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18:29:21

호시노 노부유키

호시노 노부유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0019>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9e751f> 1936春夏 1936秋 1937春~1937秋 1938春 1938秋
미야타케 사부로 키타이 마사오 이시다 미츠히코 미야타케 사부로 오다노 카시와
<rowcolor=#9e751f> 1939 1940 1941 1942 1943
아사노 카츠사부로 시게미츠 미치오 아사노 카츠사부로 하시모토 쇼고 텐포 요시오
<rowcolor=#9e751f> 1944 1946~1948 1949 1950~1952 1953
카사마츠 미노루 텐포 요시오 이마니시 렌타로 텐포 요시오 시바타 에이지
<rowcolor=#9e751f> 1954 1955 1956~1958 1959 1960
카지모토 타카오 시바타 에이지 카지모토 타카오 요네다 테츠야 카지모토 타카오
<rowcolor=#9e751f> 1961 1962 1963 1964 1965
요네다 테츠야 이시이 시게오 카지모토 타카오 요네다 테츠야 아다치 미츠히로
<rowcolor=#9e751f> 1966 1967 1968 1969~1971 1972~1973
이시이 시게오 요네다 테츠야 이시이 시게오 요네다 테츠야 아다치 미츠히로
<rowcolor=#9e751f> 1974 1975~1986 1987~1989 1990 1991
타케무라 카즈요시 야마다 히사시 사토 요시노리 호시노 노부유키 사토 요시노리
<rowcolor=#9e751f> 1992~1994 1995 1996~1998 1999~2000 2001
호시노 노부유키 사토 요시노리 호시노 노부유키 코바야시 히로시 카네다 마사히코
<rowcolor=#9e751f> 2002 2003 2004 2005~2007 2008
에드 야날 요시이 마사토 구대성 카와고에 히데타카 카네코 치히로
<rowcolor=#9e751f> 2009 2010 2011 2012 2013~2014
코마츠 사토시 카네코 치히로 키사누키 히로시 알프레도 피가로 카네코 치히로
<rowcolor=#9e751f> 2015 2016~2017 2018 2019~2020 2021~2022
브랜든 딕슨 카네코 치히로 니시 유키 야마오카 타이스케 야마모토 요시노부
<rowcolor=#9e751f> 2023 2024~2025
야마시타 슌페이타 미야기 히로야
}}}}}}}}} ||

파일:1996블루웨이브우승.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1996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89, 1996년 퍼시픽 리그 최고 승률

한큐 브레이브스 등번호 53번
후지모토 마사하루[1]
(1972~1983)
호시노 노부유키
(1984~1986)
나카지마 사토시
(1987~1988)
한큐 브레이브스-오릭스 브레이브스-오릭스 블루웨이브 등번호 28번
이케우치 유타카
(1986)
호시노 노부유키
(1987~1999)
카세 토시히로
(2001~2004)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34번
나카노세 유키야스
(1996~1999)
호시노 노부유키
(2000~2002)
하시모토 타카히로
(2003)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70번
키도 카츠히코
(1997~2005)
호시노 노부유키
(2006~2009)
키도 카츠히코
(2010~2011)
{{{#ffffff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버팔로즈]] 등번호 71번}}}
후루야 히데오
(2008~2009)
호시노 노부유키
(2010~2017)
후지이 야스오
(2018~2019)
}}} ||
파일:호시노 노부유키 오릭스 시절 클로즈업.jpg
호시노 노부유키
星野伸之 | Nobuyuki Hoshino
출생 1966년 1월 31일 ([age(1966-01-31)]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학력 홋카이도 아사히카와 공업 고교 (홋카이도)
신체 183cm, 74kg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1983년 드래프트 5라운드 (한큐)
소속팀 한큐-오릭스 브레이브스-오릭스 블루웨이브 (1984~1999)
한신 타이거스 (2000~2002)
지도자 한신 타이거스 2군 투수코치 (2006~2009)
오릭스 버팔로즈 1군 투수코치 (2010)
오릭스 버팔로즈 2군 투수코치 (2011~2012)
오릭스 버팔로즈 1군 투수코치 (2012~2015)
오릭스 버팔로즈 2군 육성코치 (2016)
오릭스 버팔로즈 1군 투수코치 (2016~2017)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은퇴 이후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선수.

2. 선수 경력

파일:external/art62.photozou.jp/106627149_624.jpg
120km대의 속구와 80km대의 커브볼을 던지는 느림보 투수로 유명했다.[2] 삼성 라이온즈성준이나 전병호, 두산 베어스유희관 등 '흑마구' 투수들과 비슷한 스타일. 다만 그 엄청 느린 슬로우 커브뿐만 아니라 포심과 거의 구속차이가 나지 않는 포크볼 또한 주무기였다. 느린 구속에 비해 그 많은 탈삼진[3]은 오히려 포크볼 덕을 많이 보았다.

얼마나 공이 느렸나 하면, 1990년 도쿄돔에서 열린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경기에서 배터리를 이뤘던 포수 나카지마 사토시[4]가 호시노 노부유키의 공을 맨손으로 받아낸 적이 있을 정도. 또한 경기중에 가끔 포심의 구속이 130km를 넘어가면 오히려 중계진으로부터 '호시노 선수 오늘 컨디션이 나쁜가보군요'라는 소리를 듣기도 했다(…).

입단 후 2년간은 별 활약이 없었으나 1986년 9승을 올린 것을 시작으로, 1991년 16승을 올린 것을 포함해 1987년부터 1997년까지 11년 연속 두자리 승수를 거두며 사토 요시노리, 노다 코지[5]등과 함께 선발진의 기둥으로 자리매김했다. 스즈키 이치로, 다구치 소, 후지이 야스오 등과 함께 오기 아키라 감독이 이끄는 블루웨이브의 1995년, 1996년 퍼시픽리그 우승과 1996년 일본시리즈 우승의 주역이 되었다. 60kg 후반 ~ 70kg 전후의 비리비리한 체구에 순해보이는 인상[6][7]을 보면 그렇지 않을 것 같지만, 의외로 잔부상도 별로 없이 수 년간 꾸준히 많은 이닝을 소화하였다. 한큐-오릭스에서 선수생활을 하던 1985년부터 1999년 중 150이닝 이하를 소화한 시즌은 단 4번에 불과하며 140이닝 미만을 소화한 시즌은 단 2번에 불과하다. 통산 129경기를 완투했고, 최다 완봉을 기록한 해가 2번(1987, 1992)이나 있었다. 느린 구속이 내구성에는 도움을 주었던 것인지...

2000년 FA를 선언해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했지만 부진 및 심장질환 때문에 결국 2002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였다.

통산 성적은 427경기(384선발) 2669.1이닝 176승 140패 2세이브 평균자책점 3.64, 2041탈삼진. 느린 공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A급 성적을 낸 뛰어난 선발 투수였다.

3. 은퇴 이후

잠시 야구 평론가로 지내다가 2005년부터 한신 타이거즈의 2군 투수코치로 부임하여 2009년까지 재직. 그 동안 매년 노우미 아츠시 등 꼬박꼬박 영건을 만들어냈다. 오릭스 버팔로즈 감독으로 부임한 오카다 아키노부를 따라서 친정팀 오릭스로 적을 옮겨갔다.

4. 여담

1997년 11월, 한일 친선야구 경기를 위해 방한한 적이 있다.[8] 그리고 1차전에 선발등판했다.[9][10] 참고로 이 경기를 위해 팀동료인 스즈키 이치로도 함께 방한했다가 경기 직전에 일본으로 돌아가는 사건도 있었다.

해설자로 활동하던 2005년에 미국에서 후배였던 스즈키 이치로가 출전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을 취재한 적이 있었다. 그때 호시노가 이치로에게 홈런 더비를 안 나가냐고 물어봤었는데, "선배가 강속구 콘테스트에 안 나가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이치로가 말하였다고 한다. [11]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에서는 94부터 9결정판까지는 현역으로, 그 이후로는 OB선수로 나오는데 변화구 칸수가 후덜덜하며 키레4라는 특능도 있고 컨트롤도 만점. 하지만 최고구속이 132km에 불과하다. 저 최고구속도 최고 컨디션인 절호조 상태에서 직구를 X보턴 죽어라 연타해서 전력으로 던져야 저정도다. 통상적인 직구는 126km 전후. 사실 코나미에서 저 구속도 후하게 준것인데 130km 이하로 해버리면 게임상에서 아무리 투수의 파란특능을 도배해도 속절없이 맞아나가기 때문이란다... 하지만 호시노 노부유키는 현직 코치이기 때문에 OB 선수로 표기될때 연도표기가 없다. 따라서 어레인지로 페넌트레이스에 활용하면 18세로 시작한다. 속구파(별4칸정도) 코치 붙여서 죽어라 키우면 어떻게든 150km까진 만들수 있을것이다. 다만 괴물성적을 내야한다는 전제가 뒷받침된다.

홋카이도에서는 엄청난 인기를 자랑했는데, 은퇴 전 한신 굿즈샵이 무려 아사히카와시에 들어선 적이 있다.

5. 관련 문서



[1] 본명은 코데라 마사하루(小寺昌治)[2] 그런데 또 투구폼은 꽤나 하이키킹해서 던지는 폼이라..불같은 강속구를 생각하며 보다가 체인지업같은게 날아가고 알고 보니 그게 패스트볼이였단걸 깨닫게 되면 꽤나 뭔지 모를 괴리감이 생긴다(..)[3] 2011년 시점에서 역대 18위.[4] 무려 2015년까지 현역이었다. 오릭스 블루웨이브도 아닌 한큐 브레이브스의 유니폼을 입어본 적이 있는 최후의 현역선수로 남았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서 1군 배터리 코치를 겸임하며 교체할 포수가 소진된다거나 하는 긴급 상황에서 백업 포수로 간간히 출장했다. 게다가 이쪽은 전성기에 올스타전의 스피드왕 콘테스트에서 146km/h를 찍기도 한 강견의 포수로 유명했다. 2021년부터 오릭스 버팔로스의 감독을 맡아 부임 첫해부터 리그 우승, 이듬해 리그 우승과 일본시리즈 우승, 3년차에 리그 3연패를 달성하며 명장의 반열로 올라섰다.[5] 포크볼러로 일본프로야구 1경기 최다탈삼진(19개) 기록 보유자이다. 2위는 다나카 마사히로이며 18개를 기록했다.[6] 80년대 말 세이부와타나베 히사노부, 닛폰햄니시자키 유키히로, 긴테쓰아와노 히데유키 등과 함께 달달한 인상으로 여심을 울리는 퍼시픽 리그의 '트렌디 에이스'들 중 하나로 언론에 다뤄질 정도였다.[7] 키가 꽤 큰 만큼 드래프트 당시에는 몸을 불리면 구속도 붙겠지... 같은 전망도 있었지만 본인이 좀 심하게 살이 안 찌는 체질이라 결국 완급조절과 제구를 중시하는 스타일로 육성되었고 그게 먹혔다고 한다. 사실 신장도 2020년대 기준으로는 183cm도 투수로서는 작은편. 그러나 일본인들의 평균신장이 한국인 보다 작다는걸 감안해야한다.[8] 오릭스 블루웨이브주니치 드래곤즈의 연합팀.[9] 장소는 잠실야구장, 상대팀은 LG 트윈스현대 유니콘스의 연합팀.[10] 2차전의 일본팀 선발투수는 당시 주니치 소속이었던 카도쿠라 켄이다.[11] 그 이치로는 1996년 올스타전에 마무리 투수로 등판해(!) 141km/h의 속구를 던진 적이 있다. 그 공에 아웃된 타자는 당시 야쿠르트의 마무리 투수 다카쓰 신고... 또 경기에서는 슬랩히터지만 타격 연습에서는 또 곧잘 홈런을 쳐서 말년인 말린스 시절엔 타격코치인 배리 본즈로부터 이치로가 홈런 더비에 나가면 우승할 수 있을거란 말도 들은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