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8 20:10:35

크리스토퍼 리브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이트.svg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4a1a1,#d4a1a1><colcolor=#fff,#000> 이름 크리스토퍼 리브
CHRISTOPHER REEVE
분야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영화 심볼.jpg 영화
입성날짜 1997년 4월 15일
위치 7021 Hollywood Blvd.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크리스토퍼 리브
Christopher Reeve
파일:external/www.purme.org/img1.jpg
아내인 데이나 리브와 함께
본명 크리스토퍼 디 오라이어 리브
Christopher D'Olier Reeve[1]
출생 1952년 9월 25일
뉴욕주 뉴욕시
사망 2004년 10월 10일 (향년 52세)
뉴욕주 마운트 키스코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4㎝, 98㎏
직업 배우, 작가, 영화감독
활동 1970년2004년
데뷔 1978년 영화 '위기의 핵잠수함'
종교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 협회)[2]
학력 코넬 대학교
줄리아드 스쿨
부모 아버지 : F. D. 리브
(1928. 9. 18. ~ 2013. 6. 28.)
어머니 : 바바라 피트니
(1929. 9. 28. ~ 2000. 1. 27.)
배우자 데이나 리브(1992년 결혼)
(1961. 3. 17. ~ 2006. 3. 6.)
자녀 장남 : 매튜 리브(1979. 12. 20. ~ )[3]
장녀 : 알렉산드라 리브(1983. 12. ~ )[4]
차남 : 윌리엄 리브(1992. 6. 7. ~ )[5]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에서5. 출연작
5.1. 영화5.2. TV 시리즈
6. 관련 링크

1. 개요

파일:Christopher_Reeve_1.jpg 파일:Christopher_Reeve_2.jpg
클라크 켄트 슈퍼맨

미국배우, 영화감독, 작가, 사회운동가슈퍼맨 앤솔로지(1978~1987)에서 슈퍼맨으로 열연을 펼쳤다.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리스토퍼 리브/생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리스토퍼 리브/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리스토퍼 리브/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기타

4. 대중매체에서

미국 성인애니 <사우스파크> 시즌7 2화[6]에서 등장했는데, 이 에피소드에선 태아세포를 이용해 다시 일어선 후 진 해크먼의 충고조차 무시한 채 악당연합에 가담했으나 결국 유리감옥에 갇혔다.

슈퍼맨의 성장기를 그린 스몰빌에서 주요 조연인 스완슨 박사로 출연했다. 스티븐 호킹 박사를 모티브로 휠체어를 탄 천문학자로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클락 켄트를 지원하는 멘토 역할로 팬들에게 최고의 팬서비스가 되었다. 하지만 배우 본인이 사망함에 따라 스완슨 박사도 마지막 조언을 남기고 퇴장하였다.

에미넴의 노래 Brand New Dance에서 디스당했다.

5. 출연작

5.1. 영화

<rowcolor=#fff> 연도 제목 배역 비고
1978 위기의 핵잠수함 JG 필립스 중위
슈퍼맨 칼-엘 / 클라크 켄트 / 슈퍼맨
1980 사랑의 은하수 리처드 콜리어
슈퍼맨 2 칼-엘 / 클라크 켄트 / 슈퍼맨
1982 죽음의 게임 클리포드 앤더슨
배반의 계절 존 플라허티 신부
1983 슈퍼맨 3 칼-엘 / 클라크 켄트 / 슈퍼맨,
사악한 슈퍼맨
1984 보스턴 사람들 바질 랜섬
1985 안나 카레리나 브론스기 백작 TV 영화
창공의 도전자 에드거 앤스콤
1987 스트리트 스마트 조나단 피셔
슈퍼맨 4: 최강의 적 칼-엘 / 클라크 켄트 / 슈퍼맨
1988 핫 뉴스 블레임 빙엄
대탈주 2 존 도지 TV 영화
1990 로즈 앤 자칼 앨런 핑커튼
1991 범프 인 더 나이트 로렌스 뮬러
데스 드림 조지 웨스트필드
1992 막을 올려라 프레드릭 댈러스 / 필립 브랜드
라스트 페리 홈 빌 터너 TV 영화
모탈 신즈 토마스 쿠삭 신부
나이트메어 인 더 데이나이트
1993 울프 선장 험프리 밴 웨이든
모닝 글로리 윌 파커
남아있는 나날 잭 루이스
1994 스피치리스 밥 프리드
1995 저주받은 도시 앨런 채피
서스피션 뎀프시 케인 TV 영화
1996 어 스탭 투워드 투모로우 데니 가브리엘
1998 이창 제이슨 켐프
2006 슈퍼맨 2: 리처드 도너 컷 칼-엘 / 클라크 켄트 / 슈퍼맨

5.2. TV 시리즈

<rowcolor=#fff> 연도 제목 배역 비고
1974 ~ 1976 러브 오브 라이프 벤 하퍼
1974 그레이트 퍼포먼스 장교
1975 더 와이드 윌드 오브 미스터리 맥스 67
1980 라이언스 호프 본인
1993 페어리 테일 극장 매력적인 왕자
1991 캐럴 앤 컴퍼니 렉스 / 밥
1992 로드 투 에이번리 로버트 러더퍼드
납골당의 미스터리 프레드
1993 프레이저 레너드 목소리 출연
1995 블랙 폭스 앨런 존스
2003 더 프렉티스 케빈 힐리
2003 ~ 2004 스몰빌 버질 스완

6. 관련 링크



[1] 간혹 가다 '리브스(Reeves)'로 표기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리브(Reeve)'가 옳은 표기이다.[2] 개신교 장로회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성인이 된 이후에는 교회에 거의 나가지 않았으며, 잠깐 동안 사이언톨로지교에 관심을 갖기도 했다. 거의 평생 자신을 무신론자로 여겼는데 승마 사고 이후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 협회(UUA)에 가입했다고 한다. 출처[3] 영화제작자 겸 아버지와 어머니가 세운 재단의 회장을 맡고 있다.[4] 매튜와 알렉산드라는 전 연인 개이 엑스턴(Gae Exton) 사이의 소생이다.[5] 데이나 리브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며 ABC 뉴스 아나운서가 되었다.[6] 해당 에피소드에선 흑인 갱단 크립스와 블러드 간 화해 노력도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