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10:42:59

필라델피아 유니언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32526><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32526>
파일:MLS 로고.svg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동부 컨퍼런스
파일:내슈빌 SC 로고.svg
파일:뉴욕 레드불스 로고.svg
파일:뉴욕 시티 FC 로고.svg
파일:뉴잉글랜드 레볼루션 로고.svg
파일:인터 마이애미 CF 로고.svg
파일:CF 몽레알 로고.svg
파일:샬럿 FC 로고.svg
파일:시카고 파이어 FC 로고.svg
파일:FC 신시내티 로고.svg
파일:애틀랜타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올랜도 시티 SC 로고.svg
파일:콜럼버스 크루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유니언 로고.svg
파일:토론토 FC 로고.svg
파일:DC 유나이티드 로고.svg
서부 컨퍼런스
파일:FC 댈러스 로고.svg
파일: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밴쿠버 화이트캡스 FC 로고.svg
파일:산호세 어스퀘이크스 로고.svg
파일:샌디에이고 FC 로고.svg
파일:레알 솔트레이크 로고.svg
파일:시애틀 사운더스 FC 로고.svg
파일:세인트루이스 시티 SC 로고.svg
파일:오스틴 FC 로고.svg
파일:스포팅 캔자스시티 로고.svg
파일:콜로라도 래피즈 로고.svg
파일:포틀랜드 팀버스 로고.svg
파일:휴스턴 다이너모 FC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갤럭시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FC 로고.svg
USL 챔피언십 구단 ▶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멕시코 국기.svg 리가 MX파일:캐나다 국기.svg CPL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파일:필라델피아 유니언 로고.svg
<colbgcolor=#071b2c><colcolor=#d4c396> 필라델피아 유니언
Philadelphia Union
별칭 The U
약칭 PHI
창단 2008년 2월 28일([age(2008-02-28)]주년)[1]
리그 참가 2010년([age(2010-01-01)]주년)
소속 리그 메이저 리그 사커 (Major League Soccer)
소속 컨퍼런스 동부 컨퍼런스 (Eastern Conference)
연고지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Pennsylvania, Philadelphia)
홈 구장 스바루 파크 (Subaru Park, 2010~)
구단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제이 슈가맨 (Jay Sugarman)
회장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남아프리카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남아프리카 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브래들리 카넬 (Bradley Carnell)
수석 코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프랑크 라이히트 (Frank Leicht)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치 힐데브란트 (Mitch Hildebrant)
CONCACAF 랭킹 10위출처
주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알레한드로 베도야 (Alejandro Bedoya)
부주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노르웨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노르웨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야콥 글레스네스 (Jakob Glesnes)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자메이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자메이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자메이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안드레 블레이크 (Andre Blake)
지정 선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덴마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덴마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카엘 우레 (Mikael Uhre)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루과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루과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브루노 다미아니 (Bruno Damiani)
공식 웹사이트 및 SNS
[미국]
파일:필라델피아 유니언 로고.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 플레이오프 기록
MLS컵
(0회)
-
컨퍼런스
(1회)
2022
서포터즈 실드
(2회)
2020, 2025
US 오픈컵
(0회)
-
MLS컵 플레이오프
(7회)
2011, 2016,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91919,#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팀 컬러
프루시언 블루 시그널 블루 금색
}}}}}}}}}}}} ||
클럽 기록
최다 출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레이 가디스 (Ray Gaddis), 206경기 (2012~)
최다 득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세바스티앵 르투 (Sébastien Le Toux), 56골 (2010~2011, 2013~2016)
2022 시즌 골송
1. 개요2. 상세3. 이야깃거리4. 선수 명단5. 성적6. 홈구장7. 둘러보기

1. 개요

펜실베이니아필라델피아를 연고로한 MLS 축구팀. 2010년부터 MLS의 일곱 번째 확장 프랜차이즈로 참가하기 시작했다.

2. 상세

파일:필라델피아 유니언 로고(2010~2017).svg
2010년~2017년까지의 로고.

20세기 초에, 해당 도시를 연고지로 미국 축구를 지배했던 실업축구팀인 베들레햄 스틸 FC정신적 후계자 위치에 서있다. 유니언이 2015년 새로 창단한 유스팀의 이름도 베들레햄 스틸 FC이다

흥행은 좋지 않다. 홈 구장인 스바루 파크가 시 외곽에 멀리 떨어져 있고, 축구에 대한 관심도 낮아 관중 동원은 늘 리그 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그럼에도 2019년에는 최종 순위 지구 3위를 기록했고, 컨퍼런스 준결승에 올랐다. 2020년에는 MLS 서포터즈 쉴드를 우승하며 구단 역사상 첫 트로피를 차지하였고 2021년에는 컨퍼런스 결승에 진출했지만, 경기 전에 주요 선수들이 코로나에 걸리면서 뉴욕 시티 FC에게 역전패당하고 만다. 2022시즌에는 동부 컨퍼런스에서 1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FC 신시내티를 꺾고 컨퍼런스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뉴욕 시티 FC와의 리벤지 매치가 되었다. 그리고 뉴욕 시티에 3-1로 승리, 복수에 성공함과 동시에 창단 첫 MLS컵 진출을 이뤘다. 그러나 2020년 11월 6일{한국시간} 열린 MLS컵 결승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LA FC에게 0:3(3:6)으로 패해 또다시 분루를 삼키고 말았다.[2] 2023년에는 2라운드에서 서포터즈 쉴드 우승팀 FC 신시내티에게 패하고 2024년에는 끔찍한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컨퍼런스 하위권으로 떨어지는 굴욕을 당하고 만다. 시즌 중반에 약체 시카고 파이어에게 3-1로 지다가 역전패당한 이후에는 화가 난 필리건들이 슈가맨 구단주에게 팀 매각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

3. 이야깃거리

필라델피아 팀 답게 팬들과 서포터즈가 매우 전투적인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팀 역사가 짧고 이미 MLS에서는 시애틀 사운더스-DC 유나이티드-포틀랜드 팀버스 등 더 극성인 서포터즈들이 있어 필리스이글스만큼의 포스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는 팀의 계속되는 중하위권 신세도 한몫하고 있다.

유니폼 스폰서는 멕시코의 제빵, 제과 업체 Grupo Bimbo이다. Bimbo는 섹시하지만 머리 나쁜 여자를 일컫는 속어로 쓰이고 있는데, Bimbo를 표기한 유니폼에 대해 팬들의 반응이 좋지 않다.

팀명인 유니언은 미국 독립선언서가 당시 미국의 수도였던 필라델피아에서 작성된 데서 유래했다.

서포터의 이름은 Sons of Ben이다. Ben은 필라델피아 출신이었던 벤자민 프랭클린을 지칭하는 것이다. 표어가 특이하게 라틴어로 되어 있는데 'Ad Finem Fidelis' 즉 '끝까지 충성'이라는 뜻이다.

공식 트위터가 다른 팀들을 디스하는 것에 거침이 없다. 2021년에 최악의 시즌을 보낸 FC 신시내티를 조롱하는가 하면 같은 해에 NFL팀 댈러스 카우보이스가 추수감사절 경기에서 온갖 페널티를 저지르다가 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에게 아깝게 패배하는 모습을 만끽하기도 했다[3]. 반면에 필라델피아 팀들은 열심히 띄워준다. 76ers와 토론토 랩터스의 2022년 NBA 플레이오프 1라운드 3차전을 본 유니언 트위터 관리자의 반응

미국의 NBA 선수 케빈 듀란트가 공동 구단주이다.

현재 버팔로 빌스의 감독 션 맥더모트의 형제인 팀이 구단의 고위직에서 일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빌스의 세이프티 다마르 햄린이 2022-23시즌 17주차 경기에서 심정지로 쓰러지자 공식 SNS로 #PrayForDamar 캠페인에 동참했다.

4. 선수 명단

파일:필라델피아 유니언 로고.svg
필라델피아 유니언 2025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비고
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DF 이안 글라비노비치 Ian Glavinovich 2001.10.27
4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MF 요반 루키치 Jovan Lukić 2002.01.20
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DF 야콥 글레스네스 Jakob Glesnes 1994.03.25
6 파일:미국 국기.svg MF 캐번 설리번 Cavan Sullivan 2009.9.28 홈그로운
7 파일:덴마크 국기.svg FW 미카엘 우레 Mikael Uhre 1994.09.30
8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MF 제주스 부에노 Jesús Bueno 1999.04.15
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FW 타이 바리보 Tai Baribo 1998.1.15
11 파일:미국 국기.svg MF 알레한드로 베도야 Alejandro Bedoya 1987.04.29 주장
14 파일:미국 국기.svg MF 제레미 라파넬로 Jeremy Rafanello 2000.04.14 홈그로운
15 파일:카메룬 국기.svg DF 올리비에 음베조 Olivier Mbaizo 1997.08.15
16 파일:미국 국기.svg MF 벤 벤더 Ben Bender 2001.03.07 제너레이션 아디다스
17 파일:미국 국기.svg MF 크리스토퍼 제임스 올니 주니어 Christopher Olney Jr 2006.12.16
18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GK 안드레 블레이크 Andre Blake 1990.11.21
19 파일:미국 국기.svg MF 인디애나 바실레프 Indiana Vassilev 2001.2.16
2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FW 브루누 다미아니 Bruno Damiani 2002.4.18
21 파일:아이티 국기.svg MF 댄리 장 자크 Danley Jean Jacques 2000.5.20
24 파일:미국 국기.svg MF 닉 파리아노 Nick Pariano 2003.3.16
25 파일:미국 국기.svg FW 크리스 도노반 Chris Donovan 2000.8.8 드래프트
26 파일:미국 국기.svg DF 네이선 해리엘 Nathan Harriel 2001.04.23 홈그로운
27 파일:독일 국기.svg DF 카이 바그너 Kai Wagner 1997.02.15
29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DF 올웨투 마카냐 Olwethu Makhanya 2004.4.30 외국인 선수 슬롯
31 파일:미국 국기.svg GK 조지 마크스 George Marks 1999.10.11
32 파일:미국 국기.svg FW 밀란 일로스키 Milan Iloski 1999.7.29 홈그로운
33 파일:미국 국기.svg MF 퀸 설리반 Quinn Sullivan 2004.3.27 홈그로운
35 파일:미국 국기.svg FW 마커스 안데르센 Markus Anderson 2003.12.11
44 파일:미국 국기.svg MF 닐 피에르 Neil Pierre 2007.10.9
55 파일:미국 국기.svg FW 살 올리바스 Sal Olivas 2006.7.11
76 파일:미국 국기.svg GK 앤드류 릭 Andrew Rick 2006.1.30 홈그로운
77 파일:미국 국기.svg FW 에드워드 데이비스 Edward Davis 2006.6.17
출처: 필라델피아 유니언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10월 10일

}}}}}}}}} ||

5. 성적

년도 리그 순위 플레이오프 성적 대륙컵 성적 컵대회 성적
2010 7위 (컨퍼런스), 14위 (리그) - - -
2011 3위 (컨퍼런스), 8위 (리그) 컨퍼런스 준결승 - -
2012 8위 (컨퍼런스), 15위 (리그) - - 4강
2013 7위 (컨퍼런스), 14위 (리그) - - 4라운드
2014 6위 (컨퍼런스), 12위 (리그) - - 준우승
2015 9위 (컨퍼런스), 18위 (리그) - - 준우승
2016 6위 (컨퍼런스), 13위 (리그) 녹아웃 스테이지 - 8강
2017 8위 (컨퍼런스), 16위 (리그) - - 16강
2018 6위 (컨퍼런스), 11위 (리그) 녹아웃 스테이지 - 준우승
2019 3위 (컨퍼런스), 5위 (리그) 컨퍼런스 준결승 - 4라운드
2020 1위 (컨퍼런스), 1위 (리그) - - -
2021 2위 (컨퍼런스), 6위 (리그) 컨퍼런스 결승 - -

6. 홈구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바루 파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바루 파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바루 파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TalenEnergyMLS.png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5b4949><tablewidth=320><tablebgcolor=#5b4949>
파일:펜실베이니아 휘장.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NFL NBA
파일:피츠버그 스틸러스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이글스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로고.svg
피츠버그 스틸러스 필라델피아 이글스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MLB MLS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svg 파일:필라델피아 유니언 로고.svg
피츠버그 파이리츠 필라델피아 필리스 필라델피아 유니언
NHL NLL
파일:피츠버그 펭귄스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윙스 로고.png
피츠버그 펭귄스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필라델피아 윙스
}}}}}}}}} ||

[1] #[2] 같은 날에 필라델피아 필리스2022년 월드 시리즈 6차전에서 패배하고 필라델피아 이글스슈퍼볼 LVII에서 패배하면서 필라델피아는 한 시즌에 세 리그에서 준우승을 맛보게 되었다.[3] 카우보이스이글스간의 관계는 상당히 험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