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aaa> |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ac4f,#222><colcolor=#fff,#ddd> 주요 정보 | 유치과정 · 경기 종목 | |
| 개별 종목 | | ||
| 대회 관련 기타 문서 | |||
| 마스코트 스노렛츠 · 주경기장 나가노 올림픽 스타디움 · 패럴림픽 1998 나가노 동계패럴림픽 · 개회 선언자 아키히토 · 성화 점화자 이토 미도리 | |||
| {{{#!wiki style="margin: -5px -5px" | | 自然との共存 Coexistence with the Nature 자연과의 공존 | |
|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
| | |
| 개최지 | |
| 일정 | 1998년 2월 17일 ~ 2월 21일 |
| 경기장 | White Ring |
| 주관 단체 | |
| 경기 종목 | 6개 종목 |
| 참가국 | 18개국 |
| 참가 선수 | 94명 |
| ← 1994 | 2002 → |
1. 개요
1998년 2월 17일부터 2월 21일까지 일본 나가노에서 개최된 나가노 동계올림픽 쇼트트랙에 관한 문서. 모든 경기는 White Ring에서 열렸다.2. 출전국
| 출전국 목록[1] | |
| 유럽 | 네덜란드(5) · 독일(5) · 러시아(2) · 불가리아(2) · 스웨덴(1) · 영국(5) · 우크라이나(2) · 이탈리아(9) · 폴란드(1) · 프랑스(2) |
| 아시아 | 대한민국(9) · 몽골(8) · 북한(6) · 일본(11) · 중국(8) |
| 아메리카 | 미국(11) · 캐나다(8) |
| 오세아니아 | 호주(5) |
3. 결과
| 여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 500m | | 46.568 | | 46.627 | | 46.335 |
| 1000m | | 1:42.776 | | 1:43.343 | | 1:43.361 |
| 3000m 계주 | | 4:16.260 | | 4:16.383 | | 4:21.205 |
| 전이경 원혜경 안상미 김윤미 | 양양(A) 양양(S) 왕춘루 선단단 | 이사벨 차레스트 아니 페로 크리스틴 부드리아 타니아 빈센트 | ||||
| 남자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 500m | | 42.862 | | 43.022 | | 43.713 |
| 1000m | | 1:32.375 | | 1:32.428 | | 1:32.661 |
| 5000m 계주 | | 7:06.075 | | 7:06.775 | | 7:11.559 |
| 에릭 베다르 마크 가뇽 데릭 캠벨 프랑수아 드롤렛 | 채지훈 김동성 이준환 이호응 | 리자쥔 펑카이 위안예 안위룽 | ||||
4. 메달 집계
|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메달 순위 |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총합 |
| 1 | | 3 | 1 | 2 | 6 |
| 2 | | 2 | 0 | 2 | 4 |
| 3 | | 1 | 0 | 1 | 2 |
| 4 | | 0 | 5 | 1 | 6 |
| 총합 | 6 | 6 | 6 | 18 | |
5. 기타
- 독일, 우크라이나, 폴란드가 처음으로 쇼트트랙에 출전했다.
- 대한민국의 전이경이 여자 1000m와 3000m 계주에서 우승하며 2관왕에 올랐다.
- 한국은 여자 3000m 계주에서 우승하며 2연패에 성공했다.
- 일본은 홈버프를 받아 최초로 올림픽 쇼트트랙 금메달을 획득했다.
- 여자 500m에서는 결승전에서 캐나다의 이자벨 차레스트가 페널티를 받고 중국의 왕춘루가 경기를 끝마치지 못해 파이널 B에서 1위를 했던 전이경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1] 괄호 안의 숫자는 선수단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