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05deg, #bdc0e8, #bdb7e8 33%, #b7b0ea 33%, #8769d2 66%, #8261cd 66%, #4e269a)" {{{#!wiki style="padding: 1px; background-image: conic-gradient(at calc(100% - 30px) calc(100% - 30px), transparent 120deg, #6F4ACC 120deg 140deg, transparent 140deg), conic-gradient(at calc(100% - 28px) calc(100% - 15px), transparent 120deg, #6F4ACC 120deg 140deg, transparent 140deg), conic-gradient(at 30px 30px, transparent 300deg, #dee5ff 300deg 320deg, transparent 320deg), conic-gradient(at 28px 15px, transparent 300deg, #dee5ff 300deg 320deg, transparent 320deg)"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경기 일정 |
스위스 (6/8~6/12) | R1 | R2 | R3 | |
플레이오프 (6/14~6/23) | 상위조 | 하위조 | ||
결승 | ||||
결산 |
1. 개요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의 스위스 스테이지 2라운드 경기에 관한 문서이다.2. 대진 추첨
스위스 스테이지 2라운드 대진 추첨 |
3. 1승 0패
| ||||||||||||||||||||
| ||||||||||||||||||||
파란색: 플레이오프 진출 |
| ||||
1-2경기 | 정용검 | 김진영 | 유정선 | 이정현 |
3.1. 1경기 BLG vs SEN
Bilibili Gaming | 1 | 2 | Sentinels | ||||
○ | × | × | × | ○ | ○ | ||
1승 1패 | 결과 | 플레이오프 진출 |
| <colbgcolor=#6F4ACC,#6F4ACC> | |
Bilibili Gaming | Sentinels | |
<colbgcolor=#fa7298,#fa7298><colcolor=#fff,#fff> 왕샤오제 (rushia)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재커리 패트론 (zekken) | |
루위샹 (Knight) | 조던 몬테무로 (Zellsis) | |
마커스 탄 (nephh) | 숀 베제라 (bang) | |
왕하오저 (whzy) | 무함마드 와리드 (johnqt) | |
루인중 (Levius) | 마셜 매시 (N4RRATE) |
aban=헤이븐, bban=어센트, aban2=펄, bban2=스플릿,
p_apic=아이스박스, p_bpic=선셋, p_cpic=로터스,
1attack=수비, 2attack=공격, 3attack=공격)]
CN 2시드인 BLG와 AMER 2시드인 센티널의 맞대결.
BLG는 이성재 감독의 놀라운 택틱과 루시아, 와이지의 엄청난 고점을 보이며 1승을 따냈지만, 애초에 냇츠가 없는 TL을 상대로 꾸역승을 해낸 것일 뿐더러 종종 뇌를 뺀 시장통식 운영이 발목을 잡는다. 센티널은 울브스를 2:0으로 격파했지만 교전력에서 밀려 라운드를 다소 내주는 등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다.[2] 즉 서로가 할 만하다고 생각할 만한 매치업이다.
3.1.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아이스박스, set=1, teamD=Sentinels, teamA=Bilibili Gaming, dplayer1=zekken, dplayer2=Zellsis, dplayer3=bang, dplayer4=johnqt, dplayer5=N4RRATE
, aplayer1=rushia, aplayer2=Knight, aplayer3=Nephh, aplayer4=whzy, aplayer5=Levius
, dpic1=오멘, dplayer1kda=13 / 17 / 5, dplayer1acs=185
, dpic2=킬조이, dplayer2kda=13 / 15 / 5, dplayer2acs=188, dplayer2mvp=
, dpic3=바이퍼, dplayer3kda=13 / 18 / 5, dplayer3acs=164
, dpic4=케이/오, dplayer4kda=13 / 18 / 7, dplayer4acs=178
, dpic5=게코, dplayer5kda=12 / 19 / 2, dplayer5acs=147
, apic1=하버, aplayer1kda=23 / 13 / 7, aplayer1acs=277
, apic2=소바, aplayer2kda=9 / 13 / 5, aplayer2acs=116
, apic3=바이퍼, aplayer3kda=17 / 12 / 9, aplayer3acs=218
, apic4=제트, aplayer4kda=24 / 15 / 2, aplayer4acs=299, aplayer4mvp=
, apic5=킬조이, aplayer5kda=14 / 11 / 2, aplayer5acs=154)]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SEN, dscore=9, ateam=BLG, ascore=13
, dfirstk=12, dthrift=0, dpostpwin=5, dpostp=8, dclutch=0
, afisrtk=10, athrift=0, apostpwin=8, apostp=11, aclutch=0)]
3.1.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선셋, set=2, teamD=Sentinels, teamA=Bilibili Gaming, dplayer1=zekken, dplayer2=Zellsis, dplayer3=bang, dplayer4=johnqt, dplayer5=N4RRATE
, aplayer1=rushia, aplayer2=Knight, aplayer3=Nephh, aplayer4=whzy, aplayer5=Levius
, dpic1=네온, dplayer1kda=20 / 8 / 2, dplayer1acs=298, dplayer1mvp=
, dpic2=사이퍼, dplayer2kda=16 / 12 / 7, dplayer2acs=243
, dpic3=오멘, dplayer3kda=12 / 8 / 7, dplayer3acs=166
, dpic4=브리치, dplayer4kda=14 / 10 / 7, dplayer4acs=212
, dpic5=페이드, dplayer5kda=10 / 10 / 5, dplayer5acs=172
, apic1=오멘, aplayer1kda=12 / 14 / 5, aplayer1acs=190
, apic2=소바, aplayer2kda=4 / 14 / 4, aplayer2acs=104
, apic3=케이/오, aplayer3kda=9 / 17 / 9, aplayer3acs=167
, apic4=네온, aplayer4kda=16 / 15 / 2, aplayer4acs=272, aplayer4mvp=
, apic5=사이퍼, aplayer5kda=7 / 12 / 2, aplayer5acs=95)]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SEN, dscore=13, ateam=BLG, ascore=5
, dfirstk=9, dthrift=0, dpostpwin=6, dpostp=6, dclutch=0
, afisrtk=9, athrift=0, apostpwin=5, apostp=9, aclutch=0)]
3.1.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로터스, set=3, teamD=Sentinels, teamA=Bilibili Gaming, dplayer1=zekken, dplayer2=Zellsis, dplayer3=bang, dplayer4=johnqt, dplayer5=N4RRATE
, aplayer1=rushia, aplayer2=Knight, aplayer3=Nephh, aplayer4=whzy, aplayer5=Levius
, dpic1=레이즈, dplayer1kda=23 / 13 / 6, dplayer1acs=310, dplayer1mvp=
, dpic2=바이스, dplayer2kda=16 / 11 / 5, dplayer2acs=179
, dpic3=오멘, dplayer3kda=9 / 12 / 8, dplayer3acs=119
, dpic4=바이퍼, dplayer4kda=10 / 11 / 10, dplayer4acs=131
, dpic5=페이드, dplayer5kda=15 / 16 / 6, dplayer5acs=189
, apic1=오멘, aplayer1kda=12 / 18 / 4, aplayer1acs=171
, apic2=페이드, aplayer2kda=14 / 15 / 3, aplayer2acs=172
, apic3=바이퍼, aplayer3kda=11 / 12 / 3, aplayer3acs=143
, apic4=레이즈, aplayer4kda=13 / 17 / 2, aplayer4acs=178, aplayer4mvp=
, apic5=바이스, aplayer5kda=13 / 12 / 2, aplayer5acs=171)]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SEN, dscore=13, ateam=BLG, ascore=9
, dfirstk=13, dthrift=0, dpostpwin=8, dpostp=8, dclutch=0
, afisrtk=9, athrift=1, apostpwin=7, apostp=9, aclutch=0)]
3.1.4. 총평
3.2. 2경기 PRX vs GEN
Paper Rex | 0 | 2 | Gen.G | ||||
× | × | - | ○ | ○ | - | ||
1승 1패 | 결과 | 플레이오프 진출 |
| <colbgcolor=#6F4ACC,#6F4ACC> | |
Paper Rex | Gen.G | |
<colbgcolor=#ff0066,#ff0066><colcolor=#000,#000> 패트릭 멘도사 (PatMen) | <colbgcolor=#aa8a00,#aa8a00><colcolor=#000,#000> 김나라 (t3xture) | |
일리야 페트로프 (something) | 하현철 (Ash) | |
할리시 루샤이디 (d4v41) | 변상범 (Munchkin) | |
제이슨 수산토 (f0rsakeN) | 정재성 (Foxy9) | |
왕징제 (Jinggg) | 김원태 (Karon) |
aban=펄, bban=헤이븐, aban2=선셋, bban2=로터스,
p_apic=어센트, p_bpic=아이스박스, p_cpic=스플릿,
1attack=수비, 2attack=수비, 3attack=공격)]
퍼시픽의 신흥 라이벌리인 PRX와 젠지가 맞붙는다. 두 팀 모두 가장 만나기 싫은 팀이 잡힌 매치로 2라운드 경기 중 유일한 내전 성사라는 대참사가 벌어졌지만, 두 팀 중 하나는 무조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기 때문에 플레이오프에서의 퍼시픽 팀이 최소 두 팀 이상 확보됐다.
두 팀은 이전 1라운드에서 순수 교전력으로 상대를 말 그대로 부수고 올라왔다. PRX가 이 기세를 몰아 젠지마저 격파할 것인지, 아니면 젠지가 PRX의 목줄을 잡고 정돈된 택틱으로 몰아붙일 것인지가 이번 승부의 갈림길이다.
3.2.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어센트, set=1, teamD=Paper Rex, teamA=Gen.G, dplayer1=PatMen, dplayer2=something, dplayer3=d4v41, dplayer4=f0rsakeN, dplayer5=Jinggg
, aplayer1=t3xture, aplayer2=Ash, aplayer3=Munchkin, aplayer4=Foxy9, aplayer5=Karon
, dpic1=페이드, dplayer1kda=14 / 18 / 9, dplayer1acs=144
, dpic2=게코, dplayer2kda=13 / 20 / 4, dplayer2acs=145
, dpic3=바이퍼, dplayer3kda=17 / 18 / 8, dplayer3acs=200
, dpic4=오멘, dplayer4kda=22 / 20 / 7, dplayer4acs=264, dplayer4mvp=
, dpic5=레이즈, dplayer5kda=19 / 18 / 8, dplayer5acs=243
, apic1=제트, aplayer1kda=27 / 19 / 2, aplayer1acs=313, aplayer1mvp=
, apic2=소바, aplayer2kda=11 / 16 / 14, aplayer2acs=134
, apic3=케이/오, aplayer3kda=14 / 19 / 19, aplayer3acs=191
, apic4=킬조이, aplayer4kda=18 / 14 / 4, aplayer4acs=203
, apic5=오멘, aplayer5kda=24 / 17 / 11, aplayer5acs=258)]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PRX, dscore=11, ateam=GEN, ascore=13
, dfirstk=12, dthrift=0, dpostpwin=7, dpostp=11, dclutch=1
, afisrtk=12, athrift=0, apostpwin=6, apostp=8, aclutch=0)]
젠지가 경기 초반 PRX의 전략을 완벽히 간파한 듯한 모습을 보이며
후반전에도 젠지는 피스톨 라운드와 그 다음 라운드를 연달아 가져가며 스코어를 10:4까지 벌렸다. 하지만 PRX는 특유의 후반 집중력을 발휘하며 11:10까지 추격, 역전 가능성을 보여줬다. 그러나 마지막 순간 집중력을 유지한 젠지가 남은 라운드를 가져가며 결국 13:11로 1세트를 승리했다.
3.2.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아이스박스, set=2, teamD=Gen.G, teamA=Paper Rex, dplayer1=t3xture, dplayer2=Ash, dplayer3=Munchkin, dplayer4=Foxy9, dplayer5=Karon
, aplayer1=PatMen, aplayer2=something, aplayer3=d4v41, aplayer4=f0rsakeN, aplayer5=Jinggg
, dpic1=제트, dplayer1kda=18 / 6 / 1, dplayer1acs=278
, dpic2=소바, dplayer2kda=9 / 6 / 4, dplayer2acs=147
, dpic3=바이퍼, dplayer3kda=19 / 10 / 4, dplayer3acs=310, dplayer3mvp=
, dpic4=킬조이, dplayer4kda=16 / 10 / 6, dplayer4acs=264
, dpic5=오멘, dplayer5kda=5 / 7 / 1, dplayer5acs=90
, apic1=바이퍼, aplayer1kda=12 / 13 / 1, aplayer1acs=206, aplayer1mvp=
, apic2=제트, aplayer2kda=9 / 14 / 2, aplayer2acs=172
, apic3=킬조이, aplayer3kda=4 / 12 / 3, aplayer3acs=86
, apic4=소바, aplayer4kda=5 / 14 / 4, aplayer4acs=101
, apic5=오멘, aplayer5kda=9 / 14 / 1, aplayer5acs=173)]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GEN, dscore=13, ateam=PRX, ascore=3
, dfirstk=11, dthrift=0, dpostpwin=3, dpostp=3, dclutch=1
, afisrtk=5, athrift=0, apostpwin=3, apostp=6, aclutch=0)]
PRX가 고른 전장인 아이스박스지만, 1세트의 치열한 양상과는 다르게 젠지의 일방적인 학살로 인한 13:3이라는 압도적인 스코어 차이로 경기가 마무리되며 젠지가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젠지는 경기 내내 대부분의 컨택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며 주도권을 놓치지 않았고, 전술적인 운영에서도 완벽한 호흡을 보여주며 PRX를 압도했다.
3.2.3. 총평
젠지는 MIBR을 너무 양학하듯이 이겨버린 탓에 헤레틱스를 압도적으로 이긴 PRX를 상대로도 좋은 경기력을 보여줄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이 조금은 있었으나, 이러한 걱정이 무색하게 여전히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4. 0승 1패
| ||||||||||||||||||||
| ||||||||||||||||||||
초록색: 라운드 승리 |
| ||||
1-2경기 | 정용검 | 정인호 | 김진영 | 이정현 |
4.1. 1경기 TH vs WOL
Team Heretics | 0 | 2 | Wolves Esports | ||||
× | × | - | ○ | ○ | - | ||
탈락 | 결과 | 1승 1패 |
| <colbgcolor=#6F4ACC,#6F4ACC> | |
Team Heretics | Wolves Esports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도미니카스 루카셰비추스 (MiniBoo) | <colbgcolor=#231f20,#231f20><colcolor=#fff,#fff> 타일러 에리아 (juicy) | |
에니스 에지를리 (RieNs) | 황융제 (Yuicaw) | |
리차르다스 루카셰비추스 (Boo) | 퐁카헤이 (SiuFatBB) | |
벤지 피시 (benjyfishy) | 류쥔팅 (Spring) | |
메르트 알칸 (Wo0t) | 량유하오 (Lysoar) |
aban=헤이븐, bban=스플릿, aban2=선셋, bban2=아이스박스,
p_apic=펄, p_bpic=로터스, p_cpic=어센트,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수비)]
PRX에게 완패를 당한 헤레틱스와 센티널을 상대로 패배하긴 했지만 나름 괜찮은 모습을 보여준 울브스의 대결. 기본적인 전력으로는 헤레틱스의 우세가 예측되긴 하지만, PRX전에서 너무 압도적으로 패배했기 때문에 멘탈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헤레틱스가 얼마나 패배를 극복해왔는지가 승부의 향방을 가를 것이다.
4.1.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펄, set=1, teamD=Wolves Esports, teamA=Team Heretics, dplayer1=juicy, dplayer2=Yuicaw, dplayer3=SiuFatBB, dplayer4=Spring, dplayer5=Lysoar
, aplayer1=MiniBoo, aplayer2=RieNs, aplayer3=Boo, aplayer4=benjyfishy, aplayer5=Wo0t
, dpic1=요루, dplayer1kda=21 / 15 / 4, dplayer1acs=258
, dpic2=체임버, dplayer2kda=11 / 16 / 2, dplayer2acs=128
, dpic3=페이드, dplayer3kda=10 / 14 / 9, dplayer3acs=131
, dpic4=아스트라, dplayer4kda=24 / 14 / 6, dplayer4acs=270, dplayer4mvp=
, dpic5=바이스, dplayer5kda=10 / 14 / 12, dplayer5acs=137
, apic1=요루, aplayer1kda=17 / 16 / 2, aplayer1acs=210, aplayer1mvp=
, apic2=소바, aplayer2kda=14 / 15 / 7, aplayer2acs=205
, apic3=아스트라, aplayer3kda=13 / 12 / 16, aplayer3acs=158
, apic4=사이퍼, aplayer4kda=12 / 16 / 4, aplayer4acs=141
, apic5=제트, aplayer5kda=17 / 17 / 2, aplayer5acs=206)]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WOL, dscore=13, ateam=TH, ascore=10
, dfirstk=10, dthrift=0, dpostpwin=5, dpostp=7, dclutch=0
, afisrtk=13, athrift=0, apostpwin=4, apostp=7, aclutch=0)]
4.1.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로터스, set=2, teamD=Team Heretics, teamA=Wolves Esports, dplayer1=MiniBoo, dplayer2=RieNs, dplayer3=Boo, dplayer4=benjyfishy, dplayer5=Wo0t
, aplayer1=juicy, aplayer2=Yuicaw, aplayer3=SiuFatBB, aplayer4=Spring, aplayer5=Lysoar
, dpic1=레이즈, dplayer1kda=19 / 17 / 1, dplayer1acs=223, dplayer1mvp=
, dpic2=바이퍼, dplayer2kda=17 / 16 / 7, dplayer2acs=210
, dpic3=오멘, dplayer3kda=14 / 15 / 5, dplayer3acs=189
, dpic4=킬조이, dplayer4kda=15 / 15 / 2, dplayer4acs=200
, dpic5=페이드, dplayer5kda=11 / 15 / 14, dplayer5acs=169
, apic1=레이즈, aplayer1kda=19 / 14 / 5, aplayer1acs=226
, apic2=킬조이, aplayer2kda=20 / 14 / 5, aplayer2acs=267, aplayer2mvp=
, apic3=페이드, aplayer3kda=5 / 18 / 6, aplayer3acs=76
, apic4=바이퍼, aplayer4kda=20 / 15 / 5, aplayer4acs=250
, apic5=오멘, aplayer5kda=14 / 15 / 15, aplayer5acs=191)]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TH, dscore=9, ateam=WOL, ascore=13
, dfirstk=11, dthrift=0, dpostpwin=4, dpostp=7, dclutch=0
, afisrtk=11, athrift=0, apostpwin=6, apostp=8, aclutch=0)]
4.1.3. 총평
울브스는 에이스인 쥬시와 스프링이 물오른 폼을 보여주었고, 이를 잘 이용하며 좋은 스킬 활용으로 보좌한 시우팻과 결국 폼이 올라온 라이소어의 캐리로 울브스가 창단 첫 국제전 시리즈 승리를 무려 셧아웃으로 달성했으며 라이소어의 폼만 돌아온다면 플레이오프 진출도 꿈은 아니게 됐다.
헤레틱스는 끔찍한 폼으로 광탈하면서 향후 시즌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이며, EWC 전까지 리빌딩을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
4.2. 2경기 TL vs MIBR
Team Liquid | 2 | 0 | MIBR | ||||
○ | ○ | - | × | × | - | ||
1승 1패 | 결과 | 탈락 |
| <colbgcolor=#6F4ACC,#6F4ACC> | |
Team Liquid | MIBR | |
<colbgcolor=#eee,#eee><colcolor=#041536,#041536> 파트리크 파브로프스키 (paTiTek) | <colbgcolor=#fff,#fff><colcolor=#fff,#fff> 에리크 산투스 (aspas) | |
카밀 프롱츠코비아크 (Kamo) | 앤드루 마우스트 (Verno) | |
아야스 아흐멧신 (nAts) | 아르투르 아라우주 (artzin) | |
조지오 새너시 (Keiko) | 가브리에우 코르테스 (cortezia) | |
에릭 페니 (penny) | 에두아르두 소에이루 (xenom) |
aban=헤이븐, bban=펄, aban2=로터스, bban2=어센트,
p_apic=아이스박스, p_bpic=선셋, p_cpic=스플릿,
1attack=수비, 2attack=수비, 3attack=공격)]
비자 문제를 해결한 냇츠가 돌아온 TL과 경기력이 가출한 아스파스가 돌아와야 하는 MIBR의 대결. TL의 경우 냇츠의 의존도가, MIBR은 아스파스의 의존도가 큰 만큼 각 팀의 핵심 멤버가 얼마나 해줄 수 있느냐에 따라 경기 결과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전 경기에서 젠지가 사실상 TL에게 답안지를 보여준 수준으로 MIBR의 전략을 파훼하며 처참하게 박살냈기에 TL에게 유리할 가능성이 크다.
한편 냇츠의 결장으로 급히 임대했던 페니는 냇츠의 복귀 이후 비활성화될 것으로 추측됐으나, 페니가 선발 라인업에 포함되며 식스맨 체제를 유지했다.
4.2.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아이스박스, set=1, teamD=Team Liquid, teamA=MIBR, dplayer1=paTiTek, dplayer2=Kamo, dplayer3=nAts, dplayer4=Keiko, dplayer5=penny
, aplayer1=aspas, aplayer2=Verno, aplayer3=artzin, aplayer4=cortezia, aplayer5=xenom
, dpic1=소바, dplayer1kda=13 / 13 / 2, dplayer1acs=187
, dpic2=체임버, dplayer2kda=11 / 11 / 2, dplayer2acs=154
, dpic3=바이퍼, dplayer3kda=15 / 13 / 5, dplayer3acs=242, dplayer3mvp=
, dpic4=하버, dplayer4kda=14 / 10 / 3, dplayer4acs=193
, dpic5=제트, dplayer5kda=15 / 12 / 3, dplayer5acs=198
, apic1=제트, aplayer1kda=9 / 15 / 4, aplayer1acs=158
, apic2=소바, aplayer2kda=16 / 12 / 6, aplayer2acs=231, aplayer2mvp=
, apic3=하버, aplayer3kda=12 / 13 / 8,aplayer3acs=183
, apic4=킬조이, aplayer4kda=10 / 14 / 2, aplayer4acs=156
, apic5=바이퍼, aplayer5kda=12 / 14 / 4, aplayer5acs=169)]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TL, dscore=13, ateam=MIBR, ascore=6
, dfirstk=13, dthrift=1, dpostpwin=6, dpostp=7, dclutch=1
, afisrtk=6, athrift=0, apostpwin=5, apostp=9, aclutch=0)]
4.2.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선셋, set=2, teamD=MIBR, teamA=Team Liquid, dplayer1=aspas, dplayer2=Verno, dplayer3=artzin, dplayer4=cortezia, dplayer5=xenom
, aplayer1=paTiTek, aplayer2=Kamo, aplayer3=nAts, aplayer4=Keiko, aplayer5=Serial
, dpic1=레이즈, dplayer1kda=10 / 15 / 3, dplayer1acs=148
, dpic2=소바, dplayer2kda=19 / 16 / 9, dplayer2acs=284, dplayer2mvp=
, dpic3=게코, dplayer3kda=9 / 17 / 6, dplayer3acs=143
, dpic4=사이퍼, dplayer4kda=12 / 14 / 5, dplayer4acs=179
, dpic5=오멘, dplayer5kda=15 / 16 / 4, dplayer5acs=196
, apic1=소바, aplayer1kda=12 / 16 / 10, aplayer1acs=183
, apic2=네온, aplayer2kda=17 / 15 / 6, aplayer2acs=243, aplayer2mvp=
, apic3=바이퍼, aplayer3kda=18 / 14 / 7, aplayer3acs=238
, apic4=오멘, aplayer4kda=17 / 10 / 6, aplayer4acs=208
, apic5=사이퍼, aplayer5kda=14 / 10 / 0, aplayer5acs=176)]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MIBR, dscore=7, ateam=TL, ascore=13
, dfirstk=7, dthrift=0, dpostpwin=2, dpostp=3, dclutch=0
, afisrtk=13, athrift=0, apostpwin=7, apostp=11, aclutch=1)]
| ||
| ▲ | <colbgcolor=#eee,#eee><colcolor=#041536,#041536> 마이클스 즈다노프스 (Serial) |
▼ | 에릭 페니 (penny) |
4.2.3. 총평
TL은 예상 외의 식스맨 체제를 굳히는 것에 성공했다. 페니를 기용했을 땐 공격적인 운영을, 시리얼을 기용했을 땐 수비적인 운영을 번갈아 수행하며 뛰어난 경기력을 선보였고, 정공법으로 MIBR을 차근차근 격파했다. 냇츠의 바이퍼 활용도는 말이 필요없는 수준이었으며, 선셋의 경우 1라운드에서 젠지가 보여준 답안지를 적절하게 활용했다. 다만 다음 상대가 정공법이 통하지 않는 PRX인 만큼 그 공격성을 맞받아쳐 대응할지, 수비적으로 대응할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MIBR은 베르노가 통나무를 들며 열심히 이끌었지만 젠지전 참패로 인해 망가진 아스파스의 부진을 이겨낼 수는 없었다. 심지어 EWC 출전도 예선 탈락으로 좌절되어 꼼짝없이 스테이지 2를 기다려야 한다.
5. 2라운드 총평
<rowcolor=#6F4ACC,#6F4ACC> 순위 | 팀 | 승 | 패 | R1 상대 | R2 상대 | |
1 | | SEN | 2 | 0 | | |
| GEN | | | |||
3 | | BLG | 1 | 1 | | |
| PRX | | | |||
| WOL | | | |||
| TL | | | |||
7 | | TH | 0 | 2 | | |
| MIBR | | | |||
<keepall> 초록색: 라운드 승리 및 플레이오프 진출 빨간색: 라운드 패배 및 탈락 |
5.1. 리그 별 평가
- AMER (1승 1패): 센티널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MIBR이 무득세트로 탈락하며 고배를 마셨다.
- CN (1승 1패): BLG는 패배했지만 그 과정에서 한 세트를 가져오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만한 실력이 있음을 증명했다. 울브스는 국제전 첫 승리를 챔피언스 준우승 팀인 헤레틱스를 상대로, 그것도 2:0 스윕을 해내며 놀라운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심지어 다음 라운드에는 내전이 성사되어 플레이오프에 한 팀이 무조건 진출하기에 매우 희망적인 상황이다.
- EMEA (1승 1패): 헤레틱스가 무득세트 탈락이라는 충격적인 성적표와 함께 퇴장하면서 챔피언스 준우승팀의 몰락을 알렸다. TL은 냇츠의 합류와 함께 MIBR을 이기며 한숨 돌렸지만 다음 라운드에서 퍼시픽의 악마 PRX를 만나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 PAC (1승 1패)[3]: 추첨 운이 없던 탓에 내전이 벌어져 아쉽게도 PRX는 3라운드로 떨어지게 되었으나, 젠지와 PRX 둘 다 1세트에서 수준 높은 경기력을 보여주며 명승부를 펼쳤다. 서로 트레이드가 미친 듯이 나고 양 팀 선수들 모두 괴물같은 교전력을 보여주며 헤레틱스와 MIBR을 박살낸 것이 단순히 운이 아니었음을 보여주었다.
5.2. 2승 0패 (플레이오프 진출)
5.2.1. 플레이오프 진출 - Sentinels
5.2.2. 플레이오프 진출 - Gen.G
5.3. 1승 1패
5.4. 0승 2패 (탈락)
5.4.1. 11-12위 - Team Heretic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결산#s-4.2.2|4.2.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결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4.2. 11-12위 - MIBR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결산#s-4.4.3|4.4.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결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