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06:23:33

EM 오드아이즈 메탈 크로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EM(엔터메이트)
, 오드아이즈
,
,
,
,

1. 개요

유희왕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PerformapalOddEyesMetalClaw-JP-Manga-DY-NC.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 명칭=<ruby>EM<rp>(</rp><rt>엔터메이트</rt><rp>)</rp></ruby> 오드아이즈 메탈 크로우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ruby>EM<rp>(</rp><rt>エンタメイト</rt><rp>)</rp></ruby>オッドアイズ・メタル・クロウ,
영어판 명칭=Performapal Odd-Eyes Metal Claw (비공식 번역명),
레벨=8,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3000, 수비력=2000,
소재="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 "EM(엔터메이트) 실버 크로우")]

유희왕 ARC-V 최강 듀얼리스트 유우야!! 6화에서 사카키 유우야가 미카도 쿄지와의 듀얼 중 사용. 작중 유우야가 사용한 EM의 첫 융합 몬스터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EM 실버 크로우를 소재로 융합 소환한 뒤 미카도의 명 제왕 에레보스를 파괴했다.

공격명은 '메탈 트윈 소드([ruby(鋼狼, ruby=メタル)][ruby(双爪, ruby=ツイン)][ruby(斬剣, ruby=ソード)] / Metal Twin Sword)'.

디자인을 보면 EM 실버 크로우가 실버에서 메탈, 사족보행에서 이족보행으로 진화했다.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등뼈도 보인다. 또 진화 이전의 공격력 버프 효과의 범위가 자신 필드의 EM 몬스터에서 모든 몬스터로 넓어졌다. 원작에서 같은 조합으로 소환된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과 대칭되는 몬스터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종족은 야수전사족이 아닌 비스트아이즈와 같은 드래곤족이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EMオッドアイズ・メタル・クロウ.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 명칭=<ruby>EM<rp>(</rp><rt>엔터메이트</rt><rp>)</rp></ruby> 오드아이즈 메탈 크로우,
일어판 명칭=<ruby>EM<rp>(</rp><rt>エンタメイト</rt><rp>)</rp></ruby>オッドアイズ・メタル・クロウ,
영어판 명칭=Performapal Odd-Eyes Metal Claw,
레벨=8,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3000, 수비력=2000,
소재="오드아이즈" 몬스터 + "EM(엔터메이트)"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재로 할 수 없다.,
효과1=①: "융합"의 효과로 융합 소환한 이 카드는 다른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한다. 자신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배틀 페이즈 종료시까지 300 올린다.)]

메인 덱에 들어가지 않고 드래곤족인 최초의 EM 몬스터.

융합 소재로 오드아이즈EM(엔터메이트) 2종류를 지정하는데, 두 테마는 원래 시너지가 강한 편인데다 둘 다 속해있는 EM 오드아이즈 몬스터도 많아서 소재 차제는 별 탈없이 마련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융합의 효과로 융합 소환했을 경우 효과 내성을 얻는 지속 효과. 공격력도 충분하고 자신의 효과는 받을 수가 있어서 필드 유지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묘지에 융합이 있어야 적용되기 때문에 EM이나 오드아이즈에서 으레 사용되는 오드아이즈 퓨전, EM 트럼프 걸 등으로 꺼내면 그림의 떡이나 다름없다. 자신의 다른 카드 효과도 못받으므로 EM의 몬스터 공격력 강화하고도 썩 맞지 않는다. 차라리 내성 따위 포기하고 상기한 방법으로 융합 소환할 수 있는 타점 요원으로나 써보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②의 효과는 공격 선언시 자신의 몬스터를 전체 강화하는 유발 효과. 상승 수치는 낮지만 충분히 높은 편인 3000 타점에서 한 층 더 강해진다는 것으로도 의미는 있다. 또한 아군을 전부 강화시켜주니 오드아이즈EM의 주요 전술인 펜듈럼 소환을 통한 대량 전개와 궁합이 좋다.

치환융합으로 꺼내도 ①의 효과로 내성을 얻을 수 있는데, EM, 오드아이즈 둘 다 펜듈럼 몬스터가 많은 만큼 필드 소재를 마련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치환융합의 효과로 묘지의 이 카드를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려서 드로우도 가능하다. 어차피 묘지에서 되살려봤자 내성 효과는 못 쓰게 되니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는 편이 더 나을 수도 있다.

융합 소재로 삼을 수 없으므로 이 카드를 소재로 2장째 메탈 크로우를 꺼낼 수는 없다. 다만 융합 소재로만 못 쓸 뿐이라 다른 특수 소환의 소재로 쓰는 데엔 제약이 없다.
수록 시리즈
2016-07-29 |
[[일본|]][[틀:국기|]][[틀:국기|]] YS01-JP001 | 最強デュエリスト遊矢 第1巻 付録カード
2020-08-07 |
[[미국|]][[틀:국기|]][[틀:국기|]] ROTD-EN092 | RISE OF THE DUELIST
2017-06-08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PP12-KR043 | 프리미엄 팩 Vol.12

3. 관련 카드

3.1. 융합

3.2.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3.3. EM 실버 크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