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 대학농구연맹전 1차대회 우승: 연세대 2차대회 우승: 연세대 | → | 1997 대학농구연맹전 우승: 연세대 | → | 1998 대학농구연맹전 우승: 고려대/중앙대/한양대(공동우승) |
1. 개요
1997년도 대학농구연맹전 및 기타 대학농구 대회들에 대해 소개한다.대회 | 일시 | 우승팀 | MVP | 준우승팀 | 3위 | 4위 | 비고 |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 3월 | 연세대 | 서장훈(연세대) | 경희대 | 건국대 | 한양대 | |
전국체전 | 10월 | 연세대 | - | 건국대 | |||
대학농구연맹전 | 12월 | 연세대 | 조상현(연세대) | 명지대※ 고려대※ | - | 중앙대 | |
농구대잔치 | 12월~1998년 2월 | 연세대 | 서장훈(연세대) | 경희대 | 고려대 | 한양대 |
연세대가 1997년도에 열린 4개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면서 사상 첫 시즌 전관왕 (4관왕)에 올랐다.
대학부에서의 대회만 따진다면 1995년도에 고려대도 출전한 5개 대회에서 모두 우승한바 있지만, 당시 고대는 1995-96 농구대잔치에서는 4강에서 떨어지며 최종 3위에 머물렀었다.
다만 KBL의 출범으로 인해 1997년도부터 농구대잔치는 대학팀 및 상무만 참가하는 대회로 규모가 축소되는 바람에, 1995-96 농구대잔치는 물론 바로 전년도에 연세대가 우승한 1996-97 농구대잔치 때보다도 권위가 낮아져, '"아마추어 레벨의 최고 권위의 대회" 정도로만 인정받게 되었다.
2. 대회결과
2.1.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3월)
1997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항목 참조1 | 연세대 |
2 | 경희대 |
3 | 건국대 |
4 | 한양대 |
- MVP: 서장훈(연세대)
2.2. 전국체전 (10월)
1 | 연세대 |
2 | 건국대 |
2.3. 대학농구연맹전 (12월)
1) 참가팀 및 주요 사항- 대학농구연맹 산하 10개 대학팀이 모두 참가하였다.
- 정식명칭은 제34회 전국대학농구연맹전 겸 제52회 전국남녀종별농구선수권대회이다.
순위 | A조 | B조 | ||
1 | 연세대 | 4 - 0 | 고려대 | ? |
2 | 명지대※ | 2 - 2 | 경희대 | ? |
3 | 중앙대※ | 2 - 2 | 동국대 | ? |
4 | 건국대※ | 1 - 3 | 단국대 | ? |
5 | 한양대※ | 1 - 3 | 성균관대 | ? |
3) 결선리그[1]
순위 | 결선리그 | 비고 | |
1 | 연세대 | 5 - 0 | 우승 |
2 | 명지대 | 3 - 2 | 공동 2위 |
고려대 | 3 - 2 | ||
4 | 중앙대 | 2 - 3 | |
5 | 경희대 | 1 - 4 | 공동 5위 |
동국대 | 1 - 4 |
- 개인별 수상내역
- 기록부문
2.4. 1997-98 농구대잔치
1997-98 농구대잔치 항목 참조- 1997년 KBL 출범 이후 처음 열리는 농구대잔치로서, 이때부터 실업팀들이 빠지고 대학팀 및 상무만 참가하는 대회로 규모가 축소되었다. 1997-98 대회에는 상무가 참여하지 않고 대학 10개팀만 참가하였다.
순위 | 팀명 | 최종성적 |
1 | 연세대 | 우승 |
2 | 경희대 | 준우승 |
3 | 고려대 | |
4 | 한양대 | |
5 | 명지대 | |
6 | 중앙대 |
- MVP: 서장훈(연세대)
3. 시즌 결산
대학 | 우승 | 준우승 | 4강 | 6강 |
연세대 | MBC배/체전/연맹전 /농구대잔치[2] | |||
경희대 | MBC배/농구대잔치 | 연맹전 | ||
고려대 | 연맹전 | 농구대잔치 | ||
건국대 | 체전 | MBC배 | ||
명지대 | 연맹전 | 농구대잔치 | ||
한양대 | MBC배/농구대잔치 | |||
중앙대 | 연맹전 | 농구대잔치 | ||
동국대 | 연맹전 |
4. 1997년 대학선발팀
4.1. 제20회 이상백배 한-일 대학농구대회 (5월)
4.2. 1997 멜버른 22세 이하 남자농구선수권대회 (8월 1일~10일)
감독: 최부영- 가드: 신기성(고려대 4), 강혁(경희대 3), 황성인(연세대 3), 박영진(건국대 4)
- 포워드: 김성철(경희대 3), 현주엽(고려대 4), 조상현(연세대 3), 김택훈(연세대 4), 최성우(한양대 4)
- 센터: 서장훈(연세대 4), 윤영필(경희대 4), 이규섭(고려대 2), 구본근(연세대 4)
4.3. 1997 시칠리아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8월 19일~31일)
감독: 최부영(경희대학교 감독)코치: 이종호(한양대학교 코치)
- 가드: 신기성(고려대 4), 강혁(경희대 3), 황성인(연세대 3), 김희선(수원 삼성), 정진영(대전 현대)
- 포워드: 김성철(경희대 3), 현주엽(고려대 4), 추승균(대전 현대), 조상현(연세대 3), 김택훈(연세대 4)
- 센터: 서장훈(연세대 4), 윤영필(경희대 4)
5. 1998 KBL 드래프트 결과
순위 | 선수 | 신장 | 포지션 | 학교 | 선발팀 | KBL 커리어 | KBL 시즌 | 국가대표 |
1R 1 | 현주엽 | 196 | PF | 고려대 | 청주 SK | 청주SK(98-00)-광주/여수골드뱅크/부산KTF(99-01,03-05)-창원LG(05-09) | 9 | 10회 (96~05) |
2 | 윤영필 | 193 | PF | 경희대 | 안양 SBS | 안양SBS(98-00,02-08)-인천전자랜드(08-10) | 10 | |
3 | 김택훈 | 192 | SF-PF | 연세대 | 수원 삼성 | 수원/서울삼성(98-00,02-05)-인천전자랜드(05-07) | 7 | 1회 (97) |
4 | 변청운 | 192 | SF-PF | 건국대 | 광주 나산 | 광주나산/골드뱅크/여수코리아텐더/부산KTF(98-00,02-04)-전주KCC(04-07)-원주동부(06-10) | 10 | |
5 | 이은호 | 197 | C | 중앙대 | 인천 대우 | 인천대우(98-03)-대구오리온스(03-08)-부산KTF(08-09) | 11 | 2회 (97~98) |
6 | 박재일 | 190 | SF | 명지대 | 대구 동양 | 대구동양(00-05) | 5 | |
7 | 신기성 | 180 | PG | 고려대 | 원주 나래 | 원주나래/삼보/TG(98-01,03-05)-부산KTF/KT(05-10)-인천전자랜드(10-12) | 12 | 3회 (02~07) |
8 | 표명일 | 182 | PG | 명지대 | 부산 기아 | 부산기아(98-00)-전주KCC(02-07)-원주동부(06-10)-부산KT(10-12) | 12 | |
9 | 구병두 | 187 | SG | 중앙대 | 창원 LG | 창원LG(98-02)-울산모비스(02-07) | 9 | |
10 | 구본근 | 197 | C | 연세대 | 대전 현대 | 대전현대/전주KCC(98-02) | 4 | |
2R 11 | 박영진 | 182 | PG | 건국대 | 대전 현대 | 대전현대(98-99)-인천전자랜드(03-06)-울산모비스(05-06) | 4 | |
12 | 최성우 | 191 | SF | 한양대 | 창원 LG | 창원LG(98-00,02-03) | 3 | |
13 | 황문용 | 191 | SF | 건국대 | 부산 기아 | 부산기아(98-00)-서울삼성(02-03)-울산모비스(03-05) | 5 | |
14 | 신종석 | 193 | SF | 중앙대 | 원주 나래 | 원주나래/삼보/TG(98-05)-대구오리온스(05-06)-안양SBS(06-07)-울산모비스(07-08) | 10 | |
15 | 정락영 | 183 | PG | 한양대 | 대구 동양 | 대구동양(98-00)-여수골드뱅크/코리아텐더/부산KTF(00-06)-서울SK(05-09) | 11 | |
16 | 강기중 | 180 | PG | 한양대 | 인천 대우 | 인천대우/신세기/SK(98-02)-원주TG/동부(04-07) | 7 | |
17 | 김병천 | 180 | PG-SG | 중앙대 | 광주 나산 | 광주나산/여수골드뱅크/코리아텐더(98-02)-창원LG(01-02)-안양SBS(02-03) | 5 | |
18 | 남진우 | 195 | C | 단국대 | 서울 삼성 | 서울삼성(98-99,01-03)-부산KTF(03-07) | 7 | |
19 | 황인성 | 185 | SF | 명지대 | 안양 SBS | 안양SBS(98-00) | 2 | |
20 | 박도경 | 202 | C | 중앙대 | 청주 SK | 청주/서울SK(98-01)-창원LG(00-02) | 4 | |
3R 21 | 박용호 | 188 | SF | 청주대 | 청주 SK | 청주SK(98-99) | 1 | |
4R 40 | 송태균 | 191 | SF | 연세대 | 청주 SK | 청주/서울SK(98-02) | 4 |
6. 그때 그 선수들
항목이 개설되지 않은 4학년 선수들을 위주로 소개한다.6.1. 건국대
- 박영진(4학년,G,182cm): 대구계성고 졸. 대전현대(98-99)-전주KCC(02-03)-인천전자랜드(03-05)-울산모비스(05-06). 4시즌.
- 김상우(3학년,G,182cm)
- 손창환(3학년,F,192cm)
- 황문용(4학년,F,191cm): 대경상고 졸. 부산기아(98-00)-서울삼성(02-03)-울산모비스(03-05). 5시즌.
- 변청운(4학년,F,192cm): 대경상고 졸. 광주나산/골드뱅크/여수코리아텐더/부산KTF(98-00,02-04)-전주KCC(04-07)-원주동부(06-10). 10시즌.
- 김완수(2학년,G,180cm)
- 이영준(2학년,F,192cm)
6.2. 경희대
- 하상윤(3학년,G,180cm)
- 강혁(3학년,G,187cm)
- 양은성(3학년,G,186cm)
- 김성철(3학년,F,195cm)
- 윤영필(4학년,C,193cm): 휘문고 졸. 안양SBS(98-00,02-08)-인천전자랜드(08-10). 10시즌.
- 박성훈(1학년,F,196cm)
- 윤훈원(2학년,C,195cm)
- 김중길(1학년,C,197cm)
- 신현웅(1학년,G)
6.3. 고려대
- 신기성(4학년,G,180cm): 송도고 졸. 원주나래/삼보/TG(98-01,03-05)-부산KTF/KT(05-10)-인천전자랜드(10-12). 12시즌.
- 이정래(2학년,G,189cm)
- 오광택(2학년,F,186cm)
- 현주엽(4학년,F,195cm): 휘문고 졸. 청주SK(98-00)-광주/여수골드뱅크/부산KTF(99-01,03-05)-창원LG(05-09). 9시즌.
- 이규섭(2학년,C,198cm)
- 전형수(1학년,G,180cm)
- 강대협(2학년,G,187cm)
- 김기만(2학년,F,192cm)
- 김대환(1학년,C.193cm)
6.4. 단국대
6.5. 동국대
6.6. 명지대
- 표명일(4학년,G,182cm): 양정고 졸. 부산기아(98-00)-전주KCC(02-07)-원주동부(06-10)-부산KT(10-12). 12시즌.
- 최훈석(3학년,F,180cm)
- 박재일(4학년,F,190cm): 상산전자고 졸. 대구동양(00-05). 5시즌.
- 길도익(3학년,F,191cm)
- 장영재(3학년,C,196cm)
- 이우정(1학년,G,180cm)
- 김진호(1학년,G,187cm)
- 황인성(4학년,F,185cm): 휘문고 졸. 안양SBS(98-00). 2시즌.
- 이병석(2학년,F,190cm)
- 박종덕(2학년,C,198cm)
6.7. 성균관대
6.8. 연세대
- 황성인(3학년,G,180cm)
- 조동현(3학년,G,186cm)
- 조상현(3학년,F,188cm)
- 김택훈(4학년,F,193cm): 홍대부고 졸. 수원/서울삼성(98-00,02-05)-인천전자랜드(05-07). 7시즌.
- 서장훈(4학년[3],C,207cm): 휘문고 졸.
- 은희석(2학년,G,189cm)
- 허중(1학년,G,180cm)
- 이형주(1학년,G,185cm)
- 최병훈(2학년,F,187cm)
- 송태균(4학년,F,191cm): 명지고 졸. 청주/서울SK(98-02). 4시즌.
- 연제석(2학년,F,193cm)
- 구본근(4학년,C,197cm): 대전고 졸, 대전현대/전주KCC(98-02). 4시즌.
- 이재훈(3학년,F/C,193cm)
- 최종규(3학년,C,202cm)
6.9. 중앙대
- 임재현(2학년,G,182cm)
- 구병두(4학년,G,187cm): 부산동아고 졸. 창원LG(98-02)-울산모비스(02-07). 9시즌.
- 조우현(3학년,F,190cm)
- 송영진(1학년,F,198cm)
- 이은호(4학년,C,196cm): 상산전자고 졸.
- 김병천(4학년,G,180cm), 용산고 졸. 광주나산/여수골드뱅크/코리아텐더(98-01)-창원LG(01-02)-안양SBS(02-03). 5시즌.
- 황진원(1학년,G,188cm)
- 정종선(3학년,F,187cm)
- 신종석(4학년,F,193cm): 경복고 졸, 원주나래/삼보/TG(98-05)-대구오리온스(05-06)-안양KT&G(06-07)-모비스(07-08)- 안양KT&G(08-09)[4]. 10시즌.
- 정훈종(2학년,C,205cm)
- 박도경(4학년,C,202cm): 부산중앙고 졸. 청주/서울SK(98-01)-창원LG(00-02). 4시즌.
6.10. 한양대
- 정락영(4학년,G,183cm): 삼일상고 졸. 대구동양(98-00)-여수골드뱅크/코리아텐더/부산KTF(00-06)-서울SK(05-09). 11시즌.
- 이홍수(3학년,G,179cm)
- 김성모(2학년,G,182cm)
- 최성우(4학년,F,191cm): 단대부고 졸. 창원LG(98-00,02-03). 3시즌.
- 김종학(1학년,C,198cm)
- 강기중(4학년,G,180cm): 대경상고 졸. 인천대우/신세기/SK(98-02)-원주TG/동부(04-07). 7시즌.
- 김승호(1학년,G,180cm)
- 성준모(1학년,F,190cm)
- 안종호(2학년,F,192cm)
- 김경석(1학년,F,192cm)
- 민병희(3학년,C,197cm)
[1] 예선에서의 전적을 가지고 간다.[2] 시즌 4개대회를 모두 석권하며 사상최초로 전관왕에 올랐다.[3] 1995년 미국 유학(or 연수?)로 인해 1년 휴학처리 되었다.[4] 이적후 08-09 시즌 개막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