zooey Zephyr〉
  • 〈A Swim Lesson〉
  • 〈Until He’s Back〉

2.22. 단편 실사영화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후보
The Last Ranger 다윈 쇼, 신디 리
A Lien 샘 커틀러 크레우츠, 데이빗 커틀러 크레우츠
I’m Not a Robot 빅토리아 바르머담, 트렌트
The Man Who Could Not Remain Silent 네보이사 슬리예프세빅, 다니옐 펙
Anuja 수치트라 마타이, 아담 J. 그레이브스
1차 후보 [ 펼치기 · 접기 ]
* 〈Anuja〉
  • 〈Clodagh〉
  • 〈The Compatriot〉
  • 〈Crust〉
  • 〈Dovecote〉
  • 〈Edge of Space〉
  • 〈The Ice Cream Man〉
  • 〈I’m Not a Robot〉
  • 〈The Last Ranger〉
  • 〈A Lien〉
  • 〈The Man Who Could Not Remain Silent〉
  • 〈The Masterpiece〉
  • 〈An Orange from Jaffa〉
  • 〈Paris 70〉
  • 〈Room Taken〉

2.23. 단편 애니메이션상

<rowcolor=#ffffff,#2d2f34> 작품 후보
Beautiful Men 니콜라스 케펜스, 브레히트 반 엘슬란데
In The Shadow of the Cypress 쉬린 소하니, 호세인 몰라예미
알사탕 니시오 다이스케, 와시오 타카시
Wander To Wonder 니나 간츠, 스티넷 보스클로퍼
Yuck! 로이크 에스푸체, 줄리엣 마르켓
1차 후보 [ 펼치기 · 접기 ]
* 〈Au Revoir Mon Monde〉
  • 〈A Bear Named Wojtek〉
  • 〈Beautiful Men〉
  • 〈Bottle George〉
  • 〈A Crab in the Pool〉
  • 〈In the Shadow of the Cypress〉
  • 〈Magic Candies〉
  • 〈Maybe Elephants〉
  • 〈Me〉
  • 〈Origami〉
  • 〈Percebes〉
  • 〈The 21〉
  • 〈Wander to Wonder〉
  • 〈The Wild-Tempered Clavier〉
  • 〈Yuck!〉

3. 특별상

3.1. 공로상

3.2. 어빙 G. 솔버그 기념상

3.3. 진 허숄트 박애상

4. 이야깃거리


[1] 안현모, 김태훈(음악인), 이경미 감독이 진행한다. 현직 감독이 중계에 참여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2] 앞서 투표 마감은 12일, 후보 발표는 17일로 예정되었으나, 2025년 남부 캘리포니아 산불의 여파로 1월 8일 각각 14일과 19일로 연기되었다. 1월 13일 아카데미는 후보 발표는 23일로, 투표 마감은 17일로 추가 연기한다고 발표했다.[3] 작품 / 감독 / 여우주연(카를라 소피아 가스콘) / 여우조연(조 샐다나) / 각색 / 국제영화 / 촬영 / 편집 / 음악 / 주제가("El Mal") / 주제가("Mi Camino") / 음향 / 분장[4] 작품 / 감독 / 남우주연(에이드리언 브로디)/ 여우조연(펄리시티 존스) / 남우조연(가이 피어스) / 각본 / 촬영 / 음악 / 미술 / 편집[5] 작품 / 여우주연(신시아 에리보) / 여우조연(아리아나 그란데) / 의상 / 미술 / 분장 / 편집 / 음악 / 음향 / 시각효과[6] 작품 / 감독 / 남우주연(티모시 샬라메) / 여우조연(모니카 바바로) / 남우조연(에드워드 노튼) / 각색 / 의상 / 음향[7] 작품 / 남우주연(레이프 파인스) / 여우조연(이사벨라 로셀리니) / 각색 / 의상 / 편집 / 음악 / 미술[8] 작품 / 감독 / 여우주연(마이키 매디슨) / 남우조연(유리 보리소프) / 각본 / 편집[9] 작품 / 촬영 / 미술 / 음향 / 시각효과[10] 작품 / 감독 / 여우주연(데미 무어) / 각본 / 분장[11] 촬영 / 의상 / 분장 / 미술[12] 작품 / 여우주연(페르난다 토히스) / 국제영화[13] 남우주연(콜먼 도밍고) / 각색 / 주제가("Like A Bird")[14] 장편애니메이션 / 음악 / 음향[15] 남우주연(세바스찬 스탠) / 남우조연(제레미 스트롱)[16] 장편애니메이션 / 국제영화[17] 작품 / 각색[18] 남우조연(키에란 컬킨) / 각본[19] 영화의 삽입곡 중 'La Vaginoplastia'는 가사가 사우스 파크 급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조롱받으며 밈에 등극했다.[20] 북미 개봉 직후에도 영화에 대한 비판 여론이 강했지만 새해 들어 골든 글로브 작품상 수상, 오스카 최다 부문 노미네이트 등의 소식이 들려 오면서 점점 분위기가 심각해졌다. '이 영화를 뽑는다면 아카데미의 실수로 기록될 것이다' 라며 21세기 최악의 아카데미 작품상으로 꼽히는 <크래쉬>에 비교하는 말들까지 나올 정도.[21] 다만 누군가의 일자리를 빼앗는 게 아니라 후반 작업을 위한 여러 도구 중 하나로 AI 툴을 사용한 것이어서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여론도 많다.[22] 골든 글로브 직전 각종 도박 사이트에서 압도적인 1위였던 배당은 이후 3-4위권으로 추락하였다.[23] 크리틱스 초이스에서도 수상 가능성이 있던 각본상, 여우주연상, 감독상을 전부 놓치고 작품상 시상만 남은 상황에서는 무관이 거의 확실시된 듯 보였다. 마지막으로 남았던 작품상의 주인공은 뜻밖에도 <아노라>였고,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역사상 최초로 작품상 외에 다른 부문에서는 수상하지 못한 작품상 수상작이 되었다.[24] 스페인의 트랜스 여성 배우로, 제77회 칸 영화제에서 조 샐다나, 셀레나 고메즈, 아드리안나 파즈와 함께 여우주연상을 공동수상했다.[25] 페르난다 토히스는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지만 그 외의 시상식에선 후보 지명이 전무하고, 마리애나 장바티스트는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안젤리나 졸리는 크리틱스 초이스와 골든글로브, 파멜라 앤더슨은 배우 조합상과 골든글로브, 키드먼은 골든글로브에서 후보에 올랐다.[26] 80-90년대 아이콘에서 60대의 나이에 거의 처음으로 연기력까지 인정받게 되었다는(데미 무어가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일찍히 업계 관계자에게 '너는 팝콘 먹으면서 가볍게 보는 배우(popcorn actress)야' 라는 말을 들었고, 평생 상을 받을 일은 없을 것이라 생각하며 자기 자신을 믿지 못한 채 수십 년을 보냈다는 수상 소감으로 화제가 됐다.) 서사까지 더해져 아카데미 수상도 유력하다.[27] 페르난다 토히스는 브라질의 명배우이자 <중앙역>으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른 바 있는 페르난다 몬테네그로의 친딸로, 모녀는 <아임 스틸 히어>에 같은 배역으로 출연했다. 브라질 군정의 탄압을 다룬 영화 내용에 모녀의 동반 출연, 그리고 대를 이은 오스카 노미네이트라는 개인적인 서사까지 있다. 할리우드 영화 업계 최고 단체로서 한 해 동안의 영화 업계가 이룬 성과에 대한 시상으로 영화가 아닌 현실에서의 반전과 감동적인 쇼를 은근히 추구하는 아카데미와 그 회원들이 페르난다에 표를 몰아 줄 수도 있다.[28] 앞서 아예 오스카 레이스의 주요 4개 시상식에서는 전혀 노미네이트되지 않았지만 영화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던 <폴락>의 마샤 게이 하든이 2001년 제7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조연상에 깜짝 노미네이트되더니 수상까지 한 기록도 있다. 물론 이때는 오스카 레이스에서 여우조연상이 각 시상식마다 달랐다는 점(골든글로브-케이트 허드슨, 크리틱스 초이스-프란시스 맥도먼드, BAFTA-줄리 월터스, SAG-주디 덴치)도 한몫했다.[29] 대표적으로 아카데미 시상식에 관해서 '흑인과 한국인의 축제'(Afro-Korean festival)가 되어가는 것 같다는 발언을 했다. 한국 관련 언급은 2020년 기생충, 2021년 미나리를 염두에 둔 것으로 여겨진다.[30] 참고로 세바스찬 스탠은 같은 해 <어프렌티스> 뿐만 아니라 <어 디프런트 맨>으로도 호평받았으며, 해당 작품으로 베를린 영화제 주연상, 골든 글로브 뮤지컬·코미디 부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31] WGA에서는 <서브스턴스>가 규정상의 이유로 후보에서 제외됐다.[32] WGA에서는 <콘클라베>가 규정상의 이유로 후보에서 제외됐다.[33] <퍼스트맨>과 비슷한 상황이다.[34] 1973년 발매된 I Got A Name과 멜로디가 유사하다는 의혹으로 인해 실격 처리되었다.[35] 특별상 수상자가 발표된 6월 12일로부터 약 5개월 뒤인 11월 3일 존스가 사망하면서 의도치 않게 사후 수상이 되었다. 상은 딸 라시다 존스가 대리 수상했다.[36] 해당 분야 회원들의 대상으로 1차 후보에 오른 영화들 혹은 그 영화들의 비하인드 영상을 보여 주는 행사이다. 예를 들어 분장상 예비후보 상영회에서는 각 예비후보들의 분장 팀이 어떤 작업을 했는지 영상으로 보여 주며, 아카데미 분장 지부 회원들은 이 날 영상들을 보고 최종 투표를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