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마와리 ひまわり (気象衛星) Himawari | |
現 히마와리 9호 (2016년) | |
종류 | 기상위성 |
궤도 | 정지궤도 |
운영 | 1977년 7월 14일 ~ |
관리 | 일본 기상청 |
[clearfix]
1. 개요
일본 기상청에서 1977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정지기상위성으로 2024년 현재는 2016년 발사된 히마와리-9호가 운용중이다.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해바라기에서 명칭을 따왔다. 항상 태양을 바라보는 해바라기의 특징에 기인하여 위성도 언제나 지구를 바라보기에 이러한 명칭을 붙였다고 한다.
2. 특징
일본 상공에 있는 정지위성 특성 상 일본 열도와 한반도는 물론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까지 관측이 가능하기에 지구 대기 개발 계획(GARP)의 하나로 전 세계적인 기상 관측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접국에게도 기상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히마와리 7호까지는 한국의 다목적과학위성처럼 다양한 용도[1]로 함께 사용했으나 8호부터는 온전히 기상관측 용도로만 사용하게 됨에 따라 일본 기상청은 드디어 기상청 단독으로 위성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위성 수명이 증대되었으며 더 다양한 관측센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2]
아울러 초기를 제외하고 발사체와 기상위성 제작/운영 일체를 일본의 미쓰비시 중공업과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에서 전담하며 지금까지도 일본의 우주산업 발전에 영향을 주고있다.
3. 목록
<rowcolor=#373a3c,#dddddd> 이름 | 발사 | 운용 |
히마와리 (GMS) | 1977.07.14.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 1977.07.14. ~ 1989.06.30. |
히마와리 2호 (GMS-2) | 1981.08.11.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 1981.12.24. ~ 1987.11.20. |
히마와리 3호 (GMS-3) | 1984.08.03. | 1984.08.27. ~ 1995.06.23. |
히마와리 4호 (GMS-4) | 1989.09.06. | 1989.12. ~ 2000.02.24. |
히마와리 5호 (GMS-5) | 1995.03.18. | 1995.06.21. ~ 2005.07.21. |
히마와리 6호 (MTSAT-1R)[3] | 2005.02.26. | 2005.6.28. ~ 2015.07.07. |
히마와리 7호 (MTSAT-2) | 2006.02.18. | 2010.07.01 ~ 2017.03.10. |
히마와리 8호 (Himawari-8) | 2014.10.07. | 2015.07.07. ~ 대기운영중[4] |
히마와리 9호 (Himawari-9) | 2016.11.02. | 2022.12.13. ~ 운영중 |
히마와리 10호 (Himawari-10) | 미정 | 계획중 |
4. 한국에서
위성이 위치한 궤도가 넓은 일본 열도를 커버하다 보니 한반도도 수혜지역이라[5] 대한민국 기상청과 공군기상단의 기상예보에도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실제로 우리 기상청과 공군에서는 자료 분석 과정에서 천리안 위성과 함께 히마와리-9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고 있으며 가끔 천리안이 고장나거나 점검할 때 히마와리 데이터를 사용하기도 한다.실제 2018년 2월 11일과 2019년 5월 8일에 천리안 1호가 고장나서 한국 기상청에서는 히마와리-8 데이터를 사용했으나[6] 언론이나 뉴스에서는 단순히 외국의 위성자료라고만 언급한 적도 있었다. # # 2023년 지금도 종종 천리안 2A호가 점검이나 고장이 나는 경우 히마와리를 참고하는 경우가 많다.
5. 기타
- 실시간 히마와리 데이터를 볼 수 있는 사이트도 있다 https://himawari.asia/
- 2022년 기준으로 히마와리의 데이터 접속 및 이용처의 50%는 일본 국외로 나타났으며, 특히 태국, 필리핀, 대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폴 등이라고 한다.#
[1] 기상관측, 항공관제, 위성촬영, 통신중계 등[2] 이로 인해 기존에 위성을 같이 사용하던 국토교통성과 일본 기상청간 예산 다툼이 있었다고 한다...만 다행히도 방재의 목적 등을 통해 2019년 히마와리 9호의 운영에 필요한 예산 77억엔을 받았다.#[3] R이 붙은 이유는 '1999.11.15.에 MTSAT-1이 발사실패하였기 때문이다. (H-II 8호)[4] 9호 백업[5] 동북아시아 ~(일본 열도) ~ 오세아니아[6] 당시 일본에 대한 한국 정부와 국민 여론이 좋지않았고, 정부에서는 천리안 위성 발사 성공에 대해 성대히 홍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