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탈리스트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역대 베니스 국제 영화제 | ||||
| |||||
은사자상 : 감독상 | |||||
제80회 (2023년) | → | 제81회 (2024년) | → | 제82회 (2025년) | |
마테오 가로네 (이오 카피타노) | → | 브레이디 코벳 (브루탈리스트) | → | ||
역대 골든글로브 시상식 | ||||
| ||||
영화 작품상 - 드라마 | ||||
제81회 (2024년) | → | 제81회 (2025년) | → | 제83회 (2026년) |
오펜하이머 | → | 브루탈리스트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브루탈리스트 (2024) The Brutalist | |
| |
장르 | 시대극, 드라마 |
감독 | 브래디 코베 |
각본 | 브래디 코베 모나 파스트볼[1] |
제작 | 브래디 코베 트레버 매튜스 닉 고든 브라이언 영 앤드류 모리슨 앤드류 로렌 D.J. 구겐하임 |
주연 | 에이드리언 브로디 펄리시티 존스 가이 피어스 조 알윈 래피 캐시디 스테이시 마틴 에마 레어드 이삭 드 번콜 알레산드로 니볼라 외 |
촬영 | 롤 크롤리[2] |
편집 | 다비드 얀초 |
미술 | 주디 베커 |
음악 | 다니엘 블룸버그 |
의상 | 케이트 포브스 |
촬영 기간 | 2023년 3월 16일 ~ 2023년 5월 5일 |
제작사 | |
수입사 | |
배급사 | |
개봉일 | |
화면비 | 1.66 : 1 |
상영 시간 | 215분 (3시간 34분 51초)[3] |
제작비 | 960만 달러# |
월드 박스오피스 | $ |
북미 박스오피스 | $2,742,117 (2025년 1월 12일 기준)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14,808명 |
상영 등급 |
[clearfix]
1. 개요
브래디 코베 감독 및 각본, 에이드리언 브로디, 펄리시티 존스, 가이 피어스 주연의 2024년작 미국 영화.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유대계 헝가리인 건축가가 미국으로 건너와 자신이 설계한 건축물을 만들고자 고군분투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제목의 브루탈리스트는 건축 사조 브루탈리즘을 따르는 주인공을 의미한다.
제81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어 은사자상 : 감독상과 국제비평가연맹상을 수상하였다.
2. 포스터
| | | ||
북미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티저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 |
| | |
라즐로 토스 | 에르제벳 토스 | 해리슨 리 밴 뷰런 |
캐릭터 포스터 |
| |
메인 포스터 | IMAX 포스터 |
3. 예고편
티저 예고편 |
메인 예고편 |
4. 시놉시스
전쟁의 상흔을 뒤로하고 미국에 정착한 건축가 ‘라즐로 토스’(애드리언 브로디).
미국 이민자의 냉혹한 현실 속에 전쟁의 트라우마를 견뎌내던 어느 날.
‘라즐로’의 천재성을 알아본 부유한 사업가 ‘해리슨’(가이 피어스)이 기념비적인 건축물 설계를 제안한다.
하지만, 시대와 공간, 빛의 경계를 넘어 대담하고 혁신적인 그의 건축 설계는 사람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반대에 부딪히게 된다.
후원자 해리슨의 감시와 압박, 주변의 비난이 거세질수록 오히려 더 자신의 설계에 집착하던 ‘라즐로’.
혁신적인 브루탈리즘 건축에 자신을 투영하던 ‘라즐로’는 결국 공사가 중단될 위기에 처하는데...
발 디딜 곳 없는, 소속이 불분명한 삶의 연대기
트라우마가 예술로 승화된다!
미국 이민자의 냉혹한 현실 속에 전쟁의 트라우마를 견뎌내던 어느 날.
‘라즐로’의 천재성을 알아본 부유한 사업가 ‘해리슨’(가이 피어스)이 기념비적인 건축물 설계를 제안한다.
하지만, 시대와 공간, 빛의 경계를 넘어 대담하고 혁신적인 그의 건축 설계는 사람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반대에 부딪히게 된다.
후원자 해리슨의 감시와 압박, 주변의 비난이 거세질수록 오히려 더 자신의 설계에 집착하던 ‘라즐로’.
혁신적인 브루탈리즘 건축에 자신을 투영하던 ‘라즐로’는 결국 공사가 중단될 위기에 처하는데...
발 디딜 곳 없는, 소속이 불분명한 삶의 연대기
트라우마가 예술로 승화된다!
5. 등장인물
- 라즐로 토스 (에이드리언 브로디 扮)
바우하우스에서 수학하고 부다페스트 시립 센터 등을 건축한 바 있는 헝가리 출신의 천재 건축가. 피신하는 도중 아내 에르제벳과 조카 조피아와 갈라져 미국으로 건너왔다.
- 해리슨 리 밴 뷰런 (가이 피어스 扮)
펜실베이니아 시골 영지의 대저택과 영지를 갖고 있는 부유한 사업가. 선박 제조 기간 단축에 관한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고안해 돈을 벌었음이 암시되며, 평생 자신과 함께 살았던 어머니 마가렛 리 밴 뷰런에 대한 각별한 마음을 지니고 있다.
- 해리 리 밴 뷰런 (조 앨윈 扮)
해리슨의 자녀인 두 쌍둥이 남매 중 오빠. 라슬로의 프로젝트가 시작된 후로는 시시건건 그에게 예산 관련으로 압박을 준다.
- 매기 리 밴 뷰런 (스테이시 마틴 扮)
해리슨의 자녀인 두 쌍둥이 남매 중 여동생.
- 조피아 (래피 캐시디 (유년기-성년기) / 아리안 라베드[특별출연] (중년기) 扮)
라즐로의 조카. 어린 시절 부모님을 잃어 라슬로 부부에게 거두어져 자랐다. 전쟁이 발발하며 그 충격으로 실어증을 앓고 있으며, 아름다운 외모로 인해 온갖 남자들에게 동정심과 흑심이 섞인 시선을 받고 있다.
- 아틸라 (알레산드로 니볼라 扮)
라슬로의 사촌. 전쟁 전에 미국으로 이민을 와 정착했으며, 가구집을 운영하고 있다.
- 오드리 (에마 레어드 扮)
아틸라의 아내.
- 고든 (이삭 드 번콜 扮)
라슬로가 미국으로 건너와 노숙자를 위한 식량 배급에서 함께 줄을 서다가 안면을 턴 흑인.[6] 이후 노동 현장 등에서 함께 일하며 연을 쌓다가 라슬로의 건축 프로젝트에도 현장 노동자로서 함께한다.
- 레슬리 우드로우 (조너선 하이드 扮)
해리슨이 이전에 고용한 바 있는 건축가. 라슬로의 건축 작업이 시작되면서 그와 예산 절감 문제 때문에 설계를 변경하는 등 부딪힌다.
6. 줄거리
6.1. 서막
영화가 시작되면 앉으라는 군인의 지시에 따라 앉는 여인이 있다. 군인은 가족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너가 여기로 온 거라면서 밖에 있는 여성과 너의 가족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하라고 말해준다. 장면이 전환되어 이민선에 누워있던 유대계 헝가리인인 주인공 '라즐로 토스'가 일어나 배가 도착한다는 걸 알고서는 출구로 나가고, 빛이 지나간 후 뉴욕의 랜드마크인 자유의 여신상이 거꾸로 비치는 모습을 통해 그를 반긴다. 이후 매춘부를 통해 성행위를 하면서 그녀에게 다좋은데 한가지 외모적 흠을 말하자 매춘부에게 당신은 코가 못생겼다는 말을 듣는다. 그 다음날 친구와 헤어지고 펜실베니아주의 필라델피아로 향하는 버스를 탄다. 자신의 사촌인 '아틸라', 그리고 아틸라의 아내 '오드리'와 만나고서는 아틸라로부터 자신의 아내가 살아있다는 소식을 듣는다.6.2. 제 1막: 도착의 수수께끼[7]
아틸라는 그에게 자신의 가구사업을 도와주길 요구하며, 토스는 그곳에서 숙식을 제공받는다. 아탈라는 자신이 유대인이라는 사실을 숨기고 미국식 이름을 쓰면서 없는 아들이 있는 척 가게 간판을 만들어 새 삶을 살아가고 있었고, 그에게 한 제안이 들어오게 된다. 의뢰인은 부유한 사업가 해리슨 리 밴 뷰런의 아들 해리였다. 그가 부탁한 것은 아버지가 안계시는 동안 깜짝쇼로 집의 서재를 리모델링해달라는 것. 그 의뢰를 받아 현대식 서재를 완성해나가던 도중, 공사 마무리 무렵 해리슨이 예정보다 일찍 돌아와서는 라즐로의 친구이자 리모델링을 돕는 고든이 흑인인데 자신의 집 정원에 있다는 것과 허락 없이 자신의 서재에 있던 책들을 꺼내어 헤집어 놓았다는 이유로 불같이 화를 내며 그들을 쫒아낸다. 이후 서재 리모델링을 의뢰했던 해리는 약속한 돈을 주지 못하겠다며 돌아섰고, 아틸라는 라즐로에게 자신의 프로젝트를 망치고 내 아내에 접근했다며 그를 집에서 내보낸다. 그렇게 살 곳을 잃은 토스는 고든과 함께 건설현장에 나가 하루하루를 보낸다. 그러다 해리슨 리 밴 뷰런이 Look이라는 잡지에 자신의 서재에 활용된 브루탈리즘 건축 방식이 포스트 모던 건축의 일부로 소개되자 그를 몰라봤다며 사과하고, 자신의 집으로 그를 초대한다.6.3. 인터미션
젊은 시절 라즐로와 에르제벳의 결혼식 사진[8]이 15분간 타이머와 함께 비추어진다.6.4. 제 2막: 아름다움의 견고한 본질[9]
토스는 도움을 받아 자신의 아내인 에르제벳, 조카딸인 조피아와 재회하게 된다. 그러나 에르제벳은 영양실조로 인해 휠체어를 탄 채 그를 마주한다. 한편, 토스는 자신이 처음에 계획한 구상도를 다른 건축가가 보게 되고, 초안과 다르게 흘러가자 분노한다. 토스는 자신의 보수를 삭감하고서라도 자신이 의도한 대로 짓겠다고 단언한다. 하지만 자재들을 옮기던 기차가 탈선으로 인해 사고를 겪고, 이 과정에서 부상자가 발생해 건축 계획은 중단되고 만다.6.5. 에필로그: 제 1회 건축 비엔날레
시간이 흘러 1980년 제1회 건축 베네치아 비엔날레. 라즐로의 회고전이 열린 센터에서 중년의 조피아가 휠체어에 탄 라즐로와 함께 둘러본다. 헝가리 시절 그의 건축물부터 1976년에 완공된 마가렛 리 밴 뷰런 센터까지 그의 업적이 전시되고 있고, 중년이 된 조피아가 단상에 서 자신의 숙부인 라즐로의 업적과 그에 대한 감사를 표하며, 우리에겐 과정이 아니라 목적지가 중요했다는 연설을 하면서 영화가 끝난다.7. 사운드트랙
8.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IMDb=tt8999762, IMDb_user=7.9,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the_brutalist, 로튼토마토_tomato=93, 로튼토마토_popcorn=80,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the-brutalist, 메타크리틱_critic=90, 메타크리틱_user=6.4,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the-brutalist, 레터박스_user=4.1,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269838, 알로시네_presse=4.4, 알로시네_spectateurs=3.9,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Filmarks=117866, Filmarks_user=3.9,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0388206, 도우반_user=7.2,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WJXoVn, 왓챠_user=4.1,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36124, 키노라이츠_light=100, 키노라이츠_star=4.2,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CGV=89414, CGV_egg=96, ## CGV_highlight=display,
MRQE=the-brutalist-m100149547, MRQE_user=90, ## MRQE_highlight=display,
TMDB=549509-the-brutalist, TMDB_user=68,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der-brutalist,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the-brutalist-film-review-2024, RogerEbertcom_user=4,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씨네21=61993, 씨네21_expert=8.17, 씨네21_user=10, ## 씨네21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the-brutalist, 엠파이어_user=5,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인디와이어=the-brutalist-review-adrien-brody-1235042679, 인디와이어_user=B+,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Structurally beautiful and suffused with Adrien Brody's soulful performance, writer-director Brady Corbet's The Brutalist is a towering tribute to the immigrant experience.
아름다운 구조와 에이드리언 브로디의 영혼을 바친 연기로 가득찬, <더 브루탈리스트>는 감독 및 각본을 맡은 브레이디 코벳이 이민자들의 경험에게 바치는 거대한 헌사이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아름다운 구조와 에이드리언 브로디의 영혼을 바친 연기로 가득찬, <더 브루탈리스트>는 감독 및 각본을 맡은 브레이디 코벳이 이민자들의 경험에게 바치는 거대한 헌사이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베니스 영화제 공개 당시 현장 매체에서 평점 최상위권을 달리며 황금사자상 최고 유력수상작 중 하나로 점쳐졌으며 결국 브레이디 코벳이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로써 그는 역대 베니스 영화제 최연소 감독상 수상자가 되었다. 이후 제82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도 작품상(드라마 부문), 감독상, 남우주연상[10]을 수상해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의 호성적도 기대하게 만들고 있다.
9.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미국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미정 | 미개봉 | 미정 |
[[틀:국기| ]][[틀:국기| ]][[틀:국기| ]] | 미정 | 미개봉 | 미정 |
9.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14,808명, 누적매출액 156,490,400원[1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개봉 전 | 2,984명 | 2,984명 | 미집계 | 20,265,000원 | 20,265,000원 | ||
1주차 | 2025-02-12. 1일차(수) | 4,953명 | -명 | 5위 | 46,531,000원 | -원 | |
2025-02-13. 2일차(목) | 3,298명 | 6위 | 30,710,700원 | ||||
2025-02-14. 3일차(금) | 3,572명 | 8위 | 35,230,700원 | ||||
2025-02-15. 4일차(토) | -명 | -위 | -원 | ||||
2025-02-16. 5일차(일) | -명 | -위 | -원 | ||||
2025-02-17. 6일차(월) | -명 | -위 | -원 | ||||
2025-02-18. 7일차(화) | -명 | -위 | -원 | ||||
2주차 | 2025-02-19. 8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25-02-20. 9일차(목) | -명 | -위 | -원 | ||||
2025-02-21. 10일차(금) | -명 | -위 | -원 | ||||
2025-02-22. 11일차(토) | -명 | -위 | -원 | ||||
2025-02-23. 12일차(일) | -명 | -위 | -원 | ||||
2025-02-24. 13일차(월) | -명 | -위 | -원 | ||||
2025-02-25. 14일차(화) | -명 | -위 | -원 | ||||
3주차 | 20XX-XX-XX. 15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
4주차 | 20XX-XX-XX. 22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9.2. 북미 (미국·캐나다)
9.3. 중국
9.4. 대만
9.5. 일본
9.6. 영국
9.7. 기타 국가
10. 수상 및 후보 이력
- 제81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은사자상 : 감독상,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 수상
- 제82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작품상-드라마 부문, 감독상, 남우주연상(에이드리언 브로디) 수상, 여우조연상(펄리시티 존스), 남우조연상(가이 피어스), 각본상, 음악상 후보
- 제30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에이드리언 브로디), 남우조연상, 각본상(가이 피어스), 촬영상, 편집상, 미술상, 음악상 후보
- 제40회 인디펜던트 스피릿 시상식 감독상 후보
- 제31회 미국 배우조합상 남우주연상(에이드리언 브로디) 후보
- 제7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에이드리언 브로디), 여우조연(펄리시티 존스), 남우조연(가이 피어스), 각본상, 촬영상, 음악상, 미술상 후보
-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에이드리언 브로디), 여우조연상(펄리시티 존스), 남우조연상(가이 피어스), 각본상, 촬영상, 음악상, 미술상, 편집상 후보
11. 기타
- 본래 2020년부터 기획이 되었으나 팬데믹으로 인해 일정이 미뤄져서 촬영이 된 영화이다. 기획 초기에는 에이드리언 브로디, 펄리시티 존스, 가이 피어스 대신 조엘 에저튼, 마리옹 코티야르, 마크 라이런스가 주연으로 캐스팅 되었으나,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일정이 지연되면서 하차했다. 그 외 조연으로 세바스찬 스탠과 바네사 커비도 2020년 캐스팅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있었으나, 이들 또한 일정 충돌로 인해 하차했다.
- 현대 영화로서는 매우 드물게 비스타비전 카메라와 35mm 필름으로 촬영하였다고 한다. 스캔 후 70mm 상영용 프린트까지 완성했다고. 비스타비전 필름 전용 카메라는 1961년 말론 브란도 감독 및 주연의 원 아이드 잭 이후 오랜시간 동안 사용되고 있지 않았는데, 공교롭게 본작과 폴 토머스 앤더슨 감독의 신작 더 배틀 오브 박탄 크로스가 비스타비전 필름을 사용하면서 60여년만에 빛을 보게 되었다. 브레이디 코벳은 이에 대해 '1950년대라는 시대에 접근하기 위한 최고의 방법은, 마찬가지로 그 시기에 개발된 필름으로 촬영하는 것이다'고 밝혔다.
- 영화 스케일과 내용을 생각하면 상당한 저예산으로 만들어졌다. 최대 1000만 달러로 추정되는데 해외 로케이션과 필름 촬영, 영화 길이를 생각하면 그리 풍족하다 할 수 없는 편.
- 중간에 인터미션이 15분 존재한다. 타이머 형식으로 진행된다.
- 작품 속 등장 인물들이 헝가리어를 사용하는 장면에서 발음을 보다 사실적으로 만들기 위해 음성 복제 AI를 사용했다는 사실로 인해 해외에서 논란이 되었다.# 브레이디 코벳 감독은 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 참고로 같이 시상식을 휩쓸었던 에밀리아 페레즈도 AI를 사용해서 언급되었다.[12]
- 브레이디 코벳은 장 루이 코헨의 architecture in uniform의 책을 읽다가 전쟁후 복원 사업의 인간적 의의와 당시 건축과의 내적 동질성에 자신의 영감들이 구체화 되었다고 밝혔다.#
- 메가박스에서는 이 영화의 개봉에 맞춰 관련이 있는 두 편의 영화가 재개봉했는데, 멜랑콜리아와 미드나잇 인 파리이다.[13] 멜랑콜리아는 작중 조연으로 등장한 브래디 코베가 본작의 감독을 맡았고, 미드나잇 인 파리는 작중 조연으로 등장한 에이드리언 브로디가 본작의 주연을 맡았다. 본작과의 연계성은 출연진만 아주 살짝 겹치는 게 끝인 데다 홍보 과정에서 그 깨알 같은 연관성을 딱히 어필하지도 않았다는 게 함정.[14]
[1] 다가올 세상 감독. 브래디 코베 감독의 연인이기도 하다.[2] 악마는 사라지지 않는다, 화이트 노이즈 촬영감독.[3] 15분간의 인터미션 포함.[4] 등급분류 결정내용: 선정성에 있어 전신을 노출한 남녀의 성행위 장면들에서 성적 맥락에서의 신체 노출과 성행위가 직접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음주, 흡연, 마리화나를 흡입하는 장면, 진통제 대용으로 마약 주사를 맞는 장면 등 향정신성 의약품을 제조 및 이용하는 장면들이 구체적, 직접적으로 묘사되어 약물과 모방위험에 있어서도 청소년들에게 유해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청소년관람불가.
(내용정보 표시항목:![파일:영등위_선정성_2021.svg]()
![파일:영등위_약물_2021.svg]()
)[특별출연] [6] 시대가 시대인만큼 해리슨이 저택에서 그를 보고 '왜 흑인이 내 집을 돌아다니는 거냐'고 윽박을 지르는 등 인종차별에도 시달린다.[7] 1947~1952년[8] 조피아와의 혈육 관계 증명을 위해 제출한 사진이라 조피아를 비롯한 라슬로의 친척과 랍비들도 사진에 함께 찍혀있다.[9] 1953~1960년[10] 에이드리언 브로디가 수상했다.[11] ~ 2025/02/14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12] 단 이쪽은 브루탈리스트 AI 논란이 무색할 정도로 거대한 논란이 있어서 AI 논란이 상대적으로 묻히는 추세다.[13] 두 영화 모두 아트그라피 회차를 편성하며 재개봉에 공을 들인 편이고, 미드나잇 인 파리는 오리지널 티켓도 제작되었다.[14] 2024년 6월 존 오브 인터레스트가 화제작으로 떠오르자 메가박스 단독으로 쉰들러 리스트와 피아니스트를 재개봉한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존 오브 인터레스트 당시에는 홀로코스트를 다룬 작품이라는 점에서 연계성이 상당히 높았고, 특히 피아니스트의 경우 명실상부 에이드리언 브로디의 대표작이라 브루탈리스트 개봉 즈음에 재개봉을 원하는 의견도 꽤 있었기에 아쉬운 부분이다.
(내용정보 표시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