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2:42:37

FC 바르셀로나/2008-09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C 바르셀로나
{{{#!wiki style="margin:0 -10px -5px"
{{{#edbb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7-08 <colbgcolor=#a50044> 2008-09 2009-10 <colbgcolor=#a50044>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 ||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FC 바르셀로나 정규 시즌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FC 바르셀로나 2008-09 시즌
<colbgcolor=#064E9C><colcolor=#E4BB74> 회장 주안 라포르타
감독 펩 과르디올라 (첫 번째 역임)
주장 카를레스 푸욜 (5번째 역임)
결과
라리가 우승 (19번째 우승)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3번째 우승)
코파 델 레이 우승 (25번째 우승)
최다 득점 리오넬 메시 (38득점)
최다 도움 사비 에르난데스 (31도움)

1. 스쿼드2. 유니폼 및 스폰서3. 이적 시장
3.1. 여름 이적 시장
3.1.1. 영입3.1.2. 방출
4. 정규 시즌
4.1. 시즌 정리4.2. 대회 기록
5. 총평


1. 스쿼드

파일:barcelona-2008-09.jpg
FC 바르셀로나 2008-09 시즌 스쿼드
번호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포지션 국적 생년월일 비고
1 빅토르 발데스 Victor Valdes GK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1월 14일 부주장
2 마르틴 카세레스 Martín Cáceres D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87년 4월 7일
3 제라르 피케 Gerard Piqué DF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7년 2월 2일
4 라파엘 마르케스 Rafael Márquez SW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9년 2월 13일
5 카를레스 푸욜 Carles Puyol DF 파일:스페인 국기.svg 1978년 4월 13일 주장
6 차비 에르난데스 Xavi Hernández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0년 1월 25일 3주장
7 아이두르 구드욘센 Eiður Guðjohnsen FW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1978년 9월 15일
8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Andrés Iniesta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4년 5월 11일 4주장
9 사무엘 에투 Samuel Eto'o FW 파일:카메룬 국기.svg 1981년 3월 10일
10 리오넬 메시 Lionel Messi FW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87년 6월 24일
11 보얀 키르키치 Bojan Krkić FW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0년 8월 28일
13 호세 마누엘 핀토 José Manuel Pinto GK 파일:스페인 국기.svg 1975년 11월 8일
14 티에리 앙리 Thierry Henry FW 파일:프랑스 국기.svg 1977년 8월 17일
15 세이두 케이타 Seydou Keita MF 파일:말리 국기.svg 1980년 1월 16일
16 시우비뉴 Sylvinho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1974년 4월 12일
18 가브리엘 밀리토 Gabriel Milito DF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80년 9월 7일
20 다니에우 아우베스 Dani Alves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1983년 5월 6일
21 알렉산드르 흘렙 Alexander Hleb MF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1981년 5월 1일
22 에릭 아비달 Éric Abidal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1979년 9월 11일
24 야야 투레 Touré Yaya MF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83년 5월 13일
25 알베르트 호르케라 Albert Jorquera GK 파일:스페인 국기.svg 1979년 3월 3일
27 페드로 로드리게스 Pedro Rodríguez FW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7년 7월 28일
28 세르지오 부스케츠 Sergio Busquets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8년 7월 16일
29 빅토르 산체스 Víctor Sánchez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7년 9월 8일

2. 유니폼 및 스폰서

2008-09 시즌 유니폼
파일:바르샤 08-09.png 파일:BARCA_AWAY0809_large.jpg 파일:barca 2007-08 away.gif 파일:barcelona-08-gk-black_2.jpg
HOME AWAY THIRD GK
유니폼 메이커 메인 스폰서[1] 소매 스폰서
파일:나이키 로고.svg 파일:유니세프 로고.svg 파일:TV3 logo.jpg

3. 이적 시장

3.1. 여름 이적 시장

3.1.1. 영입

FC 바르셀로나 2008/09 시즌 여름 이적 시장 영입 선수 명단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From. 포지션 국적 이적료
세이두 케이타 Seydou Keita 세비야 FC MF 파일:말리 국기.svg €14M
제라르 피케 Gerard Piqué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DF 파일:스페인 국기.svg €5M
호세 마누엘 핀토 José Manuel Pinto 셀타 비고 GK 파일:스페인 국기.svg €0.5M
마르틴 카세레스 Martín Cáceres 비야레알 CF D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6.5M
다니엘 알베스 Daniel Alves 세비야 FC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29M
알렉산드르 흘렙 Alexander Hleb 아스날 FC MF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11.8M
엔리케 Henrique 파우메이라스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8M
세르히오 부스케츠 Sergio Busquets FC 바르셀로나 B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승격
페드로 로드리게스 Pedro Rodríguez FC 바르셀로나 B FW 파일:스페인 국기.svg 승격

3.1.2. 방출

FC 바르셀로나 2008/09 시즌 여름 이적 시장 방출 선수 명단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To. 포지션 국적 이적료
에드미우송 Edmílson 비야레알 CF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Free
잔루카 참브로타 Gianluca Zambrotta AC 밀란 DF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8M
지오반니 도스 산토스 Giovani dos Santos 토트넘 홋스퍼 FC FW 파일:멕시코 국기.svg €6M
릴리앙 튀랑 Lilian Thuram -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은퇴
산티아고 에즈퀘로 Santiago Ezquerro CA 오사수나 FW 파일:스페인 국기.svg Free
데쿠 Deco 첼시 FC MF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0M
호나우지뉴 Ronaldinho AC 밀란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21M
엔리케 Henrique 바이어 04 레버쿠젠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Loan
올레게르 프레사스 Oleguer Presas AFC 아약스 DF 파일:스페인 국기.svg €3M
마르크 크로사스 Marc Crosas 셀틱 FC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0.5M

4. 정규 시즌

4.1. 시즌 정리

파일:external/img.vvlcdn.com/o_f_c_barcelona_josep_guardiola-30408.jpg
펩 과르디올라의 부임

2003년부터 팀을 지휘한 프랑크 레이카르트 감독이 떠나고 당시 FC 바르셀로나 B 팀을 지휘하고 있었던 팀의 레전드 선수였던 펩 과르디올라가 감독으로 부임했다. 부임 당시에는 변변한 경력이 없는 초짜 감독의 역량에 대해서 물음표를 던진 사람들도 있었으나 과르디올라는 그 우려를 완벽하게 잊게 만들었다.

시즌 개막전 리그 1 라운드에서 승격 팀 누만시아 원정에서 0:1로 패하고 시즌 홈 개막전이었던 2라운드 라싱 산탄데르와의 홈 경기에서 실망스런 1:1 무승부를 기록했을 때만 해도 전망은 그리 밝지 않아보였다.

이후 리그 20경기에서 19승 1무라는 어마무시한 성적을 기록하며 일찌감치 라리가 우승을 어느 정도 찜해놓은 듯 했다.

2008년 12월 13일 리그 15라운드 레알 마드리드와의 홈 경기에서 2 대 0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 이후 감독을 베른트 슈스터에서 후안데 라모스로 바꾼 레알 마드리드가 리그 19경기 18승 1무를 기록하며 맹추격하기 시작했다.

2월 14일 리그 23라운드 베티스와의 원정 경기 무승부, 2월 21일 리그 24라운드 에스파뇰과의 홈경기 패배, 3월 1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원정 경기 패배로 리그 세 경기에서 승점을 1점 밖에 얻지 못했다.

리그 33라운드에서 발렌시아와 무승부를 하며 2위 마드리드와 승점이 4점차로 좁혀졌다.

2009년 5월 2일 리그 34라운드 레알 마드리드 원정에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6:2 대승을 거두며 리그 우승이 거의 확실시되었다. 이 경기에서 차비는 프리킥으로 푸욜의 골을 세트피스 어시스트를 기록한 것 외에 전방 압박으로 공을 빼앗아 메시의 득점을 도왔고, 페널티 박스 근처에서 돌면서 완벽한 탈압박과 패스로 메시의 득점을 도왔고, 자기 하프에서 엄청난 침투 패스로 앙리의 골을 도우며 4개의 도움을 기록하며 최고의 활약을 했다. 메시는 차비의 어시스트로 2개의 골을 넣었고 킬 패스로 앙리의 첫 번째 골을 도왔다. 이 외에도 앙리를 비롯해 바르셀로나 선수들 거의 모두 압도적으로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2009년 5월 6일 첼시와의 챔피언스 리그 2차전이 진행되었다. 1차전은 첼시에게 유리한 판정이 대부분 나왔다면, 2차전은 바르셀로나에게 유리한 판정이 대부분이었다. 아비달이 아무런 터치가 없었음에도 퇴장 당한 후 바르셀로나는 10명이 뛰게 되었다. 그 이후는 첼시에게 불리한 퇴장들이 이어졌다.

2009년 5월 10일 리그 35라운드 비야레알과의 홈 경기에서 승리하면 우승을 확정 지을 수 있었지만 3 대 1로 이기던 경기를 3 대 3로 무승부를 허용하며 그러지 못했다. 마드리드는 엘 클라시코 패배 이후 5연속으로 패배를 당했고, 36라운드에서 두 팀 다 지면서 승점차가 그대로 유지, 바르셀로나의 우승이 확정되었다.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은 4강에서 아스날 FC를 합계 4:1로 꺾고 올라온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 만나게 되었다. 결승전은 AS 로마의 홈 구장인 스타디오 올림피코에서 펼쳐지게 되었다. 전반 10분 만에 사무엘 에투가 선제골을 넣으면서 바르셀로나에게 유리하게 시작한다. 이후 후반 25분에는 리오넬 메시가 헤더로 쐐기골을 넣으면서 합계 2:0으로 3년 만에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거머쥐었고 구단과 스페인 역사상 첫 트레블을 달성한다.
파일:external/www.deshow.net/09-uefa-champions-league-571-2.jpg
클럽 최초의 트레블

4.2. 대회 기록

4.2.1. 라리가

전체 원정
경기 38 18 20
승리 27 14 13
무승부 6 3 3
패배 5 2 3
득점 105 61 44
실점 35 14 21
득실 차 70 47 23
승점 87
라운드 날짜 홈/원정 상대팀 점수 순위
1 2008-08-31 원정 CD 누만시아 1:0 17
2 2008-09-13 라싱 데 산탄데르 1:1 15
3 2008-09-21 원정 스포르팅 히혼 <colbgcolor=#7fff7f> 1:6 9
4 2008-09-24 레알 베티스 3:2 6
5 2008-09-27 원정 RCD 에스파뇰 1:2 5
6 2008-10-04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6:1 4
7 2008-10-19 원정 아틀레틱 빌바오 0:1 4
8 2008-10-25 UD 알메리아 5:0 2
9 2008-11-01 원정 말라가 CF 1:4 1
10 2008-11-08 레알 바야돌리드 6:0
11 2008-11-16 원정 RC 레크레아티보 데 우엘바 0:2
12 2008-11-23 헤타페 CF 1:1
13 2008-11-29 원정 세비야 FC 0:3
14 2008-12-06 발렌시아 CF 4:0
15 2008-12-13 레알 마드리드 CF 2:0
16 2008-12-21 원정 비야레알 CF 1:2
17 2009-01-03 RCD 마요르카 3:1
18 2009-01-11 원정 CA 오사수나 2:3
19 2009-01-17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5:0
20 2009-01-24 CD 누만시아 4:1
21 2009-02-01 원정 라싱 데 산탄데르 1:2
22 2009-02-08 스포르팅 히혼 3:1
23 2009-02-14 원정 레알 베티스 2:2
24 2009-02-21 RCD 에스파뇰 1:2
25 2009-03-01 원정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4:3
26 2009-03-07 아틀레틱 빌바오 2:0
27 2009-03-15 원정 UD 알메리아 0:2
28 2009-03-22 말라가 CF 6:0
29 2009-04-04 원정 레알 바야돌리드 0:1
30 2009-04-11 RC 레크레아티보 데 우엘바 2:0
31 2009-04-18 원정 헤타페 CF 0:1
32 2009-04-22 세비야 FC 4:0
33 2009-04-25 원정 발렌시아 CF 2:2
34 2009-05-02 원정 레알 마드리드 CF 2:6
35 2009-05-10 비야레알 CF 3:3
36 2009-05-17 원정 RCD 마요르카 2:1
37 2009-05-23 CA 오사수나 0:1
38 2009-05-30 원정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1

4.2.2. 코파 델 레이

라운드 날짜 홈/원정 상대팀 점수
32강 2008-10-28 원정 베니도름 CD <colbgcolor=#7fff7f> 0:1
2008-11-12 베니도름 CD 1:0
16강 2009-01-06 원정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3
2009-01-14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1
8강 2009-01-21 원정 RCD 에스파뇰 0:0
2009-01-29 RCD 에스파뇰 3:2
4강 2009-02-05 RCD 마요르카 2:0
2009-03-04 원정 RCD 마요르카 1: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pa_del_Rey_logo_since_2012.png

2008-09 Copa Del Rey Final
2009. 05. 13
에스타디오 데 마스타야 (스페인, 발렌시아 CF)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FC 바르셀로나
4 : 1 파일:아틀레틱 클루브 로고.svg
아틀레틱 클루브
31' 야야 투레
54' 리오넬 메시
57' 보얀 크르키치
64' 차비 에르난데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pa_del_Rey_logo_since_2012.png 8' 가이스카 토케로

4.2.3. UEFA 챔피언스 리그

3차 플레이오프 날짜 홈/원정 상대팀 점수
1차전 2008-08-13 비스와 크라쿠프 <colbgcolor=#7fff7f> 4:0
2차전 2008-08-26 원정 0:1
조별 리그 날짜 홈/원정 상대팀 점수
1차전 2008-09-16 스포르팅 CP <colbgcolor=#7fff7f> 3:1
2차전 2008-10-01 원정 샤흐타르 도네츠크 1:2
3차전 2008-10-22 원정 FC 바젤 0:5
4차전 2008-11-04 1:1
5차전 2008-11-26 원정 스포르팅 CP 2:5
6차전 2008-12-09 샤흐타르 도네츠크 2:3
라운드 날짜 홈/원정 상대팀 점수
16강 2009-02-24 원정 올림피크 리옹 1:1
2009-03-11 올림피크 리옹 <colbgcolor=#7fff7f> 5:2
8강 2009-04-08 FC 바이에른 뮌헨 4:0
2009-04-14 원정 FC 바이에른 뮌헨 1:1
4강 2009-04-28 첼시 FC 0:0
2009-05-06 원정 첼시 FC 1:1[2]
결승 2009-05-27 중립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

5. 총평

파일:treble.jpg
La Masia

FC 바르셀로나의 눈부신 황금기의 시작. 이 시즌 이후, 과르디올라가 팀을 떠나기 전까지 이어진 약 74바르셀로나는 축구 역사상 최강의 팀 중 하나라는 데 반론의 여지가 없을 만큼 눈부신 전성기를 누리게 된다. 또한 전설적인 차비 에르난데스-안드레스 이니에스타-세르히오 부스케츠 등의 미드필더진 이외에도 이당시 주전으로 뛴 선수들은 거의다 각자 포지션에서 월드 클래스 그 이상의 위치에 오를 정도로 인재풀이 넓어지게 되었으며, 무엇보다도 라 마시아 출신의 괴물 신인 리오넬 메시가 6관왕의 주역이 되면서, 본격적으로 축구의 신으로 불리며 엄청난 명성을 떨치게 된다. 이 황금기가 지나간 이후로도 바르셀로나가 두번째 트레블을 달성하는 등 충분히 강팀의 자리에 위치하고 있지만, 그 기반에는 08-09시즌 부터 쌓아놓은 것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이야기가 돌 정도로 바르셀로나의 팬들도 그리워하는 그야말로 레전설의 시즌이었다.

라 마시아에서 함께 자란 유스 출신 선수들이[3] 주축을 이루며 스페인 클럽 최초이자 구단 첫 트레블을 달성하였고 시즌 후 다음 시즌인 2009-10 시즌에 UEFA 슈퍼컵,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FIFA 클럽 월드컵을 들어올리면서 구단 역사에 오랫동안 남을 유럽 축구 역사상 전무했던 6관왕을 달성한 시즌[4][5]이 되었다.

지난 시즌의 암흑기의 대한 책임을 모두 짊어지던 레이카르트가 떠나고 당시 세계적으로 검증되지는 않았던 신인 감독 펩 과르디올라가 기용되고, 그는 "호나우지뉴, 데코, 에투는 내 계획에 없다" 라는 말과 함께 팀의 스타였던 호나우지뉴를 내보내고 팀의 에이스 자리까지 어린 리오넬 메시에게 넘겨주면서,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시즌 첫 2 경기에서 무기력한 모습을 보여줬기에 많은 사람들의 우려가 있었지만, 12월의 4연전을 이후 완전히 각성한 경기력으로 정상까지 올라가는 것에 성공했다.


[1] 유니세프에 한하여 지원 받는 것이 아닌 오히려 구단 차원에서 후원한다.[2]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인해 승리[3] 선수 뿐만 아니라 감독 역시 라 마시아 출신이었다.[4] 라리가, 코파 델 레이,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슈퍼컵,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FIFA 클럽 월드컵 6개 대회를 전부 우승했다. 2019-20 시즌에 FC 바이에른 뮌헨도 6관왕을 달성했는데 그 전까지는 축구 역사에서 유일한 기록이었다.[5] 이 시즌 바르셀로나는 2010-11 시즌과 MSN 라인으로 2번째 트레블을 달성한 2014-15 시즌과 함께 팀 역사상 최고의 시즌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