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픽셀| | |||||
| [[하이픽셀/Zombies/무기| | [[하이픽셀/Zombies/머신| | [[하이픽셀/Zombies/파워업| | [[하이픽셀/Zombies/TMI| | ||
| 무기 | 머신 | 파워업 | TMI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하이픽셀/Zombies/팁| | [[하이픽셀/Zombies/문제점 및 버그| | |||
| 팁(인플레이, 외부 프로그램) | 문제점 및 버그 | }}} | |||
| 맵 | |||||
| [[Dead End(하이픽셀/Zombies)| | [[Bad Blood(하이픽셀/Zombies)| | [[Alien Arcadium| | [[Prison(하이픽셀/Zombies)| | ||
| Dead End | Bad Blood | Alien Arcadium | Prison | ||
| 챌린지(Dead End, Bad Blood, Alien Arcadium, Prison) 스피드런(Dead End, Bad Blood, Alien Arcadium, Prison) | |||||
| {{{#!folding [데이터베이스(펼치기/접기)] | |||||
| {{{#!folding [아카이브(펼치기/접기)] | |||||
1. 개요
하이픽셀의 아케이드 게임 중 하나인 Zombies를 플레이할 때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들(모드, 플러그인, exe프로그램, 디스코드 봇)을 서술한 문서.2. 프로그램
이 단락에서 설명할 프로그램들 중 후술할 '금지 프로그램'이 아니라면, 사용해도 Legit으로 인정해주는 편이다.모드의 이름은 모드 내에 있는 모드 이름을 사용하며, 만약 없을 경우 모드 아이디를 사용한다. 모드 이름 옆 위첨자는 해당 모드의 줄임말이며, 모드의 현재 버전은 "최신 버전, 베타 버전"의 형태로 서술하며, 일부 프로그램은 실제 최신 버전과 다를 수 있다.[1] 베타 버전에서 지원하는 기능의 경우 각주가 붙는다.[beta] 웬만해서는 최신 버전이 나으나, 특이사항이 있으면 추가로 서술하였다.
2.1. 범용 모드
★ 이 게임을 위해 제작된 모드(프로그램)는 아니지만, 이 게임 플레이 시 추천하는 모드(프로그램)들을 모아놓았다.• Essential(링크: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3.8.1[3]
- 본래는 마인크래프트 자체에 유용한 기능을 추가해주는 모드이다.[4] 그 중 이 게임을 플레이할 때 도움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기능
1) 스크린샷 매니저
▷ 인게임에서 스크린샷을 바로 편집, 삭제, 공유(친구에게 보내기, 이미지 복사, 링크 복사), 즐겨찾기 등이 가능하며, 언제 찍었는지 역시 확인할 수 있다.
▷ 스크린샷을 찍으면 화면 오른쪽 위에 프리뷰(Preview)가 뜨며, 해당 프리뷰에서 사진 편집, 복사, 삭제 등을 바로 수행 가능힌다. 또한 스크린샷을 찍을 때 소리 재생, 스크린샷 메시지 숨기기 등도 역시 가능하다.
2) 줌(
Zoom): 후술할 옵티파인과 비슷한 줌을 사용할 수 있다. 단축키 홀드가 아닌 토글, 시네마틱 카메라 끄기, 부드러운 확대/축소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3)
Chat Peek: 단축키를 홀드하여 채팅창을 볼 수 있다. 이동하면서 채팅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마우스 휠로 채팅창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도 가능하다.2. 다운로드 및 주의점
1) 위에 링크에 들어가 아래로 스크롤하면 마인크래프트 버전 별 모드 다운로드가 있다. 1.8.9 Forge를 다운로드하여 적용한다.
2) 사이트 위쪽에 있는 다운로드 버튼은 exe파일을 사용하여 다운로드하며, .minecraft 폴더 내에 있는 다른 폴더를 마인크래프트 폴더로 인식한다.[5]
3) 후술된 KeystrokesMod 또는 Patcher 모드를 사용할 것이라면 이 모드를 수동으로 다운받을 필요가 없다. 해당 모드가 자동으로 다운로드 해준다.
4) 현재 버그로 Essential 설정 중 Emotes의 Show emotes를 켜야 한다. 끌 경우, 엔티티의 위치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다.
• KeystrokesMod(링크: 8.1.2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8.1.2
- Legit을 증명할 때 자주 쓰이는 이 모드는 화면에 특정 키를 표시하여 그 키가 입력이 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 기능이 주 기능이며, 그 외에도 핑(ping) 표시, FPS 표시 기능 등이 있다. 추가로 이 모드와 하술된 Patcher 모드는 바로 위에 있는 'Essential' 모드를 필요로 하며 모드를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적용된다. 모든 설정은 /keystrokes 명령어로 설정한다.
1. CPS 카운터: 타 모드5zig, Zombies Utils 등의 'CPS 카운터'와 달리, 순전히 CPS만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키가 입력되는 것도 표시하므로 조작이 어렵다.[6]
2. 웅크리기/점프 키 표시: 부활 사이클을 유지할 때 점핑, Re-shift를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게임 녹화 중 게임 오버가 된다면 이 기능을 통해 자신이 어떤 실수(or 오해)가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3. 핫바(Hotbar) 슬롯 1~5번 키 표시: 검 가드·총기 리듬·기술 사용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 OptiFine(링크: M5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M5, M6 pre2[7]
- 마인크래프트의 대표적인 최적화 모드이다.
1. 최적화: 이 모드의 핵심 기능이다.
2. 줌(
Zoom): 단축키(기본값: C)를 누르면 화면이 확대된다.3. 파티클 설정: 파티클을 끌 수 있다.
4. 커스텀 리소스팩: 많이 쓰이지는 않지만, 이 게임에서만 작동하는 리소스팩을 쓸 경우, 거의 무조건 이 모드가 필요하다.
• Patcher(링크: 1.8.9 다운로드, 기능 및 정보)
: 현재 버전 = 1.8.9[8]
- 바닐라 마인크래프트의 버그 수정, 유용한 기능, 성능 향상이 모두 첨가된 모드. 추가로 이 모드와 상술된 KeystrokesMod 모드는 상술된 'Essential' 모드를 필요로 하며 모드를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적용된다. 모든 설정은 /patcher 명령어로 설정한다.
1. Miscellaneous(기타 잡다한 것)
1)
Remove Ground Foliage: 식물 및 잔디를 숨길 수 있다.2)
FOV Modifier: 달리기, 신속, 구속[9] 등이 적용될 때 FOV를 따로 설정한다.3)
Disable Hotbar Scrolling: 마우스 휠로 핫바(Hotbar)를 움직이는 것을 비활성화한다.4)
Modify Every Sound: 모든 사운드의 소리 크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한다.5)
OptiFine: 옵티파인의 줌(Zoom)을 설정한다.6)
Fire Overlay Height, Fire Overlay Opacity: 불이 붙었을 때 뜨는 효과의 높이와 투명도를 설정한다.7)
Fullbright: 밝기를 최대로 한다.8)
Title Scale, Title Opacity: 타이틀의 크기와 투명도를 조절한다.2. Screens
1)
Transparent Chat, Transparent Chat Input Field: 채팅 배경, 채팅 입력칸 배경을 제거한다.2)
Compact Chat, Consecutive Compact Chat: 동일한 내용의 채팅을 하나로 압축한다. 연속된 채팅만 압축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수많은 기능과 최적화, 버그 수정을 가지고 있다.[10]
• The 5zig Mod5zig(링크: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3.14.0, b251[11]
- 본래는 게임 플레이에 도움을 주는 모드지만,[12] Text Macros 덕분에 이 게임에서 매우 유용하다.
1. 텍스트 매크로(
Text Macros): 사실상 이 프로그램을 쓰는 이유이다. 물론 하이픽셀에선 텍스트 매크로를 금지하나, 이 게임에서는 Legit 취급하고 있다.2.
Text Shortcuts: 채팅창에 특정 단어를 입력하면, 미리 지정해둔 문장으로 바꿔서 채팅을 입력한다. 보통 긴 단어들을 쓸 때 쓰면 좋다.[예시] 텍스트 매크로와 달리 단축키를 사용하지 않는다.3. 상태 효과/갑옷 표시: 평상시에는 딱히 쓸모는 없으나, 신속/구속 레벨 확인, 또는 녹화나 라이브의 경우 현재 착용하고 있는 갑옷을 화면에 표시하여 시청이 편하게끔 할 수 있다.
4. CPS 카운터: CPS를 표시한다. 하지만 하술된 'KeystrokesMod'의 CPS 카운터를 쓰는 것이 조작하기 더 어렵기에 이 기능은 잘 사용되지 않는다.
• 한글패치(링크: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b79_189f[14]
- 본래 1.8.9 같은 예전 버전에서 채팅 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글 1자 입력 후 Alt키를 누르는 것을 반복해야 한다. 하지만 이 모드가 있다면 Lctrl 키를 통해 한글/영어 전환이 가능하고, Alt키 반복할 필요없이 편하게 채팅이 가능하다.
2.2. Zombies 전용 모드
Zombies 게임 전용 모드들이다. 이 모드들은 어려운 난이도/챌린지에선 거의 필수로 사용되며, 그 외에는 굳이 없어도 되지만, 사용해서 나쁠 건 없다.하이픽셀 언어의 설정이 따로 필요한 경우, 각주가 붙는다.[EN][KO]
2.2.1. 추천 모드
이 단락에서는 Zombies를 전문적으로 플레이하고 싶은 사람들한테, 강력하게 추천하는 모드들을 나열했다.2.2.1.1. Show Spawn Time
★ 다운로드: 링크(현재 버전 = 2.1.1)★ Show Spawn Time이란?
- 'SST'라고도 불리는 이 모드는 이 게임을 깊게 플레이하는 플레이어들을 위한, 여러 편의성 기능이 접목된 모드이다. 다만 'Auto Splits'와 같이 사용해야 하며, 'SLA 모드'와의 조합도 좋다. 보통은 하술된 Zombies Addon이나, Zombies Utils, Zombies Auto Splits(Seosean)[17]와 같이 사용한다.[18] 추가적으로 이 모드는 하이픽셀이 지원하는 모든 언어를 함께 지원한다.
★ 기능 모음
• Player Invisible
- 후술할 PV(Player Visibility)처럼, 자신 주변에 있는 플레이어를 시야에서 숨긴다. 그리고 자신과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플레이어는 반투명하게 표시된다. 다만, 이 반투명 기능은 Zombies Addon과 함께 사용할 경우 충돌로 고장나게 된다.
• 웨이브 딜레이 표시
- 웨이브 딜레이를 화면에 직관적으로 표시하여 적이 스폰하기 전 미리 대비할 수 있는 기능이다. 다만, Zombies Addon과 함께 사용하면 자동 비활성화된다.
1. 오래된 자나 자이언트가 스폰하는 웨이브는 글자 색상을 달리하여 강조할 수 있다.[19]
2. 하이라이트[20]는 시작될 웨이브에 표시되며, 웨이브가 시작하면 없어진다.
3. 이미 지나간 웨이브는 어두운 회색으로 표시되며, 강조가 되지 않은 예정된 웨이브는 회색으로 표시된다.
4. 웨이브가 시작할 때 소리가 재생되며, 마지막 웨이브의 소리는 따로 설정할 수 있다. 추가로 피치 또한 설정 가능하며, 역시 마지막 웨이브는 따로 설정 가능하다.
5. 마지막 웨이브 시작 3초 전에 카운트다운이 재생되며, 이 역시 소리와 피치를 설정할 수 있다.
• 클린업(Clean-up) 시간
- 마지막 웨이브 시작으로부터 해당 라운드 종료까지 걸린 시간을 채팅창에 표시한다. 사실상 적들을 얼마나 빠르게 사살했는지에 대한 지표라고 볼 수 있다.
• 라운드 종료 시 '누적 시간' 출력
- 일반적으로 누적 시간은 라운드 10, 20, 30이 끝날 때 출력된다.[21] 그러나, 이 기능을 사용하면 다양화가 가능한데, 사용 가능한 설정은 다음과 같다.
1.
Off: 기존과 동일하게 출력한다.2.
All: 모든 라운드마다 출력한다.3.
Quintuple: 5의 배수 라운드에 출력한다.4.
Tenfold: 10의 배수 라운드에 출력한다. 즉, Alien Arcadium에서 라운드 30, 40, ... , 100이 끝날 때도 출력한다.• Lightning Rod Queue Helper
- 번개 막대 기술 순서를 표시한다. 이 때 5초간 번개 막대 기술이 사용되지 않으면 비활성화된다.
• 마지막 웨이브 적들 수
- 마지막 웨이브에 스폰하는 적들의 수를 표시한다. 사용 시 스코어보드의 'Zombies Left' 행에 표시된다.
• 개인 DPS 표시
- '개인 DPS'를 표시한다. 하술된 DPS Counter와 달리 이 기능은 사용해도 Legit로 인정된다.
• Powerup Alert
- 라운드 시작 시 채팅창에 어떤 파워업이 언제 스폰하는지 알려준다. 다만 하위 기능들이 더 있는데 그 기능들은 Unlegit으로 처리되니 주의한다.
- • Unlegit 기능(펼치기/접기)
- - 이 게임의 Unlegit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ZMP[22]에서 Unlegit 모드가 새로 정의되었다. 이에 따라 SST에서도 Unlegit 기능이 분류되었다. 즉, 이 모드를 사용하는 것 자체는 상관 없으나, 하술된 기능을 꺼야 Legit로 인정된다는 뜻이다. Unlegit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
1. Powerup Alert: 파워업이 스폰하는 라운드일 경우, 화면에 알림이 뜨며, 파워업이 스폰하면 화면과 파워업의 이름 부분에 언제 디스폰하는지 타이머로 알려준다. 현재는 '파워업 타이머'가 Unlegit으로 처리되어 사용하면 안 되나, 상술했듯 채팅창에 언제 스폰하는지 알려주는 기능만은 사용해도 된다.
2. 플레이어 체력 표시: 스코어보드에 플레이어의 체력을 표시한다. 현재는 사용하면 Unlegit으로 처리된다.
3. 빠른 부활 쿨타임 표시: 빠른 부활의 쿨타임을 표시한다. 현재는 사용하면 Unlegit으로 처리된다.
★ 명령어 모음
1.
/ssthud: 화면에 표시될 웨이브 딜레이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Zombies Auto Splits(Seosean) 1.1 버전과 함께 사용할 경우, 해당 모드의 내부 타이머의 위치도 바꿀 수 있다.[23]2.
/sst: 파워업 패턴, 게임 난이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2.2.1.2. Zombies Addon
★ 다운로드: 링크(현재 버전 = 4.5.3, 4.6.0-beta2)★ Zombies Addon이란?
- 'ZA'라고도 불리는 이 모드는 여러 Zombies 모드[24]를 통합, 그리고 그 중 일부 모드의 기능의 변경 및 새로운 기능 역시 첨가하여 다방면으로 유용한 기능을 가진 모드이다. 특히 한국어를 지원한다는 것이 이 모드의 매력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다만, 특히 개발 버전에서는 안정성과 최적화가 떨어질 수 있다. 사용하려면 하이픽셀 언어를 영어나 한국어로 설정해야 한다.
★ 모듈 모음
• Player Visibility(단축키: Z)
- 후술할 PV(Player Visibility)처럼, 자신 주변에 있는 플레이어를 시야에서 숨긴다. 그리고 자신과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플레이어는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Semi PV'가 존재한다.
1. 플레이어가 숨겨지는 범위, Semi PV 모두 컨피그(Config)에서 설정할 수 있다.
2. Semi PV는 SST의 Player Invisible의 플레이어 반투명보다 우선순위가 높다.
3. Semi PV의 투명도는 플레이어와의 거리에 따라 최솟값에서 최댓값 사이의 값을 가지며 이는 다음과 같다.[beta]
- ▷ 투명도 변화 방식 (펼치기/접기)
- || 모드 || 변화 방식(각주는 자세한 설명) ||
Linear(기본값) 거리에 비례하여 변화한다.[26] Fixed 거리에 관계없이 최솟값을 따른다. Smooth 가까워질수록 천천히 투명도가 증가한다.[27] Sharp 가까워질수록 빠르게 투명도가 증가한다.[28]
• Block Alarm(단축키: P)
- 자신 혼자 살아있고, 쓰러진 플레이어가 있다면, 화면에 "BLOCK" 메시지가 표시된다.
• Not Last
- 마지막 적을 사살한 플레이어를 보여준다. 그러나 감지 방식 때문에 해당 플레이어를 못 찾을 수 있고, 여러 플레이어가 감지될 수도 있다.[29]
• Auto Splits
- 라운드 시작 또는 게임 승리 시 LiveSplit에 startorsplit 명령어를 전달하며, 게임 오버 시 pause 명령어를 전달한다. 사용법은 기존 Auto Splits와 동일하다.
• Internal Timer
- 라운드 시작 시 초기화되는 내부 타이머를 표시한다.
• Wave Delays
- 웨이브 딜레이를 화면에 직관적으로 표시하여 적이 스폰하기 전 미리 대비할 수 있는 기능이다.
1. 접두사는 웨이브의 특징을 표시한다. 보스의 경우 색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2. Zombies Utils와 동일하게 각 웨이브별로 n틱[30]을 추가한 시점에서 소리를 재생한다.
3. 소리 재생을 자세히 설정 가능하다. 특정 타이밍에 원하는 소리와 피치를 재생할 수 있으며 모든 웨이브, 마지막이 아닌 웨이브, 마지막 웨이브에서만 재생할 수도 있다. ".minecraft\\config\\zombiesaddon\\커스텀 소리 재생 가이드.txt"에서 사용법을 알 수 있다.
4. 지나간 웨이브 텍스트를 숨길 수 있다.
5. 웨이브 딜레이의 텍스트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다.[31]
6. 웨이브 딜레이의 하이라이트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다. 기본값인 "Zombies Addon"은 3초 후 시작할 웨이브는 노란색, 시작한 웨이브는 녹색, 시작되지 않은 웨이브는 진한 회색으로 표시되며 현재 웨이브는 보라색 화살표로 표시된다.[32]
7. 'RL 모드'(단축키 : Up(위쪽 화살표))를 사용할 수 있다. RL 모드란 웨이브 딜레이에 미리 설정한 틱만큼 추가해서 표시하는 기능인데, 대표적으로 Dead End에서 로켓 런처 사용 중 화염구 발사 딜레이를 계산할 때 이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 8. 보스 구분 색(펼치기/접기)
- || 색깔[33] || 대상 ||
금색 봄비 빨간색 인페르노 보라색 브루드마더, 위더, 히로빈 녹색 킹 슬라임, 메가 블롭 어두운 아쿠아색 (무지개) 자이언트 어두운 빨간색 오래된 자, 메가 마그마 어두운 아쿠아색 어두운 빨간색 (무지개) 자이언트와 오래된 자 검은색 세계 엔더
• Zombies Strat Viewer
- https://pastebin.com에 있는 글을 화면에 띄우는 기능인데, 기존 Zombies Strat Viewer과 달리 유니코드를 지원하기에 한글도 사용할 수 있다.
1. 명령어
/zsv <URL|off>를 통해 글을 표시하거나 숨긴다. 이 때 URL은 "https://pastebin.com/raw/"로 시작해야 한다.2. 명령어
/zsvlines <number>를 통해 한 번에 표시할 줄 수를 설정할 수 있다.• Spawn Limit Action
- 현재 적이 스폰될 수 있는 창문의 수와 이름을 표시한다. 스피드런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sla <de|bb|aa|off> 명령어로 맵을 설정하거나 SLA를 비활성화한다.2. 컨피그(Config)에서 게임이 시작할 때 자동으로 SLA를 표시하고, 게임 종료 시 끄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비활성화된 창문도 표시하거나, 창문의 이름과 텍스트 색상을 제거할 수도 있다.
3.
/sla custom 명령어로 하우징과 같은 자작 맵에서 SLA를 볼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Auto Rejoin(단축키: O)
- 라운드가 시작할 때 자동으로 게임을 나간 후 재접속해준다. 재접속은 5초간 시도한다.
• Powerup Patterns
- 파워업이 스폰하는 라운드를 알려준다. 단, 스폰 패턴이 정해진 파워업 한정이다.
1. 명령어
/pow[34] <insta|max|ss> [reset|(Number)|on|off]를 통해 파워업의 패턴을 리셋하거나, 직접 설정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2. 변경/감지된 패턴은 다음 라운드에서 반영된다.[35]
3. 단축키(기본값: Numpad[36]에 있는 숫자들)나 명령어를 이용해 파워업 타이머를 실행시킬 수 있다.
4. 단축키(기본값: F)로 현재 자신이 바라보고 있는(최대 사거리 30m) 파워업의 타이머를 실행시킬 수 있다.
• Last Weapons
- 본래 게임에서 승리하는 순간 무기나 퍼크 슬롯, 갑옷이 모두 사라지나, 이 기능을 사용하면 무기가 사라지지 않게 할 수 있다.[37] 갑옷은 허기 게이지 위에 표시된다.
1. 무기의 강화 레벨과 추가 체력 퍼크의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2. 기술이 쿨타임 중이더라도 확인할 수 있다.[38]
• Recorder[beta]
- 카테고리 별로, 라운드마다 PB(개인 최고 기록)와 구간 최고 기록을 저장하고 비교한다.
1. 라운드 통과 시 기존 최고 기록과 비교하여 채팅창에 출력한다.
2. 카테고리는 컨피그와 명령어로 변경할 수 있다.
3. PB와 구간 최고 기록은 '.minecraft\\zombies\\splits\\(카테고리 이름)'에 저장된다.[40] 하이픽셀이 아니거나 디버그 모드에서는 practise-splits 폴더에 저장된다.
4. 매 게임마다 구간 기록이 '.minecraft\\zombies\\runs' 폴더에 플레이 시각과 서버 번호와 함께 기록된다.[41]
5. Zombies Utils의 기록과 1틱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42], Zombies Utils의 기록은 비활성화된다.
6. 저장된 기록은 Zombies Utils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반대도 가능하다.
7. 명령어
/recorder category [카테고리]를 통해 현 카테고리를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Text Macro(단축키: Q)
- 컨피그(Config)에서 미리 설정한 메시지를 단축키를 사용해 보낸다. 통화가 제한된다는 조건하에, 위급 상황 등을 빠르게 팀원들한테 전파할 때 유용하다.
★ 명령어 모음
1.
/zombiesaddon difficulty <normal|hard|rip>: 현재 게임의 난이도를 설정한다. 보통은 자동으로 설정된다.2.
/zombiesaddon hud: Auto Splits, Wave Delays, Powerup Patterns의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위치를 수정한다.3.
/zombiesaddon checkUpdate: 업데이트를 확인한다. 4.
/de, /bb, /aa, /pr: 각 맵으로 접속한다. 기존 하이픽셀 명령어의 단축 명령어이다.[43]★ 디버그 모드
- 실제 게임에 접속하지 않고 모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으로,
/za_debug 명령어로 토글한다.1.
/za_debug isNotZombies [false|true]: 'isNotZombies'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수정한다. 이 상태는 Zombies 대기실이나 인게임에 접속해 있지 않은지 여부를 의미한다.[44]2.
/za_debug serverNumber [값]: 서버 번호를 확인하거나 수정한다. null은 설정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서버 번호는 미니게임의 식별 번호로 Zombies에 접속하면 채팅창에 "Sending you to (서버 번호)!" 또는 "(서버 번호) 서버로 이동합니다!"가 출력되며 스코어보드의 날짜(2번째 행) 옆에 적혀있다.3.
/za_debug new: 현재 서버 번호와 맵 Dead End, 난이도는 일반(Normal)으로 게임을 시작한다. 서버 번호가 없거나, isNotZombies가 true라면 시작할 수 없다.4.
/za_debug map [de|bb|aa|pr]: 현재 게임 모드[45]를 확인하거나 맵을 변경한다. 맵이 변경될 때 난이도는 일반(Normal)으로 초기화된다는 점이 주의사항이다.5.
/za_debug pass <라운드>: 해당 라운드를 통과한다. 라운드는 0보다 커야 한다.6.
/za_debug helicopter: Prison의 헬리콥터 탈출을 시작한다.7.
/za_debug end <win|lose>: 게임을 승리 또는 패배로 종료한다.8.
/za_debug remove: 종료된 게임을 제거한다. 여담으로 종료와 제거의 차이로 Last Weapons의 경우가 있다.[46]★ 컨피그(Config) 모음
1. 일반
1) 모드 활성화: Zombies Addon을 활성화한다. 비활성화 시 마치 모드를 적용하지 않은 것처럼 된다.[47]
2) 언어: 언어를 설정한다. Auto는 마인크래프트 자체의 언어 설정을 따라가며, 나머지는 직접 설정할 수 있다.
2. 모듈
▷ 옵션이 1개 뿐인 모듈들의 옵션이 있다.
3. 다른 모드
1) SST의 스폰 시간 비활성화
2) Zombies Utils의 타이머 비활성화
4. 숨겨짐[48]
1)
blockUnlegitMods: 언레짓(Unlegit) 모드[49]들과 함께 사용 시 게임 실행 후 언레짓 모드가 감지되었다는 알림이 뜨고 게임을 계속할 수 없게 된다.2)
blockUnlegitSST: SST의 언레짓(Unlegit) 기능을 차단한다.★ 기타
• 한글 패치
- 이 게임에서 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은 문구 중 일부, SST에서 클린업 시간과 라운드 종료 시 누적 시간, 그리고 Zombies Utils의 PB 및 구긴 기록 메시지를 한국어로 번역한다. 이외에도 Zombies Overlay를 하이픽셀 언어가 한국어일 때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자동 업데이트 및 자동 모드 삭제(Windows 전용)
- 전자의 경우 이 모드의 새로운 최신 버전이 출시되면, 마인크래프트를 실행했을 때 해당 모드를 업데이트할지의 여부를 묻는 창을 띄운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게임이 종료되면 명령 프롬프트(cmd)[50]가 뜨는데 해당 프로세서가 모드 파일을 제거한다.
☆ 다만 마인크래프트 실행 중에는 모드를 제거할 수 없으므로 게임이 완전히 종료된 후 cmd를 계속 실행하면 된다. 아무 키나 누르면 된다(이는 cmd에도 나와 있다).
• Zombies Utils 관련
- Zombies Utils의
/sla 명령어가 /sla_zombiesutils로 바뀌며, Zombies Utils에 한국어 설정이 추가된다.★ 버전 관련 주의사항
- 이 내용은 후술할 Last Weapons도 동일하다. 자세한 내용은 다운로드 사이트를 참고한다.
1. 최신 버전은 x.y.z, 개발 버전은 x.y.z-(버전 타입)w로 구성된다.
2. x는 필수 업데이트를 뜻한다. 예를 들어 2.0.0 버전이 최신 버전이라면 하위 버전은 사용할 수 없다.
3. 개발 버전은 안정성이 매우 낮아 버전 타입이 pre나 rc가 아니라면 사용을 추천하지 않는다.[51]
2.2.1.3. Zombies Utils
★ 다운로드: 링크(현재 버전 = 1.3.7)★ Zombies Utils란?
- 후술할 SLA 모드의 강화 버전인 'SLAv2', 웨이브 딜레이 표시같이 대체로 스피드런에서 유용한 기능들이 접목된 모드이다. 타이머에 종속된 기능들은 컨피그로 언어를 설정해야 하며, 한국어는 Zombies Addon과 함께 사용해야 한다.
★ 기능 모음
• 타이머[EN]
- Auto Splits의 내부 타이머처럼, 타이머를 표시한다. 다만, Zombies Addon과 함께 사용하면 자동 비활성화된다.
• PB 및 세그먼트
- 카테고리 별로, 각 라운드가 끝날 때마다 PB 및 세그먼트를 계산해 채팅창에 표시한다. 여기서 PB는 개인 최고 기록을, 세그먼트는 해당 라운드를 넘기는데 걸린 시간을 의미한다.
1. 카테고리마다 계산되며, 해당 기록의 최고기록은 '.minecraft\\zombies\\splits\\(카테고리 이름)'에 저장된다.
2. '.minecraft\\zombies\\runs'에 세그먼트가 플레이 시각과 함께 기록된다.
• SLAv2
- 현재 활성화된 창문의 수가 표시되는데, 창문의 이름까지 표시된다. 추가로, 비활성화된 창문의 이름도 표시할 수 있다.
• 채팅 매크로
- 미리 설정한 메시지를 단축키를 사용해 보낸다. 통화가 제한된다는 조건하에, 위급 상황 등을 빠르게 팀원들한테 전파할 때 유용하다. 다만 1가지만 사용할 수 있으며, 출력할 메시지에 '§'를 사용하면 안 된다.
• CPS 표시
- 화면 오른쪽 위에 우클릭 CPS를 표시하며, 최대 20까지만 표시된다. 그러나, 5zig와 마찬가지로 조작이 쉽기에 비추천한다.
• 웨이브 딜레이 표시
- 웨이브 딜레이를 화면에 직관적으로 표시하여 적이 스폰하기 전 미리 대비할 수 있는 기능이다.
1. SST와 비슷한[53] 웨이브 딜레이를 표시하며, 효과음을 재생시킬 수 있다.
2. 'RL 모드'라는 것이 있는데, Dead End에서 로켓 런처 사용 중 화염구 발사 딜레이를 계산하기 위하여 존재한다. 단축키로 토글할 수 있다.
▷ 참고로 해당 웨이브에서 어떤 적 또는 어디서 스폰하는지를 접두사로 표시된다.[54]
★ 컨피그(Config) 모음
• Chat Macro
- 채팅 매크로를 통해 출력할 문자(텍스트)를 미리 설정한다. 서술했듯 '§'를 사용하면 안 된다.
• Default Category
- 명령어 커스텀(Custom) 카테고리를 설정하기 전에 사용될 카테고리의 이름이다.
• Language
-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하이픽셀 언어를 설정한다. 다만 한국어는 없으며, 사용하려면 Zombies Addon과 함께 사용해야 한다.
• RL-mode offset
- RL 모드를 사용할 때 웨이브 딜레이에 '추가'할 틱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값이 '-20'이면 웨이브 딜레이에 -20틱이 추가되기에 웨이브 딜레이가 1초 줄어든다.
• SLA Launcher, SST HUD
- 전자는 라운드가 시작할 때마다 SLA를 자동으로 표시하며, 후자는 웨이브 딜레이를 표시한다.
• auditory sst
- 웨이브가 시작될 때 재생될 소리를 설정하는 기능으로, 각 웨이브를 기준으로 n틱이 '추가'된 시점에 소리가 재생된다.
☆ 예시("-30, -20, -10, 0, 60"으로 설정): 웨이브 시작 1.5초 전, 1초 전, 0.5초 전, 웨이브 시작과 동시에, 웨이브 시작 3초 후일 때 각 1번씩 소리가 재생된다. 이 때 소리는 총합 최대 5번 재생 가능하다.
• passed wave spawns
- 지나간 웨이브의 웨이브 딜레이를 표시할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 shortened SLA, Range
- 전자는 비활성화된 창문의 이름을 숨길지의 여부를, 후자는 Player Visibility의 범위를 설정한다.
★ 명령어 모음
•
/category <name>- 커스텀 카테고리를 설정한다. 보통 챌린지 종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 sla 설정
- sla 관한 설정으로, 모든 문법은
/sla로 시작한다.1.
/sla off: SLA 표시를 숨긴다.2.
/sla map <de|bb|aa>: 표시할 SLA의 맵을 설정한다.3.
/sla quick <mogi_a|ghxula|ghxula-garden>: mogi_a와 ghxula라는 유저가 하우징에서 구현한 Dead End와 Bad Blood의 맵에 맞는 SLA를 설정한다. 다만 Dead End의 정원의 위치는 본 게임 맵의 정원의 위치와 서로 다르기에 따로 설정해야 한다.4.
/sla rotate: 축[math((0,y,0))]을 중심으로 모든 창을 회전시킨다.5.
/sla mirror <x|z>: [math((0,y,z))] 또는 [math((x,y,0))] 평면을 따라 모든 창을 대칭시킨다.6.
/sla offset <x> <y> <z>: 오프셋을 설정한다. 이 명령어 포함 위에 두 명령어rotate, mirror는 하우징과 같이 이 게임 맵을 구현한 맵에 SLA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명령어들이다. 이 설정들이 단축된 명령어가 /sla quick 명령어이다.•
/zombiesutils timer <kill|split>- 타이머 관련 설정으로, 'kill'을 넣으면 실행 중인 타이머가 중지되며, 'split' 입력 후 라운드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라운드가 통과된 것처럼 타이머가 설정된다. 하지만, 비정상적인 PB와 세그먼트를 만들 수 있으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2.2.2. 단일 모드
★ 위에 언급된 모드들은 대부분 5가지 이상의 기능이 통합된 모드들이다. 따라서 이 단락에는 (복합 기능 모드 대신) 단일 기능 모드를 선호하는 사람들한테 추천하는 모드를 서술했다.• Last WeaponsLW(링크: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2.5
- Zombies Addon의 Last Weapons 기능만 있는 모드이다. 이 기능은 게임 승리 시 소지하고 있던 갑옷, 무기, 퍼크를 표시하는 것으로, 스크린샷(특히 챌린지) 찍을 때 유용하다.
1. 하이픽셀 언어를 영어나 한국어로 설정해야 한다.
2. Zombies Addon과 동일하게 컨피그로 설정할 수 있다.
3. Zombies Addon과 함께 사용할 수 없다.[55]
4. 자동 업데이트를 지원한다.[56]
• Player VisibilityPV(링크: 1.8.9 다운로드, 1.9.4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2
- 단일 모드 중 인플레이에서 범용적으로 가장 좋은 모드로, 주변 플레이어를 시야에서 숨긴다.
1. 활용법: 코너링 전략을 하면 시야가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서 이 모드가 필요하다. 매우 유용하니 Alien Arcadium을 하지 않더라도 다운받아주자.
2. 사용법: 단축키(기본값: Z)로 활성화/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OFF"가 활성화이므로 주의한다.[57]
• Zombies Auto Splits(Seosean)Auto Splits(링크: 1.1 다운로드, 1.2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1, 1.2[58]
- 기존 Zombies Auto Splits(thamid)와 같으나 이쪽은 Alien Arcadium 라운드 10에서 타이머가 작동되지 않은 버그가 수정되었으며, 내부 타이머를 사용할 경우 명령어로 타이머의 위치를 옮길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더 유용하다. 버전이 1.1과 1.2가 있는데 SST와 함께 사용할 것이라면 1.1 버전, 단순히 타이머가 필요한 것이라면 1.2를 선택한다.[59]
1. 활용법
1) 본래는 흔히 스피드러너들이 사용하는 "LiveSplit"[60]이라는 프로그램을 라운드가 시작할 때 자동으로 실행시켜 주었으나, LiveSplits은 일반적으로 사용이 어렵고 번거롭기에, 요즘은 화면 오른쪽 아래에 내부 타이머를 띄우고 라운드가 시작할 때 자동으로 실행시켜주는 기능을 주로 사용한다. 즉, 각 라운드마다 타이머를 재는 것이다.
2) 지금이 몇 웨이브인지, 언제 다음 웨이브가 시작하는지 확인 할 때, Alien Arcadium에서 블롭을 키울 때 유용하다.
2. 모드 사용 준비[61]
1) 여기서 LiveSplit을 다운 받는다.
2) LiveSplit을 실행해 우클릭 → Settings에서 Server Port를 0~65535 중 원하는 숫자로 입력하고 OK 버튼을 눌러 창을 닫는다.
3) 마인크래프트 실행 → Mods → Zombies AutoSplits → Config에 들어간 뒤, Port 값을 5단계에서 입력한 숫자를 그대로 입력한다.
3. 모드 사용 방법
1) LiveSplit 우클릭 → Control → Start TCP Server로 서버를 시작한다.
2) 인플레이에서 Auto Splits를 ON으로 전환 후, 라운드가 시작하거나 게임이 끝날 때 내부 타이머가 재시작하거나, LiveSplit에 startorsplit 신호가 전달된다.
3) 단축키(기본값은 없음)로 활성화/비활성화할 수 있다.
• Zombies Strat ViewerZSV(링크: 1.8.9 다운로드, 1.9.4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1.1
- https://pastebin.com에 미리 작성된 글을 인플레이 화면 좌측 상단에 띄워 주는 모드이다. 상술한 사이트에 공략을 적어두고 플레이하는 용도로 쓰인다.
2. 예시 글: Dead End 웨이브 딜레이, Bad Blood 웨이브 딜레이, Alien Arcadium 웨이브 딜레이 Alien Arcadium 공략[62]
3. 글 만들기: 만약 이미 있는 글을 사용할 것이라면 이는 무시해도 된다.
1) https://pastebin.com에 접속, 로그인을 한다.
2) 위쪽에 "+ paste"를 누르거나 메인 페이지로 간다.
3) 원하는 글을 적고[63] 아래쪽에서 공개 여부, 이름 등을 수정하여 작성을 끝낸다.
4. 모드 사용 순서
1) 사용할 글을 찾은 후, 글 위에 있는 버튼 중 "raw"를 누른 후 URL을 복사한다.
2)
/setstrat <URL> 명령어로 활성화한다.[64]3)
/setlines <number> 명령어로 한 번에 표시할 줄 수를 정한다.2.2.3. 선택 모드
★ 이 단락에서는, 큰 효과를 가지지 않거나, 업그레이드 버전이 존재하는 모드들을 서술했다. 본인 취향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Auto Rejoin(링크: 1.8.9 다운로드, 1.9.4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1
- 라운드 시작 시 자동으로 게임을 나갔다가 재접속해준다. 사용 목적은 트리오, 듀오, 솔플을 하는 플레이어를 관전하기 위함에 있다. 단축키(기본값: O)로 활성화/비활성화할 수 있다.[EN]
• NOTLAST(링크: 1.8.9 다운로드, 1.9.4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2
- 각 라운드마다 마지막 적을 사살한 플레이어를 보여준다. 단축키(기본값: L)로 토글할 수 있다.[EN] 작동 원리 상 제대로 못 찾을 수도 있다.
• Not Enough ZombiesNEZ(다운로드: 1.8.9)
: 현재 버전 = 0.8.0
- 골드 획득, 창문 수리, 부활, 쓰러짐, 타겟 연습(Target practice), 행운의 상자, 구역 열림, 플레이어 떠남/재접속, 파워업 획득 등의 메시지를 숨길 수 있는 모드이다.[EN]
- [Unlegit 기능(펼치기/접기)]
- ☆ 이 모드는 라운드 시작 시 채팅창에 어떤 파워업이 언제 스폰하는지 알려주고, 파워업 스폰 시 알림이 출력되며, 그 파워업이 언제 디스폰하는지 타이머로 알려주는 기능 등 파워업 관련 기능도 내장되어 있으나, 현재는 파워업 타이머가 Unlegit으로 처리되어 사용하면 안 된다.
• Spawn Limit ActionSLA(다운로드: 1.3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3
- 각 구역에서 활성화된 창문의 수를 알려준다.
1. 활용법: 적들을 더 멀리 스폰시키거나 더 가까이 스폰시키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68] 스피드런과 고난이도 챌린지에서 사용하는 용도이다.
2. 사용법:
/setMap de/bb/aa/off로 활성화/비활성화 가능하다.☆ 'SLAv2'와 달리 창문의 이름은 알려주지 않는다.
• Zombies Auto Splits(thamid)Auto Splits(링크: 1.8.9, 사용법 원문)
- 타이머를 자동 실행시키거나, 타이머를 표시해 준다. 사용법은 상술된 Zombies Auto Splits(Seosean)를 참고한다.
• Zombies Cornering ModCornering(링크: 1.8.9 다운로드, 1.9.4)
: 현재 버전 = 1.1.1, 2.0[69]
- 칼 가드를 할 타이밍을 알려준다.[70] 단축키(기본값: P)로 활성화/비활성화할 수 있다.[EN]
☆ 참고로 이 모드에는 PV 기능과 같은 "Cornering"이란 기능도 있으나, 현재 작동하지 않는다.
====# 사용 불가/금지된 모드 #====
★ 모드 고장 등으로 사용할 수 없는 모드는 진자색, Unlegit 모드의 경우 적색으로 표시한다. 이 때 사용 시 밴을 당하는 Unlegit 모드는 굵게 표시한다.
• ZombiesStatsMod(링크: 1.6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6
- 플레이어의 기록(총 승수, 쓰러진 횟수 등)을 보여주는 모드였으나, 하이픽셀의 api 정책이 변경된 현재는 작동하지 않는다.
• AutoReviver(링크: 1.1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1
- 주변 플레이어를 자동으로 부활시켜준다.
• GrowESP(링크: 1.0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0
- Alien Arcadium에서 블롭의 평균 크기를 보여준다.
• TeammatesOutline(링크: 1.0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0
- 플레이어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벽 너머로도 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 Zombies Explorer(링크: 1.6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6
- 치명타가 잘 뜨지 않는 적과 파워업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은 적을 강조하여 표시한다. 사용하려면 SST가 필요하다.
1. 난해한 치명타 대상 감지: 난해한 치명타 대상을 녹색으로, 일시적인 난해한 치명타 대상을 노란색으로 강조한다.
2. 파워업 감지: SST를 이용해 파워업 패턴을 가져와, 파워업을 무조건 가지고 있는 적을 어두운 빨간색, 패턴 없는 파워업을 고려하여 파워업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적[72]을 빨간색으로 강조한다.
• ZombiesSatellite(링크: 1.1.1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1.1
- Alien Arcadium에서 플레이어의 거리와 체력을 보여준다. 추가로 자이언트의 체력 및 플레이어와의 거리도 보여준다.
• ZombieCat(링크: 소스코드)
- 현재 버전 = 1.7.3
- PV, 최대 밝기, ESP, QS, ZHF, Freecam, GhostBlock, FakeBlock, Aimbot 등 여러 금지된 기능을 가진 모드.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밴을 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 ZombiesHelper(링크: 1.0.1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0.1
- ESP, QS, ZHF, No Puncher, PV 등을 가지고 있는 모드로 No Puncher는 행운의 상자에서 펀쳐가 나왔을 때 행운의 상자와의 상호작용을 차단한다.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밴을 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 Zombies Hologrambug FixerZHF(링크: 1.1.2 다운로드, 1.4 다운로드)
: 현재 버전 = 1.1.1, 1.1.2, 1.4[73]
- 홀로그램 버그가 고쳐짐에 따라 사용이 금지된 모드로, 사용하면 밴을 당한다.
1. 상세: 엔티티와의 일부 상호작용[74]을 무시함으로써, 홀로그램 버그를 고쳐준다. 다만, 원리 자체가 활성화 중에 일부 상호작용을 막는 것이라서 탄약 구매나 무기 강화 등의 상호작용까지 막히는데, 이를 이용해 탄약, 총기, 갑옷, 퍼크 등을 잘못 구매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2. Fixed 버전: 더 강화된 버전으로, 철 검으로 갑옷 거치대를 우클릭 할 때도 상호작용을 무시하여, Alien Arcadium의 ult에서 칼 가드가 더 잘 되도록 한다.
3. 사용법: 단축키(기본값: J)로 활성화/비활성화 수 있다.[75] 또한 ZHF 1.4버전마인크래프트 1.9.4버전 전용에는 새로운 단축키로 'ZHF 무시'(기본값: Tab)가 있는데, Tab키 홀드 중에는 ZHF가 꺼진 것으로 판정되기에 무기 강화, 탄약 충전 등을 할 때 더 편해진다.
• Zombies ModNew ZHF(링크: 소실됨)
- PV와 ZHF를 포함하고 있는 모드이다. 상술된 syeyoung이 만든 ZHF가 더 유명하기에 쓰는 사람은 없었으나, ZHF가 금지될 때 기존 ZHF와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어 'New ZHF'라 불리며 사용할 수 있었다. 물론 현재는 사용하면 밴을 당한다. 모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ZHF와 PV 모두 기존 모드와 동일하며, Fabric 1.18.2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2. jar파일이 없기에 소스 코드를 이용해서 직접 jar파일을 얻어야 한다.
2.3. 모드 외 프로그램
★ 모드가 아닌 프로그램들이 서술되어 있으며, 프로그램 종류는 제목 옆에 각주로 표시하였다.• Zombies Overlay(다운로드: 2.0.0 다운로드, 사용법 원문)[exe프로그램]
: 현재 버전 = 2.0.0[77]
- 팀원의 간단한 정보[78]를 알 수 있다.[EN][80]
1. 프로그램 사용 준비 순서
1) 위의 링크에서 exe파일을 다운받는다.
2) exe파일을 실행하고 설치한다.
3) Options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클라이언트[81]를 설정한다.
4) 기본 API는 공용이므로 제한이 걸릴 수 있다. 개인 API를 사용하려면 이곳을 눌러 개발자 대시보드에 접속한다.[82] 해당 사이트에서 api키를 생성하고 Zombies Overlay에 Options에서 api키를 사용한다. 이 때 API키는 24시간 후 만료되므로 주기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2. Options
1)
Username: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플레이어의 닉네임이다. 인플레이 전 로비(게임 시작 전 대기실)에 접속했을 때 출력되는 메시지인 "(닉네임) has joined (n/4)!"에 반응하지 않으며, 아래의 Enable You Tag에서도 사용된다.2)
Minecraft Directory: 마인크래프트 파일의 logs 폴더의 경로다.3)
API Key▷
Use default API-key: 기본 API 키를 사용한다. 별도의 API 키 발급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제한이 걸릴 수 있다.▷
Use custom API-key: 발급한 개인 API 키를 사용한다. 바로 밑에 API 키를 입력하면 된다.4)
Client: 사용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에 따라 Minecraft Directory를 자동으로 입력해준다.5)
Misc▷
Enable You Tag: 위의 Username에서 입력한 플레이어에게 태그가 붙는다.3. 사용 가이드
▷ 자신이 게임에 접속한 이후로 접속한 플레이어는 자동으로 정보가 표시되며, 플레이어가 나가면 지워진다.
▷ 게임에 접속할 때 표시된 플레이어 정보가 모두 지워진다.
4. 명령어
1)
/who: 현재 접속한 플레이어의 정보를 볼 수 있다.2)
/w (Player_name)!: 특정 플레이어의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3)
/w c: 현재 표시된 플레이어의 정보를 지울 수 있다.4)
/w (Player_name)-: 특정 플레이어의 정보를 지울 수 있다.• ReshiftSimulator(링크: 소스코드)[플러그인]
- 부활 사이클을 연습할 수 있는 플러그인으로, 명령어
/rs를 통해 현재 접속한 플레이어들과 부활 사이클을 연습할 수 있다. 장소는 자동으로 생성해주며, 점프, 검 가드를 이용해 받는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jar파일이 없기에 소스 코드를 이용해서 직접 jar파일을 얻어야 한다.
• Zombot(이름: Zombot#6671)[디스코드_봇]
- 플레이어의 통계, 무기의 정보, 맵의 정보 등 이 게임 내 대부분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봇이다. 대표적으로
/stats username:(Player_name)이라는 명령어를 통해 플레이어의 총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1] 다만 Essential, SST, Zombies Addon, Zombies Utils, Last Weapons를 제외한 다른 모드들은 업데이트가 멈춰서 다르지 않을 것이다.[beta] 베타 버전에서 지원한다.[3] 서술된 다른 모드들에 비해 업데이트가 자주 되기에 실제 버전과 차이가 많이 날 수 있다.[4] 동일한 모드를 사용하는 유저와 친구를 추가하여 메시지를 보내고, 그룹을 만들 수 있으며, 빠른 계정/스킨 변경과 차징품, 싱글 월드 호스트 등이 대표적인 기능들이다.[5] 리소스팩, 싱글 월드, 스크린샷 폴더만 공유되며 나머지는 따로 존재한다.[6] 이 문서에서 말하는 '조작'이란 AC(Auto clicker) 등을 사용하는 부정행위를 말한다. 이 모드와 함께 AC(Auto clicker)를 사용하면, CPS는 올라가지만 클릭은 표시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조작이 어렵다고 하는 것이다.[7] 두 버전 중 M5가 더 낫다.[8] 마인크래프트 버전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한다.[9] 신속의 경우 구역을 열거나, 신속 퍼크를 소지하거나이상 1레벨, 플레이어를 부활시키면2레벨 적용되며, 구속의 경우 Prison에 스폰하는 Frost Zombie의 공격을 받으면3레벨 적용된다.[10] 수많은 기능: 대표적으로 '스크린샷 매니저'가 있다.
최적화: 보이지 않는 엔티티(Entity)를 랜더링하지 않는다. 참고로 이 때 이름표는 따로 랜더링하게 할 수 있다.
버그 수정: 포지 모드로 추가된 대부분의 명령어가 '/'없이 입력되는 버그 수정, 클릭이 화면에 보이는 조준점보다 몇 프레임 전을 가리키는 버그 수정 등이 있다.[11] 다운로드 사이트를 보면 b251을 추천하고 있다. 이 게임만 할 것이라면 문제가 없기에 전자3.14.0보다 후자b351가 더 추천된다.[12] 여기서 언급하는 "게임 플레이에 도움을 주는" 기능은 현재 '상태 효과'를 표시한다거나, FPS 표시, 핑(ping) 표시 등의 기능이다.[예시] s1을 "Don't kill the last zombie"로 풀어서 메시지를 보내는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14] 참고로 'b79_189'버전은 포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쓰는 버전이니 주의한다.[EN] 일부(또는 전체)기능의 경우, 사용하려면 하이픽셀 언어를 영어로 설정해야 한다.[KO] 일부(또는 전체)기능의 경우, 사용하려면 하이픽셀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해야 한다.[17] Zombies Auto Splits(thamid)는 타이머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는 등 단점이 많기에, seosean 버전이 상대적으로 더 좋다.[18] 세 모드는 SST에는 없는 타이머를 추가하는 모드이다. 다만 Zombies Addon, Zombies Utils의 다른 기능이 필요 없고 오직 타이머만 원하거든 Zombies Auto Splits를 쓰면 된다. 그리고 Zombies Addon의 경우, 기본값이 SST의 웨이브 딜레이를 끄도록 되어있으니 주의한다.[19] 자이언트가 스폰하는 웨이브는 보라색/파란색, 오래된 자는 어두운 아쿠아색/초록색, 자이언트와 오래된 자는 어두운 빨간색/빨간색으로 되어 있다.[20] 노란색으로 되어있고, 보라색 화살표가 있는 부분이다.[21] 해당 라운드가 되면 채팅창에 "You completed Round X in mm:ss!"라고 출력되는 것을 말한다. Alien Arcadium은 라운드 10, 20, 105가 끝날 때 출력된다.[22] 이 게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디스코드 서버.[23] 추가로 파워업 타이머의 위치도 바꿀 수 있으나, 해당 기능은 Unlegit이기에 의미없다.[24] Player Visibility, Zombies Cornering Mod, NOTLAST, Zombies Utils, Auto Splits, ZSV, Auto Rejoin을 말한다.[beta] [26] [math((PV 범위, 최솟값))]과 [math((Semi PV 범위, 최댓값))]을 지나는 일차함수를 따른다. 이 두 점은 아래 모드 모두 동일하다.[27] 두 점을 지나는 이차함수를 따른다.[28] 두 점을 지나는 무리함수를 따른다.[29] 다음 라운드가 시작하는 순간 킬 수(Zombie kills)가 올라간 플레이어를 찾는 방식으로 작동한다.[30] 1틱은 0.05초이다.[31] 기본값으로 "W1: 0:10.0"과 "W1 0:10.0", "W1: 00:10", "W1 00:10"이 있다.[32] 반면 "Zombies Utils"는 Zombies Utils의 웨이브 딜레이와 동일하다.[33] 색깔이 2가지인 경우, 전자는 분(minute) 단위 및 콜론(:)에, 후자는 초(Second) 이하 단위에 표시된다. (예: W1 0:10.0 또는 W1 00:10)[34] 풀네임은 '/poweruppatterns'이다.[35] 예를 들어, 라운드 2에 즉시 처치가 스폰한 경우, 라운드 3이 시작돼야 화면에 즉시 처치의 패턴이 표시된다.[36] Numpad(숫자 패드)란 키보드 우측 부분에 있는, 마치 계산기와 흡사하게 생긴 부분을 말한다.[37] 핫바(Hotbar)에 사용했던 무기를 보여주는 방식이라 실제 아이템으로는 남아있지 않다.[38] 기술이 쿨타임 중이면 아이템이 염료로 보이나, 이 기능을 사용하면 흑백 텍스처의 기술로 보인다.[beta] [40] UTF-16으로 인코딩되었으며, .times의 확장자를 가진다.[41] 역시 UTF-16이며, .seg 확장자를 가진다.[42] 두 모드 월드 틱으로 기록을 계산하는데 마인크래프트는 싱글 스레드라서 원래는 두 기록이 다를 수 없으나, Zombies Utils의 기록 계산이 비메인 스레드에서 동작해서 중간에 월드 틱이 변화할 수 있다.[43] 기존 명령어는
여기서 KDR이란 "Kill to Death Ratio"의 줄임말로, 킬 수(Zombie Kills)를 사망 수(Death)로 나눈 값이며, PB는 개인 최고 기록을 의미한다.[EN] [80] 하이픽셀 언어가 한국어일 때 사용하려면 상술된 Zombies Addon을 사용해야 한다.[81] 해당 클라이언트를 설치할 때 마인크래프트 파일(모드, 스크린샷 등이 있는 파일)을 변경했다면 따로 설정해야 하며, logs 폴더를 가리켜야 한다.[82] 인게임에서는 /api 명령어로 접속 링크를 얻을 수 있다.[플러그인] [디스코드_봇]
최적화: 보이지 않는 엔티티(Entity)를 랜더링하지 않는다. 참고로 이 때 이름표는 따로 랜더링하게 할 수 있다.
버그 수정: 포지 모드로 추가된 대부분의 명령어가 '/'없이 입력되는 버그 수정, 클릭이 화면에 보이는 조준점보다 몇 프레임 전을 가리키는 버그 수정 등이 있다.[11] 다운로드 사이트를 보면 b251을 추천하고 있다. 이 게임만 할 것이라면 문제가 없기에 전자3.14.0보다 후자b351가 더 추천된다.[12] 여기서 언급하는 "게임 플레이에 도움을 주는" 기능은 현재 '상태 효과'를 표시한다거나, FPS 표시, 핑(ping) 표시 등의 기능이다.[예시] s1을 "Don't kill the last zombie"로 풀어서 메시지를 보내는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14] 참고로 'b79_189'버전은 포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쓰는 버전이니 주의한다.[EN] 일부(또는 전체)기능의 경우, 사용하려면 하이픽셀 언어를 영어로 설정해야 한다.[KO] 일부(또는 전체)기능의 경우, 사용하려면 하이픽셀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해야 한다.[17] Zombies Auto Splits(thamid)는 타이머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는 등 단점이 많기에, seosean 버전이 상대적으로 더 좋다.[18] 세 모드는 SST에는 없는 타이머를 추가하는 모드이다. 다만 Zombies Addon, Zombies Utils의 다른 기능이 필요 없고 오직 타이머만 원하거든 Zombies Auto Splits를 쓰면 된다. 그리고 Zombies Addon의 경우, 기본값이 SST의 웨이브 딜레이를 끄도록 되어있으니 주의한다.[19] 자이언트가 스폰하는 웨이브는 보라색/파란색, 오래된 자는 어두운 아쿠아색/초록색, 자이언트와 오래된 자는 어두운 빨간색/빨간색으로 되어 있다.[20] 노란색으로 되어있고, 보라색 화살표가 있는 부분이다.[21] 해당 라운드가 되면 채팅창에 "You completed Round X in mm:ss!"라고 출력되는 것을 말한다. Alien Arcadium은 라운드 10, 20, 105가 끝날 때 출력된다.[22] 이 게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디스코드 서버.[23] 추가로 파워업 타이머의 위치도 바꿀 수 있으나, 해당 기능은 Unlegit이기에 의미없다.[24] Player Visibility, Zombies Cornering Mod, NOTLAST, Zombies Utils, Auto Splits, ZSV, Auto Rejoin을 말한다.[beta] [26] [math((PV 범위, 최솟값))]과 [math((Semi PV 범위, 최댓값))]을 지나는 일차함수를 따른다. 이 두 점은 아래 모드 모두 동일하다.[27] 두 점을 지나는 이차함수를 따른다.[28] 두 점을 지나는 무리함수를 따른다.[29] 다음 라운드가 시작하는 순간 킬 수(Zombie kills)가 올라간 플레이어를 찾는 방식으로 작동한다.[30] 1틱은 0.05초이다.[31] 기본값으로 "W1: 0:10.0"과 "W1 0:10.0", "W1: 00:10", "W1 00:10"이 있다.[32] 반면 "Zombies Utils"는 Zombies Utils의 웨이브 딜레이와 동일하다.[33] 색깔이 2가지인 경우, 전자는 분(minute) 단위 및 콜론(:)에, 후자는 초(Second) 이하 단위에 표시된다. (예: W1 0:10.0 또는 W1 00:10)[34] 풀네임은 '/poweruppatterns'이다.[35] 예를 들어, 라운드 2에 즉시 처치가 스폰한 경우, 라운드 3이 시작돼야 화면에 즉시 처치의 패턴이 표시된다.[36] Numpad(숫자 패드)란 키보드 우측 부분에 있는, 마치 계산기와 흡사하게 생긴 부분을 말한다.[37] 핫바(Hotbar)에 사용했던 무기를 보여주는 방식이라 실제 아이템으로는 남아있지 않다.[38] 기술이 쿨타임 중이면 아이템이 염료로 보이나, 이 기능을 사용하면 흑백 텍스처의 기술로 보인다.[beta] [40] UTF-16으로 인코딩되었으며, .times의 확장자를 가진다.[41] 역시 UTF-16이며, .seg 확장자를 가진다.[42] 두 모드 월드 틱으로 기록을 계산하는데 마인크래프트는 싱글 스레드라서 원래는 두 기록이 다를 수 없으나, Zombies Utils의 기록 계산이 비메인 스레드에서 동작해서 중간에 월드 틱이 변화할 수 있다.[43] 기존 명령어는
/play arcade_zombies_(맵 이름)이다.[44] 즉, false가 게임에 접속하는 중을 의미한다.[45] 맵과 난이도를 합쳐 부르는 용어이다.[46] 게임 종료로 LW가 무기를 보여주고, 게임 제거로 더 이상 모드에서 해당 게임을 다루지 않게 된다.[47] 다만, 일부 기능(포지 명령어 버그 수정, SST Unlegit 기능 차단 등)은 여전히 작동한다.[48] 해당 옵션들은 컨피그(Config) 파일에서만 보인다.[49] ZombiesSatellite, Zombies Explorer, TeammatesOutline, ZombiesHelper이다.[50] 검은 바탕의 흰 글씨가 뜨는 창[51] pre는 큰 버그는 없고 그나마 사소한 버그 뿐이며, rc는 최종 테스트 버전을 뜻해서 플레이에 문제를 주는 버그는 없을 것이다.[EN] [53] 텍스트의 디자인이 다르며, 하이라이트가 유지되지 않고, 마지막 웨이브가 시작되면 하이라이트가 사라진다.[54] 예를 들어 창문에서 스폰하면 'W'가 붙고, 보스가 스폰하면 'B', 히로빈의 소환수가 스폰하는 웨이브는 'HBM'이 붙는다.[55] 마인크래프트가 실행될 때 Zombies Addon이 감지되었다며 게임을 진행할 수 없다. 여담으로 두 모드 중 하나를 자동으로 지우는 선택이 있는데 Windows에서만 작동한다.[56] 추천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역시 Windows전용이다.[57] 모드 이름을 직역하면 "플레이어 가시성"이므로 이를 OFF로 하여 가시성을 끈다는 뜻이다.[58] '최신버전, 베타 버전'이 아니다. 상황에 맞는 버전을 선택해야 한다.[59] 1.2는 Zombies Auto Splits(thamid)에서 Alien Arcadium 라운드 10 버그를 수정한 것뿐이며, 1.1은 서술한 SST에서 /ssthud 명령어를 쓸 때 이 모드의 타이머도 옮길 수 있다.[60] 스피드런에 자주 쓰이는 타이머이다.[61] 만약 LiveSplit 없이 내부 타이머로 Auto Splits를 사용하고 싶으면 1, 2단계를 건너뛰고, 3단계에서 Port 값을 "-1"로 설정한다. 이러면 화면 우측 하단에 내부 타이머가 보인다.[62] 문법이 완벽하지 않으니 주의하자.[63] 참고로 글을 한글로 적으면 불러올 때 글자가 깨지기에, 꼭 영어로 적어야 한다.[64] URL은 방금 복사한 URL을 적으면 되며 'https://pastebin.com/raw/'으로 시작해야 한다.[EN] [EN] [EN] [68] Alien Arcadium는 맵 구조가 단순하여, 스폰되지 않는 창문을 외우기 쉽기 때문에 딱히 없어도 된다.[69] 전자가 마인크래프트 1.8.9 버전이며, 후자는 1.9.4이다.[70] 플레이어 2명이 쓰러지거나 팀원을 살리는 중이라면 작동된다.[EN] [72] 0~3마리까지 강조하며, 기본값은 1이다.[73] 1.1.1은 Fixed 버전, 1.1.2는 마인크래프트 버전 1.8.9 전용, 1.4는 마인크래프트 버전 1.9.4 전용이다.[74] 엔티티 공격, 아머스텐드 제외 엔티티 우클릭, 철 검으로 갑옷 거치대(Armorstand) 우클릭 제외 엔티티와의 상호작용을 말한다.[75] 상당히 자주 쓰이므로 F 같은 근처 키로 바꾸는 것이 낫다.[exe프로그램] [77] 표기된 버전은 2.0.1이나 다운받아보면 2.0.0으로 뜬다.[78] 총 승리 횟수, AA PB 라운드, BB/DE/PR 승리 횟수, KDR, 킬 수 총합, PB가 존재한다. 여기서 KDR이란 "Kill to Death Ratio"의 줄임말로, 킬 수(Zombie Kills)를 사망 수(Death)로 나눈 값이며, PB는 개인 최고 기록을 의미한다.[EN] [80] 하이픽셀 언어가 한국어일 때 사용하려면 상술된 Zombies Addon을 사용해야 한다.[81] 해당 클라이언트를 설치할 때 마인크래프트 파일(모드, 스크린샷 등이 있는 파일)을 변경했다면 따로 설정해야 하며, logs 폴더를 가리켜야 한다.[82] 인게임에서는 /api 명령어로 접속 링크를 얻을 수 있다.[플러그인] [디스코드_봇]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하이픽셀/Zombies|하이픽셀/Zombies]]}}}{{{#!if external != "o"
[[하이픽셀/Zombies]]}}}}}}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하이픽셀/Zombies?uuid=a39f56c5-d06e-4677-a37d-5886a9af5c31|r148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하이픽셀/Zombies?uuid=a39f56c5-d06e-4677-a37d-5886a9af5c31#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하이픽셀/Zombies?from=1483|이전 역사 보러 가기]]}}}#!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하이픽셀/Zombies|하이픽셀/Zombies]]}}}{{{#!if external != "o"
[[하이픽셀/Zombies]]}}}}}}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하이픽셀/Zombies?uuid=a39f56c5-d06e-4677-a37d-5886a9af5c31|r148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하이픽셀/Zombies?uuid=a39f56c5-d06e-4677-a37d-5886a9af5c3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하이픽셀/Zombies?from=1483|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하이픽셀/Zombies/팁|하이픽셀/Zombies/팁]]}}}{{{#!if external != "o"
[[하이픽셀/Zombies/팁]]}}}}}}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하이픽셀/Zombies/팁?uuid=2178e4a9-863e-4dce-8218-072c6cb28bd9|r518]]}}}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하이픽셀/Zombies/팁?uuid=2178e4a9-863e-4dce-8218-072c6cb28bd9#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하이픽셀/Zombies/팁?from=518|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