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니아의 주요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종류 | 지난 선거 | 다음 선거 |
대통령 선거 | 2025년 2025년 월 일 | 202?년 202?년 ?월 ?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의회 총선거 | 2024년 2024년 12월 1일 | 2028년 2028년 12월 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지방선거 | 2024년 2024년 6월 9일 | 2028년 2028년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유럽의회 선거 | 2024년 2024년 6월 9일 | 2029년 2029년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
2025년 루마니아 대통령 선거 Alegeri prezidenţiale în România, 2025 | |||||||||
{{{#!wiki style="margin: -0px -11.7px -5px" {{{#!wiki style="margin-top: -6px; margin-bottom: -8px" | 2019 선거 | → | 2025 선거 | → | 차기 선거 |
일정 | 1차: 2024년 11월 24일 | |||
1차 재투표: 2025년 5월 4일 | ||||
결선: 2025년 5월 18일 | ||||
투표율 | 1차: 52.56% (▼ 0.00%p) | |||
1차 재투표: 0.00% (▼ 0.00%p) | ||||
결선: 0.00% (▼ 0.00%p) | ||||
선거 결과 | ||||
| ||||
[clearfix]
1. 개요
2025년에 실시된 루마니아 대통령 선거.2. 후보
===# 2024년 대선 후보 #===이름 | 정당 | 후보 등록 | 후보 사퇴 |
존 이온 바누 무스첼 | 루마니아 국민당 지지 | 2024년 6월 15일 | |
아나 비르칼 | 무소속 | 2024년 8월 16일 | |
마르첼 치올라쿠 | 사회민주당(PSD) | 2024년 8월 24일 | |
니콜라에 치우커 | 국민자유당(PNL) | 2024년 9월 15일 | |
러즈반 콘스탄티네스쿠 | PPR | 2024년 3월 28일 | |
크리스티안 디아코네스쿠 | 무소속 | 2024년 8월 8일 | |
미르체아 제오아너 | 무소속 | 2024년 9월 11일 | |
컬린 제오르제스쿠 | 무소속 | 2024년 9월 1일 | |
안디 그로사루 | RO.AS.IT 지지 | 2024년 8월 12일 | |
후노르 켈레멘 | UDMR 지지 | 2024년 9월 6일 | |
엘레나 라스코니 | USR 지지 | 2024년 6월 29일 | |
아우렐리안 파벨레스쿠 | PNȚCD 지지 | 2024년 6월 15일 | |
실비우 프레도이우 | PLAN 지지 | 2024년 9월 7일 | |
게오르게 시미온 | aur 지지 | 2024년 6월 15일 | |
디아나 이오바노비치 쇼쇼아커 | S.O.S. 지지 | 2024년 6월 24일 | |
크리스티안 테르헤시 | PNCR 지지 | 2024년 9월 1일 |
- 사퇴한 후보
이름 | 정당 | 후보 등록 |
크린 안토네스쿠 | PNL, PSD, UDMR, 소수 정당 지지 | 2024년 12월 22일 |
엘레나 라스코니 | USR 지지 | 2024년 12월 22일 |
3. 2024년 결과
1차 투표 결과 무소속의 반NATO, 친러시아, 극우 후보인 컬린 제오르제스쿠(Călin Georgescu)가 22.95%를 득표했으며, 루마니아 구국연합의 엘레나 라스코니 후보가 19.17%를 득표해서, 이 두 명이 결선 투표에 나서게 됐다. 이는 충격적인 이변으로 받아들여졌는데, 가장 유력한 대권 후보였으며 심지어 출구 조사에서까지도 1위#로 발표되었던 사회민주당(PSD)의 마르첼 치올라쿠 후보가 3위로 광탈했기 때문.[1] 반면 제오르제스쿠는 기타 후보군으로 묶일 만큼 무명에 가까운 인사였다. 한편 트럼프의 열렬한 지지자로 알려진 루마니아 결속동맹(AUR)의 게오르게 시미온 후보는 4위.이렇게 된 이유는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자 유럽 국가들이 안정적으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와 이웃한 루마니아에 대규모 나토 기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는데, 안그래도 우크라이나에 안좋은 국민 감정을 가지고 있는 루마니아에서는 이를 국권 침해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많으며, 심지어 러시아를 응원하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이다. 이번 선거에서 1위를 한 제오르제스쿠는 이런 반NATO와 친러시아 성향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1930년대 루마니아의 종교 파시즘 지도자였던 코드레아누를 옹호하기 때문에, 대다수 서구 언론이 그를 극우 후보로 생각한다. 하지만 단순히 제오르제스쿠가 이런 반NATO 국민 감정만을 타고 1위로 올라선 것은 아니며, 본래 농학 박사였던 경력을 살려 농가에 대한 대규모 지원를 약속한 것도 그가 예상보다 많은 투표를 받는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루마니아는 EU 내에서 3번째 가는 농업국가이지만, 농업에 대한 투자가 부족하여 트랙터 대신에 말이 밭을 갈 정도로 농업이 낙후되어 있기 때문.[2]
3.1. 대선 결과 무효
특히, 러시아의 개입 의혹이 있는데다 유럽연합(EU)이 틱톡에 관련 자료 동결을 명령했다.#루마니아 선거관리위원회(에 해당하는 기구)가 재검표를 하였으나 재검표 결과 결선 진출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루마니아 헌법재판소에서 틱톡 인플루언서들을 이용해 러시아가 대선에 개입했다며 11월 24일 결선투표가 치러지기 직전에 선거 결과를 무효화시켰다.
그러나 친유럽 세력의 주장과는 달리 조사결과 친러 후보나 러시아는 연관이 없고 오히려 친유럽성향의 루마니아 국민자유당(National Liberal Party of Romania)[3]이 틱톡 인플루언서들에게 자금지원을하며 선거에 영향을 끼치려는게 드러나 판결의 공정성에 대한 논란이 생겼다# ####
이렇게 되니 사실상 심증만으로 헌법재판소가 민의를 무시하고 사법 쿠데타를 한 것이나 다름없어 항의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4] 2025년 1월 Sociopol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컬린 제오르제스쿠 후보의 지지율이 50%를 기록했으며, 친서방 집권 연정이 '극우 세력'의 당선을 막기 위해 선출할 단일 후보로 유력한# 크린 안토네스쿠의 지지율은 8%에 불과했다.#
2025년 1월 22일, 유럽인권재판소는 컬린 제오르제스쿠가 제기했던 2024년 12월 1차투표 결과를 무효화하라는 루마니아 법원 결정을 뒤집기 위한 항소를 기각했다. 대부분의 서방 국가들은 이 판결을 두고 안심한 반면에, 우익 진영은 유럽인권재판소가 좌익 정치인이 탄압받을 때는 월권을 해서라도 개입하더니 우익 후보에는 눈을 감는다며 이 결정을 비판하고 있다. 루마니아 여론조사 기관 아방가르드가 1월 10일 ~ 1월 16일 유권자 13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오차범위 2.6%)에 의하면 2025년 5월 4일 1차 투표에서 조르게스쿠가 38%의 득표율을 얻을 것으로 나타났다. 친(親)유럽 연립정부의 단일 후보인 크린 안토네스쿠(Crin Antonescu)가 25%, 무소속으로 출마할 수 있다고 밝힌 니쿠소르 단(Nicusor Dan) 부쿠레슈티 시장이 17%를 득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2025년 2월 10일, 현 대통령인 클라우스 요하니스에 대한 탄핵 표결을 앞두고 요하니스 대통령이 전격 사임했다. 2014년에 5년 임기의 대통령에 처음 당선되고 재선에 성공한 요하니스 대통령은 애초 2024년 12월 21일에 퇴임해야 했으나, 대통령 선거를 미루게 만든 덕분에 2025년 5월까지 자신의 대통령 임기를 연장할 수 있었다. 하지만 부정 선거 개입으로 전방위적인 비난을 받은 끝에 탄핵이 확실시 되자 미리 하야하는 쪽을 선택했다. 일리에 볼로얀 상원의장이 후임 대통령이 선출될 때까지 임시로 권한대행을 맡는다.
[1] 사실 막판까지 2위이다가 개표율 99%를 넘기고 나서 역전당했다.[2] 오히려 공산주의 시절에는 소련을 따라하며 부족하게나마 트랙터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예전에 쓰던 트랙터가 너무 낡아서 대부분 작동을 멈춘 상태이다.[3] 국민자유당은 루마니아의 자유주의 정당으로, 1875년 설립되었다. 1947년에 루마니아 공산당이 집권하면서 해산되었다가 1990년에 루마니아 혁명과 동시에 다시 창당했다. 2016년 선거에서 루마니아 사회민주당에 패배해 야당이 되었다[4] 대선이 무효화되면서 대통령 클라우스 요하니스의 임기는 자동연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