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국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초대 국군 소강공 | 1대 국군 연후 극 | 2대 국군 연후 지 | 3대 국군 연후 무 | 4대 국군 연후 헌 |
5대 국군 연후 화 | 실전 | 7대 국군 연후 성 | 실전 | 9대 국군 혜후 | |
10대 국군 희후 | 11대 국군 경후 | 12대 국군 애후 | 13대 국군 정후 | 14대 국군 목후 | |
15대 국군 선후 | 16대 국군 환후 | 17대 국군 장공 | 18대 국군 양공 | 19대 국군 환공 | |
20대 국군 선공 | 21대 국군 소공 | 22대 국군 무공 | 23대 국군 문공 | 24대 국군 의공 | |
25대 국군 혜공 | 26대 국군 도공 | 27대 국군 공공 | 28대 국군 평공 | 29대 국군 간공 | |
30대 국군 헌공 | 31대 국군 효공 | 32대 국군 성공 | 33대 국군 민공 | 34대 국군 희공 | |
35대 국군 후환공 | 36대 국군 후문공 | 초대 왕 역왕 | 2대 왕 연왕 쾌 | 비정통 연왕 자지 | |
3대 왕 소양왕 | 4대 왕 혜왕 | 5대 왕 무성왕 | 6대 왕 효왕 | 말대 왕 연왕 희 | |
초한쟁패기 연왕 한광 | 연왕 장도 | 연왕 노관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00 0%, #c00 20%, #c00 80%, #c00);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황제 | |||
초의제 웅심 | ||||
분봉자 | ||||
서초패왕 항적 | ||||
초 영역 楚 | ||||
구강왕 영포 | 형산왕 오예 | 임강왕 공오 | ||
진 영역 秦 | ||||
한왕 유방 | 옹왕 장한 | 새왕 사마흔 | 적왕 동예 | |
조 영역 趙 | 위 영역 魏 | |||
대왕 조헐 | 상산왕 장이 | 서위왕 위표 | 은왕 사마앙 | |
한 영역 韓 | 연 영역 燕 | |||
한왕 한성 | 하남왕 신양 | 요동왕 한광 | 연왕 장도 | |
제 영역 齊 | ||||
교동왕 전시 | 제왕 전도 | 제북왕 전안 | ||
<colbgcolor=#c00> 관련 틀: 전국시대 왕조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colbgcolor=#6a5acd> 연왕(燕王) 韓廣 한광 | ||
작위 | 연왕(燕王)→요동왕(遼東王) | |
씨 | 한(韓) | |
휘 | 광(廣) | |
생몰 기간 | ? ~ 기원전 206년 | |
재위 기간 | 연왕: 기원전 209년? 208년? ~ 기원전 206년 음력 2월 요동왕: 기원전 206년 음력 2월 ~ 기원전 206년 음력 2월 이후 |
[clearfix]
1. 개요
초한쟁패기의 연(燕)나라의 왕.2. 생애
원래 조나라의 상곡군의 낮은 군리로 일했다. 하지만 진시황(秦始皇)의 공격으로 조(趙)나라가 망한 뒤 실업자가 되었다.진시황이 죽은 뒤 호해가 이세황제가 되자 조고와 짜고 폭정을 저질러 진승·오광의 난이 일어났을 때 진승(陳勝)이 진군(陳郡)을 차지하고 장초(張楚)의 왕을 칭하자 많은 유력 군벌이 독립했다. 대표적으로 무신(武信)이 장초에서 독립해 조나라의 왕이 되었다. 그리고 그 무신이 한광에게 연나라 땅을 정벌하라고 했다. 그러자 한광은 연나라 땅을 차지했는데, 연나라의 백성들이 태자 단이 연왕 희에게 죽어 적통 왕손이 없어서인지 한광에게 독립을 요구했는데, 한광은 자신의 가족이 조나라에 있어서 할 수 없다고 밝혔으나, 결국 요청에 못이겨 연나라의 왕이 되었다. 이에 무신은 화가 났지만, 자신 또한 진승으로부터 독립한 전력이 있어 결국 그 부모는 물론 처자식도 연나라로 보내주었다.[1]
기원전 208년 한광은 진나라 장수 장한(章邯)과 왕리가 조나라를 공격할 때[2] 한광은 부하인 장도(臧荼)를 보내 조나라를 돕게 했다. 그리고 조나라를 구원하러 온 항우(項羽)는 장한을 물리쳐, 초나라의 위상을 드높였다.
기원전 206년 항우가 제후들을 분봉할 때 한광이 친히 와서 돕지 않았다는 이유로 한광을 요동왕으로 임명하고, 직접 와서 도운 장도는 연왕으로 봉했다.[3] 이에 한광은 그 조치에 불만을 품었고 요동으로의 전봉 역시 거부한다.[4] 그런데 장도는 그것을 빌미로 연나라의 군대를 동원해 한광의 근거지인 무종(無終)[5]을 공격해서 한광을 살해하고 유일한 연왕이 된다.[6]
[1] 이것은 당시 진나라가 기울어가면서, 제후국들이 일어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2] 이때 무신은 죽임을 당했고, 이때 조왕으로 있었던 사람은 조나라의 왕손인 조헐(趙歇)이다.[3] 다만, 일관성이 없는 조치인게, 유방을 따라 입관한 매현 덕에 파현의 현령인 오예는 장사왕이 되었으니 불공평한 조치가 아닐 수 없다. 그 매현은 10만호의 제후가 되었다.[4] 한광 입장에서 보자면 느닷 없이 부하랑 동급에 놓이게 되고 본래 살던 곳에서 강제 이사(...) 당하게 된 것. 말이 좋아서 요동왕이지 요동이 제대로 개발 되기 시작한건 후한 무렵이다.[5] 베이징과 톈진 사이에 위치. 장도가 도읍을 둔 계(薊) 역시 가까이에 있었다.[6] 그러나 그 일로 항우의 분노를 샀기 때문에, 훗날 유방에게 붙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그 이유는 말할 거 없이 한광 또한 항우가 임명한 왕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