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23:06:43

DJMAX RESPECT V/래더 매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DJMAX RESPECT V
파일:DJMAX RESPECT 로고(윤곽선).svg

파일:DJMAX RESPECT 텍스트 로고(화이트).svg
파일:DJMAX RESPECT V 텍스트 로고(단색화이트).svg

{{{#!folding [ 게임 플레이 ]
{{{#!folding [ 콘텐츠 ]
{{{#!folding [ 관련 문서 ]

1. 개요2. 티어
2.1. 티어별 매칭 정보
3. 매치 진행
3.1. 버튼 수 별 특징3.2. 봇 판별 방법3.3. 패치 내역
3.3.1. 시즌 12 (2.0 업데이트) ~
4. 자주 사용되는 ONE PICK 곡5. 티어 승급 및 강등
5.1. 시즌 1 변경점
6. 문제점7. 기타

1. 개요

파일:DJMAX 래더매치 1.jpg

DJMAX RESPECT V에서 처음 도입된 DJMAX 시리즈 최초의 등급전 시스템.[1]

2. 티어

티어는 크게 아이언[2], 브론즈, 실버, 골드, 플래티넘, 다이아몬드, 마스터, 그랜드 마스터로 나뉘며, 아이언~다이아몬드까지의 티어는 다시 I~IV등급으로 나뉜다. 로마 숫자가 작을수록 높은 등급이다.

'주로 매칭되는 곡 난이도'는 같은 티어끼리 매칭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 서로 다른 티어끼리 매칭되었을 경우 두 티어의 적정 난이도의 합집합 중에서 랜덤으로 나온다. 티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시즌 중반기 이후 기준으로, 시즌 초기 및 말기에는 실력 분포가 다를 수 있으므로 참고만 하자.
<rowcolor=#000> 등급
상세
<colbgcolor=#000> 파일:디맥티어 - 아이언,언랭.gif 아이언 | IRON
전형적인 초보자 티어. 첫 배치고사에서 봇을 상대로 처참히 패배할 정도면 여기에 배정될 가능성이 높다. 주로 매칭되는 곡 난이도는 1~9 정도이다.
파일:디맥티어 - 브론즈.gif 브론즈 | BRONZE
떨어지는 노트를 어느 정도 캐치를 하는 편이긴 하나, 단지 처리력 자체에만 의미를 두는 정도기 때문에 정확도가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다. 배치고사 2판 결과 봇을 간신히 이기는 정도면 보통 여기에 배정될 것이다. 주로 매칭되는 곡 난이도는 6~11 정도이다. 브론즈 1부터 SC 1레벨 곡이 출제되기 시작한다.
파일:디맥티어 - 실버.gif 실버 | SILVER
판정에 대해 점점 감을 잡아가는 단계. 다른 리듬게임을 조금이라도 체험하고 온 사람이라면 보통은 여기에 배정될 것이다. 7~11레벨 곡들이 등장하며, 브론즈 1과 마찬가지로 SC 1레벨 곡들도 나온다. 다만 실버 1부터는 SC 3레벨까지의 곡들도 출제된다. 하드판정의 경우 최소 95% 이상은 쳐야 무난하게 이길 수 있다.
파일:디맥티어 - 골드.gif 골드 | GOLD
여기서부터는 평균 이상의 실력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배치고사를 통해 배치되려면 각 봇전에서 1, 2스테이지를 모두 승리해야 함은 물론이고 맥스 콤보를 달성해야 한다. 골드 1부터는 2개의 버튼을 열고 매칭을 시작해야 하고, SC 난이도 역시 2~7레벨까지 등장하는 등 SC 한정 패턴에 대한 적응 및 본격적인 실력이 요구된다. 노멀판정 기준 99.3~99.6%대 근처 정확도를 가진 유저들이 상당하다. 하드판정의 경우 97% 이상은 쳐야 무난하게 이길 수 있다.
파일:디맥티어 - 플래티넘.gif 플래티넘 | PLATINUM
'금속 티어'의 마지막 단계로, 여기까지 올라왔으면 비교적 실력자라고 할 수 있다. 매칭되는 곡에서 노멀 판정 기준 99.6% 이상의 정확도를 가진 유저들이 심심치 않게 보이고[3], 다이아몬드보다는 아니지만 가끔씩 퍼펙트 플레이도 보이는 실력자들이 포진해 있다. 전 시즌 마스터 이하 유저가 배치고사에서 과반수의 곡을 퍼펙트로 플레이해야 여기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래티넘 1부터는 버튼을 최소 3개를 열고 매칭을 시작해야 한다.
파일:디맥티어 - 다이아몬드.gif 다이아몬드 | DIAMOND
본격적인 고인물 티어의 시작. 배치고사로 배정될 수 있는 가장 높은 티어이다. 매칭되는 곡에서 노멀 판정 기준 99.8% 이상의 정확도를 보이며 현재는 14레벨 이하인 곡 혹은 9레벨 이하의 SC 패턴은 퍼펙트 무승부도 간간히 뜬다. 또한 다이아몬드 1티어 부터는 4가지 버튼을 모두 열고 매칭을 시작해야 하며, 매칭 시 SC 패턴만 등장하고, 판정이 1~2스테이지는 하드 판정으로, 3스테이지는 맥스 판정으로 변경된다. 이러한 점 때문에 다이아 1 구간과 마스터 하위권 구간을 구분하는 건 8키 숙련도 여부에 따라 나눠진다.
파일:디맥티어 - 마스터.gif 마스터 | MASTER
탑급 플레이어들이 속하는 티어. 올라오는 데 승급전을 해야 하는 최고 등급이다. 마스터 내에서도 스펙트럼이 넓어 매치 수준(LP)에 따라 상이하지만, 마스터 하위권에서도 하드 판정으로 보통 정확도 99% 이상이 나온다.
파일:디맥티어 - 그랜드마스터.gif 그랜드 마스터 | GRAND MASTER
마스터 중 최상위 10명[4]만 이 등급에 오를 수 있다. 말 그대로 게임 내 최고의 실력자를 증명하는 티어. 마스터가 그랜드 마스터로 승급할 때는 별도의 승급전이 필요 없이 LP 기준으로 랭킹 10위 안에 들면 된다. [5]

2.1. 티어별 매칭 정보

티어별 매칭 정보
시즌 12 기준
티어 등급 등장 난이도 등장 SC 난이도 버튼 개방 여부
아이언
IRON
IV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6 미등장 제한 없음
III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7
II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8
I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9
브론즈
BRONZE
IV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10
III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10
II
I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1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 1
실버
SILVER
IV
III
II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1
I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2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 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 3
골드
GOLD
IV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1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2
III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3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 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 5
II
I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4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 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 7 2개 이상
개방 필요
플래티넘
PLATINUM
IV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5
III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5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 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 7
II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 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 9
I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5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 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 9 3개 이상
개방 필요
다이아몬드
DIAMOND
IV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5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 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 11
III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 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 15
II
HARD JUDGE
I
미등장 모두 개방 필요
HARD JUDGE
마스터
MASTER
HARD JUDGE
그랜드 마스터
GRAND MASTER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 1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 15

3. 매치 진행


라운드가 진행 중일 때 한 플레이어가 연결이 끊긴 경우, 라운드 종료 후 연결이 끊긴 플레이어의 몰수패[15]로 매치가 종료된다. 양 쪽 모두 연결이 끊긴 경우 무효 매치로 처리된다.

3.1. 버튼 수 별 특징

정확도와 처리력은 버튼에 상관없이 높은 것이 좋지만, 버튼별로 약간씩 다른 특징이 있다.

3.2. 봇 판별 방법

봇의 특징은 아래와 같으나, 그 역까지 성립하는 것은 아니고[17], 이후 패치를 통해 봇임을 쉽게 알아채지 못하도록 수정된 부분도 있으므로 참고 정도만 하면 된다.

3.3. 패치 내역

기본적인 진행 방식은 위와 같으며, 해당 문단에는 시즌 및 업데이트 별로 달라진 점이 서술되어 있다.

====# 베타 시즌 #====
베타 시즌 (2020년 2월 20~24일) 당시에는 버튼별로 래더가 분리되어 있었으며, 배치 경기 없이 모든 플레이어들이 최하위 티어인 아이언 IV에서 시작하여 올라가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때는 라운드 별로 승부가 무조건 나야 라운드가 끝나는 3판 2선승제로 진행하였다. 만약 라운드 동점이 나오면 하드 판정으로 재경기(Rematch)를 하였고, 하드 판정에서도 다시 동점이 나오면 맥스 판정으로 재재경기를 했다. 이렇게 하여 두 라운드를 먼저 이긴 플레이어가 매치를 승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렇게 진행하다 보니, 양학 문제, 퍼펙트 동점으로 인해 매치를 질질 끄는 문제 등 래더 매치 진행 방식에 지적이 많이 발생하여, 프리시즌 때 진행 방식을 수정했으며, 수정 이후 지금까지 규칙의 큰 틀은 유지 중이다.

====# 프리 시즌 - 시즌 1 차이점 #====
<colbgcolor=#fdcc03><rowcolor=black><colcolor=black> 프리 시즌 시즌 1
진행 기간 2020년 3월 12일 ~ 2021년 1월 21일 2021년 1월 28일 ~ 4월 28일
시즌 종료 별도 공지 안내 [23] 시즌 시작 후 90일
매칭 진행 버튼 별 분리 진행 모든 버튼 통합 진행
버튼 최소 | 오픈 개수 큐를 돌릴 수 있는 최소 개수 (1개) | 양 플레이어가 오픈한 버튼의 교집합 중 하나로 매치 진행 티어별 상이 | 양 플레이어가 오픈한 버튼의 교집합 전체로 매치 진행[24]
골드II 이하 1개
골드I ~ 플래티넘 II 2개
플래티넘I ~ 다이아몬드 II 3개
다이아몬드 I 이상 4개
탈주자 | 발생 시 | 결과 탈주자에게 몰수패 처리, LP 차감 한 쪽만 탈주한 경우 탈주자에게 몰수패 처리, LP 차감
양 쪽 모두 탈주한 경우 | 혹은 봇과 매칭할 경우 매치 무효 처리
봇 이름 (A, B, C, D). PENGUIN[25] | (D. PENGUIN - 하급 / A. PENGUIN - 상급) 플레이어의 닉네임 중에서 임의 추출
배치 | 최고 티어 플래티넘 I 플래티넘 II | 프리 시즌 동일 결과 대비 1단계 낮게 배정
봇 매칭 | 최고 티어 골드 I 플래티넘 I[26]

====# 시즌 2 ~ 6 #====
====# 시즌 7 ~ 11 #====

3.3.1. 시즌 12 (2.0 업데이트) ~

4. 자주 사용되는 ONE PICK 곡

상대의 허점을 공략하면 승리를 따낼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미리 파악하지 못하면 대처하기 힘든 변속곡이나 특징적인 패턴이 있는 개인차 곡들이 ONE PICK으로 자주 선호된다.

5. 티어 승급 및 강등

기본적인 내용은 프리 시즌 진행 방식을 베이스로 하며, 각 시즌별 변경점은 시즌별 변경점 문단에 따로 서술한다.

먼저 아이언~다이아몬드 티어까지는 각 티어의 세부 단계(I~IV)별로 0~100LP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승리하면 LP를 얻고 패배하면 LP를 잃는다. LP 획득량/손실량은 레이트와 브레이크 결과에 영향을 받는다.

패배하여 LP가 0 미만이 될 경우, 동 티어의 하위 단계로 강등하며, 부족 LP만큼이 100에서 차감된다. 다만 해당 티어의 IV 단계에서는 0LP 미만으로 떨어져도 바로 하위 티어로 강등되지는 않고, 0LP 상태에서 여러 번 연패해야 하위 티어로 강등된다. 만약 1판을 더 지면 강등되는 상황일 경우 ⚠DEMOTION RISK라는 경고문이 뜬다.

승리하여 LP가 100 이상이 될 경우, I외의 단계에서는 동 티어의 상위 단계[34]로 승급하며, 초과 LP만큼이 이월된다. I단계에서는 LP가 초과량으로 제공될 경우 실제로는 100LP가 되기까지 남은 양만큼만 제공되며, 프로모션 매치(승격전[35])를 할 기회가 주어진다. 실버에서 골드로 승급할 때 혹은 그 이하에서는 2판 중 1판을, 골드에서 플레티넘으로 승급할 때 혹은 그 이상 에서는 5판 중 3판을 이겨야 한다. 그렇지 못했을 경우 LP가 소량 깎이며, 다시 100LP를 채우면 승격전에 재도전할 수 있다.

티어 승급 이후에는 첫 매치에서 올라간 티어 IV단계의 0LP로 시작하는데, 상술했듯이 0LP 상태에서 패배한다고 해서 바로 강등되지는 않는다. 다만 너무 많이 패배하면 강등될 수 있으니 주의. 상위 티어로 올라갈수록 적게 패배해도 강등될 확률이 높아진다. 4연패했는데 바로 강등되었다는 플레이어도 있고, 10판을 내리 졌는데도 강등되지 않았다는 플레이어도 있는 등, 사람마다 강등에 필요한 연패 수가 다르다. 단, 강등 직전에는 경고 문구가 나타나므로 해당 시점 전까지는 강등당할 염려는 없다.

마스터 및 그랜드 마스터 티어에서는 LP의 상한 및 프로모션 매치가 없으며 LP 순위를 기준으로 상위 1~10위는 그랜드 마스터, 11위 이하는 마스터에 배정된다. 다이아몬드 이하 티어에서 LP 100점 단위로 I~IV까지 세부 숫자 등급을 나눴던 것처럼 마스터에서는 유저들끼리 비공식적으로 100점 단위로 수라는 개념을 도입했는데, 마스터 LP 0~99점은 0층, 100~199점은 1층, 200~299점은 2층, 300~399점은 3층... 하는 식이다.

5.1. 시즌 1 변경점

6.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JMAX RESPECT V/문제점/래더 매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래더 매치를 V의 핵심 컨텐츠 중 하나로 기획했겠으나, 리듬 게임이라는 장르적 특성 및 제작진들의 치밀하지 못한 디자인으로 인해 여러 문제점이 확인되고 있다. 래더 매치가 출시된지 약 4년이 지난 현재(2024년)의 경우 지금껏 제작진들이 래더 매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였고, 이에 문제점이 해결되거나 적어도 완화된 부분 역시 많은 편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래더 매치는 고인물들만의 대결이나 방송 콘텐츠로 전락한지 오래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 생긴 문제점, 프리 시즌부터 계속 방치되는 문제점도 존재하지만 가장 크리티컬한 문제점은 일반 유저들의 저조한 참여율로 평가된다.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문서를 참조.

7. 기타

7.1. BGM

||<-4><table bgcolor=#fff,#1c1d1f><table align=center><table width=800><table bordercolor=#f0b405>
DJMAX RESPECT V 래더 매치 BGM
||
<rowcolor=#000> 제목 작곡가 비고
기본 BGM
Hold it down jam-jam 래더 매치 로비 BGM
Welcome to Resultant Coda 래더 매치 결과 BGM
Basstadium GOTH (구) 래더 매치 로비 BGM[변경]
Gin fizz CHUCK (구) 래더 매치 결과 BGM[변경]
THEME SKIN (LEGACY) BGM
-
Trilogy Mission 6 BGM
Forte Escape TRILOGY 테마 스킨
Flea (Remix)
Club Tour 'CLAZZIQUAI' BGM
CLAZZIQUAI CLAZZIQUAI 테마 스킨
-
Club Tour 'PENTAVISION' BGM
Urbatronic Chopsticks BLACK SQUARE 테마 스킨
-
Technikal Mixing Select BGM
미상 TECHNIKA 테마 스킨
Stand By
Club Mixing Select BGM
Mr.Funky TECHNIKA 2 테마 스킨
Catch Me if You Can
Crew Challenge Select BGM
Cuve TECHNIKA 3 테마 스킨
moTivation
Mission Mode BGM
Mr.Funky PORTABLE 3 테마 스킨
Glamorous thing
Technika TUNE Club Mixing Select BGM
AstroKid TECHNIKA TUNE & Q 테마 스킨
THEME SKIN (COLLABORATION) BGM
{{{#!folding [ 펼치기 · 접기 ]<rowcolor=#000> 제목 작곡가 비고
HORIZON
Combat BGM
Vanguard Sound GIRLS' FRONTLINE 테마 스킨
Star Maker, Pt. 1
Groove Coaster 4 Select BGM
Yu Shimoda, ZUNTATA GROOVE COASTER 테마 스킨
The Sound of Secrets
DEEMO -Reborn- Piano Room BGM
미상 DEEMO 테마 스킨
-
NEKO#ΦωΦ Theme
3R2 CYTUS 테마 스킨
-
(자체 제작 BGM)
ESTIMATE ESTIMATE 테마 스킨
The Raindrop Flower ~jam-jam Remix~ jam-jam NEXON 테마 스킨
DataErr0r Cosmograph MUSE DASH 테마 스킨
-
EZ2DJ 3rd TRAX Club Mix BGM
미상 EZ2ON 테마 스킨
Ariant ~ned Remix~ ned MapleStory 테마 스킨
GENESIS BEYOND THE BEGINNING 竹下遼(jdk) Falcom 테마 스킨
}}} ||
THEME SKIN (ORIGINAL) BGM
{{{#!folding [ 펼치기 · 접기 ]<rowcolor=#000> 제목 작곡가 비고
Zero to the hunnit SiNA V EXTENSION 2 테마 스킨
Space Dream (feat. J.O.Y) Newton V EXTENSION 3 테마 스킨
LUV ND Lee V EXTENSION 4 테마 스킨
God Machine VoidRover V EXTENSION 5 테마 스킨
Broken Sphere VoidRover V LIBERTY 테마 스킨
}}} ||
THEME SKIN (SEASON THEME) BGM
{{{#!folding [ 펼치기 · 접기 ]<rowcolor=#000> 제목 작곡가 비고
-
DJMAX Portable Pro DJING BGM
미상 S1 LEGACY 테마 스킨
Move Yourself IMLAY / YESEO S2 SUMMER 테마 스킨
Midnight Blood NieN S3 ORIENTAL 테마 스킨
Black Swan TAK S4 WINTER 테마 스킨
Love is Beautiful Electronic Boutique S5 WEDDING 테마 스킨
Right Back TANUKI S6 RACING 테마 스킨
Do it House Rulez S7 LIVE 테마 스킨
Cosmic Fantastic Lovesong DINY S8 VALENTINE 테마 스킨
Dual Strikers 7 Sequence S9 MILITARY 테마 스킨
From Hell to Breakfast Daisuke Kurosawa S10 GLORY DAYS 테마 스킨
SURVIVOR jam-jam S11 DIEIN 테마 스킨
Bright Dream M2U S12 SCHOOL 테마 스킨
Basement Pierre Blanche S13 SUMMER 테마 스킨
}}} ||

래더 매치 로비 BGM 'Basstadium'과 리절트 BGM인 'Gin Fizz'는 RESPECT V에서 새로 제작된 5종의 BGM 중 하나[38]이며, 각각 GOTH와 CHUCK이 담당했다. 이후 2.0 업데이트에서 jam-jam이 작곡한 'Hold it down'과 'Welcome to Resultant Coda'로 변경되었다.

해당 BGM들은 기본 테마와 Dream it 테마 스킨에 적용되며, BGM 변경이 있는 테마에 따라 변경된다.[39] 다만 매치 결과창에서는 해당하는 UI 스킨의 기존 프리스타일 리절트 BGM이 나오는 반면, 로비 BGM에서는 본편인 RESPECT에서 사용하지 않은 본가 BGM을 가져왔다.[40]

===# 버튼별 등반 난이도(프리 시즌 한정) #===
플래티넘 3 이상의 래더 등반 난이도[41]는 올버튼≥8버튼>5버튼>6버튼>4버튼 순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8버튼은 진입장벽이 높아 소위 고인물들의 비율도 타 버튼에 비해 높아서 등반 난이도가 타 버튼에 비해 독보적으로 높다. 어느 정도냐면 타 버튼에서는 플래티넘 티어 유저가 매칭되는 곡을 퍼펙하려는 99.9% 이상만 찍어도 다이아도 노려볼 수 있는데 비해, 8버튼에서는 퍼펙을 찍지 않는 한 그냥 평범한 플래티넘 유저로 취급될 정도. 더군다나 같은 레벨이라도 8버튼 채보의 난이도는 타 버튼과 비교를 불허하기 때문에 다른 버튼에서 하나 이상 마스터 티어에 오른 유저가 8버튼에서는 플래티넘~다이아몬드인 경우도 많다. 올버튼 또한 8버튼을 포함한 모든 버튼을 통달해야 하기 때문에 8버튼과 상황이 별로 다르지 않다. 다만 올버튼은 다이아몬드 하위권까지는 8버튼 실력이 좀 떨어져도 4~6버튼 실력으로 치고 올라온 유저가 많아서 8버튼을 잘하면 그만큼 유리한 자리를 점할 수 있다. 그 이상으로는 어느 버튼이든 약하면 올라가기 힘들기 때문에 등반 난이도가 수직 상승한다.
반면 등반이 가장 쉬운 4버튼은 마스터 인원만 200명 가까이 될 정도로 티어 인플레가 심각하다. 마스터 등반만으로 Top 100은 어림도 없고 최소 100LP 이상은 채워야 순위권에 들 수 있다.

===# 플래티넘 IV 난민(프리 시즌 한정) #===
플래티넘 IV는 래더에서 가장 고달픈 등급으로 꼽힌다. 골드와 플래티넘 사이 격차가 은근히 큰 편이라 막 승급한 플래티넘 IV 유저들은 다른 플래티넘 유저들 상대로는 계속 지는데 골드로 강등은 잘 안 되고, 설사 골드로 강등된다고 해도 상술했듯이 골드에서는 간혹 만나는 봇의 실력이 형편없어서 운이 좋으면 너무 쉽게 승급되고 그렇게 다시 플래티넘으로 올라가면 다른 플래티넘 유저들에게 양학당한다. 이 때문에 플래티넘 IV 0LP에서 정체된 플레이어들이 상당히 많으며, 실제로 플래티넘 IV 0LP에서 한 번 이기면 랭킹이 떡상하는 것을 볼 수 있다.


[1] 비슷한 예시로는 beatmania IIDX/ARENA 모드가 있다.[2] 인게임에서는 UNRANKED와 동일한 엠블렘을 사용.[3] 최근에는 래더를 이용하는 플레이어가 더 줄다보니 평균이 상향되어 최소 99.6%~99.9%를 요구하기도 한다.[4] 6시즌 이전의 경우 마스터 상위 5명, 프리 시즌에서는 각 버튼별 상위 5명[5] 그랜드 마스터 승급은 매일 자정에 반영된다. 따라서 실제 LP 순위가 10위 이내여도 그랜드 마스터 승급 전까지는 10위보다 LP가 높을 수 있다.[6] 시즌 12 기준. 프리 시즌 ~ 시즌 6까지는 5게임(최소 10라운드)이었고, 시즌 7부터는 3게임(최소 6라운드)이었다.[7] 패치노트를 통해 몇몇 곡은 래더 매치에서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고 공지된다.[8] 이에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DLC곡은 초견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승부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9] 상대가 자신과 같은 곡을 제외했을 경우 4곡 중 1곡을 추가적으로 시스템에서 무작위로 제외하여 3곡으로 진행된다.[10] 승자만 1점을 가져가지만, 무승부가 되면 양쪽 모두 1점을 획득한다.[11] 20.83ms, 일반 판정은 41.67ms[12] 곡 공개 전에 'HARD JUDGEMENT' 경고가 잠깐 표시된다.[13] 10.42ms[14] 정비 전에 'MAX JUDGEMENT' 경고가 잠깐 표시된다.[15] 0점 처리되고 기록 평균에 반영되며, 상대가 0점이라도 패배로 처리된다.[16] 다만 가끔씩 4키 실력만 키워 플래티넘에 도달한 유저들의 경우 6키 처리력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 특히 6키의 경우 MX패턴과 SC패턴의 차이가 꽤나 크기 때문에 MX패턴 찍먹만 해본 유저들의 경우 SC패턴이 나왔을 때 6B SC의 특징적 패턴인 1-3 동시치기와 4-6 동시치기를 많이들 헷갈리기도 한다.[17] 예를 들어 상대방이 나보다 더 빨리 밴을 완료해서 밴픽이 바로 끝날 수도 있다.[18] 특히 전시즌 티어 플레이트를 착용한 경우, 배너와 티어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거의 100% 확률로 봇이다.[19] 참고로 봇의 레벨은 플레이어의 레벨과 비슷한 범위 내에서 랜덤으로 정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20] 단, Max Judgement 규칙이 적용될 때는 예외인 것으로 보인다.[21] 실제 유저와 매칭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핑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으로, 실제 유저와 배치될 경우 경우에 따라 다르나 보통 수십~수백ms정도 차이가 난다.[22] 정상적인 프로필의 경우 주소창에 https://steamcommunity.com/profiles/(스팀 유저 코드)/가 표시되지만, 봇의 프로필 확인 시 https://steamcommunity.com/gid/0/이 표시된다.[23] 다만, 최초 종료 공지가 떴을 때는 한국어 한정으로 태평양시로 공지되어 혼란이 있었고, 이후 정정 공지를 통해 KST로 수정되었다.[24] 플레이어 A가 4/6버튼을, 플레이어 B가 6/8버튼을 오픈했으면 6버튼으로만 매치가 진행된다. 4/6버튼을 오픈한 플레이어는 5/8버튼을 오픈한 플레이어와 매칭되지 않는다.[25] 과거 공식 디스코드를 관리했고, 현재도 글로벌 서버에서 공지를 올리고 있으며, 개발자 라이브에서도 지속적으로 출연하는 해당 제작진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26] 봇 실력은 실버 티어 수준. 뒷배경도 실버 티어 로고로 되어 있다.[27] 시즌 1에서 티어만 올려놓고 래더를 접는 상황이 많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침으로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28] 휴면 강등을 통해 골드 I로도 강등될 수 있었다.[29] SON OF SUN, Here in the Moment, Airwave, Y, Thor, AD2222, EGG의 Extended Mix와 NB Ranger : Nonstop Remix.[30] 이전 공지에서는 AD2222EGG의 Extended Mix가 제외된 6곡이었으나, 이에 대한 피드백이 받아들여져서 시즌4 시작과 함께 래더 매치 미등장 리스트에 포함되었다. 다만 마찬가지로 음악 길이가 상당히 긴 것으로 악명높은 Ghost VoicesSad Machine은 여전히 미등장 리스트에 없다.[31] 현행 SC 난이도 체계 기준으로 환산하면 10~15레벨 정도이다.[32] 매 라운드가 퍼펙트 싸움이므로, 1~2천개의 노트 중 1개만 90%로 잘못 치더라도 바로 패배로 직결되는 상황이 자주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2라운드 연속 동점이 나오는 상황이 매우 많았고 이때문에 라운드가 길어지면서 피로함을 느끼는 유저들이 많았다.[33] 최적화 문제로 인해 판정선이 어디를 기준으로 하는지 매 판마다 느낌이 달라진다고 한다. 더불어 아직 싱크 밀림과 인풋랙을 완전히 잡은 상황도 아니다. 이는 보컬곡에서 특히 두드러진다.[34] 예를 들어 플래티넘 IV에서 100LP를 달성하면 플래티넘 III으로 승급되는 식.[35] 베타 테스트 당시 명칭[변경] 2.0 업데이트 이후 신 BGM으로 변경. 현재는 CHUNITHM 테마를 쓰고 있다면 들을 수 있다.[변경] [38] 다른 3개는 신규 타이틀 Finger Starz, Air 로비 BGM인 Aerocaster, 오픈 매치에서 로비 BGM Cumulus Pulse[39] 다만 츄니즘 테마 스킨은 메인 화면과 일반 리절트 BGM 제외 BGM 변경이 없다.[40] 다만 예외적으로 테크니카 시리즈 DLC들은 미션 모드 테마에서 쓰인 BGM들이 그대로 래더 매치에서 사용된다. 대신 테크니카 2, 3의 래더 리절트는 토탈 리절트의 BGM을 사용했다.[41] 골드 이하에서는 봇의 변별력이 떨어져서 플래티넘 4까지는 버튼 관계없이 비교적 쉽게 승급이 가능하므로 논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7 (이전 역사)
문서의 r8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