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4:20:05

회혼례

결혼 기념일
결혼식 [ruby(지혼식,ruby=1주년)] [ruby(고혼식,ruby=2주년)] [ruby(혁혼식,ruby=4주년)] [ruby(목혼식,ruby=5주년)] [ruby(은혼식,ruby=25주년)] [ruby(금혼식,ruby=50주년)] [ruby(회혼례,ruby=60주년)] [ruby(금강혼식,ruby=75주년)] [ruby(백년해로,ruby=100주년)]


1. 설명2. 기원

1. 설명

/

부부가 결혼 후 60년을 회로하고 자녀가 번성한 다복한 분이 맞이하는 뜻깊은 기념일이다. 다른 말로 회혼식, 금강혼식(金剛婚式)[1]이라고 한다. 결혼 60주년은 흔한 일이 아니다. 30세에 결혼하면 90세가 되며, 현재는 보통 80대에 회혼례를 하며 2024년 현재 회혼례를 맞이하는 사람은 평균적으로 여자는 1940~1943년생, 남자는 1937~1941년생이다. 남자의 경우 대다수가 사망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둘 다 사망하거나, 여자만 생존한 경우가 많아 회혼례를 맞이하는 경우가 적다. 그야말로 검은 머리가 파뿌리 되도록 서로 살아왔음을 의미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가능성이 높아진 금혼식과 다르게 회혼식까지 살 가능성은 낮으며[2], 회혼식 때는 자녀 세대도 50대가 되며, 증손주를 본 경우도 있다. 물론 현재는 평균 수명의 증가로 늘고 있긴 하다. 회혼례를 할 정도의 나이인 사람들은 평균 키가 작았던 시절에 태어나 남자 150cm대, 여자 140cm대를 쉽게 볼 수 있으며 이 나이대까지 남자 키가 170cm 이상이거나 여자 키가 165cm 이상이면 장신 취급을 받기도 한다.

대한민국 대통령 중에서는 최규하가 1995년, 김영삼이 2011년, 전두환이 2018년, 노태우가 2019년 회혼례를 했다.

2023년 기준 최소 78세[3]는 되어야 회혼례를 맞이할 수 있다. 참고로 남자의 평균수명[4]이 76~77년 정도이다.

60은 4의 배수이기 때문에 2월 29일에 결혼식을 올린 부부들은 회혼례 역시 제 날짜에 맞을 수 있다.

2. 기원

회혼례는 조선시대 중기 이후 발달한 결혼기념일로 한 가족 안의 기쁨이 아니라 마을 전체가 기뻐하는 일이었다. 왜냐하면 두 사람이 혼인할 정도로 장성할 때까지의 시간이 있고, 거기에 더하여 60년이라는 긴 세월을 함께 살아왔다는 것은 남편이나 아내 모두 장수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손들은 부모의 장수와 해로를 감사하고 마을 사람들 또한 이를 기쁘게 여기며 함께 기념한다. 이 날은 기념하기 위해 혼례 의식을 다시 올리며 자식들이 늙은 부모에게 헌수(獻壽)[5]를 한다. 심지어 현재는 흔하디 흔한 환갑, 칠순과 다르게 회혼식은 금혼식, 팔순, 구순처럼 흔하지 않아 크게 치른다.


[1] 또는 결혼 75주년을 금강혼식이라고 하기도 한다. 금강혼식까지 부부 모두 생존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2] 당장 대한민국 대통령 중 회혼례를 해 본 사람은 최규하,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4명뿐이다. 그 중 최규하는 대한민국 대통령 중 가장 오랫동안 결혼 생활을 유지한 사람이다.[3] 민법 상 결혼 가능한 나이 18세 + 60년[4] 생존율 50% 시점[5] 부모님께 술잔을 따라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