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트/스테이 나이트 Fate/stay night | |
<nopad> | |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ffffff> 장르 | 액션, 판타지 |
작가 | 원작: TYPE-MOON 그림: 니시와키 닷 |
번역가 | 서현아 |
출판사 | |
연재처 | |
레이블 | |
연재 기간 | 2006년 2월호 ~ 2012년 12월호 |
단행본 권수 |
[clearfix]
1. 개요
Fate 루트를 기반으로 한 Fate/stay night의 코믹스판.2. 발매 현황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720><table bordercolor=#000000,#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212529,#e0e0e0><rowbgcolor=#000000,#010101><rowcolor=#ffffff,#ffffff><width=33.33%> 01권 ||<-2><width=33.33%> 02권 ||<-2><width=33.33%> 03권 ||
| | | |||
| 2006년 05월 26일 | | 2006년 10월 26일 | | 2007년 04월 10일 |
| 2008년 02월 25일 | | 2008년 03월 25일 | | 2008년 04월 25일 |
| 2020년 02월 02일 | | 2020년 02월 02일 | | 2020년 02월 02일 |
<rowcolor=#ffffff,#ffffff> 04권 | 05권 | 06권 | |||
| | | |||
| 2007년 09월 26일 | | 2007년 12월 26일 | | 2008년 04월 26일 |
| 2008년 05월 25일 | | 2008년 06월 25일 | | 2008년 10월 25일 |
| 2020년 02월 02일 | | 2020년 02월 02일 | | 2020년 02월 02일 |
<rowcolor=#ffffff,#ffffff> 07권 | 08권 | 09권 | |||
| | | |||
| 2008년 08월 26일 | | 2008년 12월 26일 | | 2009년 04월 25일 |
| 2009년 04월 25일 | | 2009년 05월 25일 | | 2009년 07월 25일 |
| 2020년 02월 02일 | | 2020년 02월 02일 | | 2020년 02월 02일 |
<rowcolor=#ffffff,#ffffff> 10권 | 11권 | 12권 | |||
| | | |||
| 2009년 08월 26일 | | 2009년 12월 22일 | | 2010년 04월 26일 |
| 2010년 03월 25일 | | 2010년 10월 25일 | | 2011년 03월 25일 |
| 2020년 02월 02일 | | 2020년 02월 02일 | | 2020년 02월 02일 |
<rowcolor=#ffffff,#ffffff> 13권 | 14권 | 15권 | |||
| | | |||
| 2010년 08월 26일 | | 2010년 12월 29일 | | 2011년 04월 26일 |
| 2012년 03월 25일 | | 2012년 04월 25일 | | 2013년 02월 25일 |
| 2020년 02월 02일 | | 2020년 02월 02일 | | 2020년 02월 02일 |
<rowcolor=#ffffff,#ffffff> 16권 | 17권 | 18권 | |||
| | | |||
| 2011년 09월 03일 | | 2011년 12월 26일 | | 2012년 04월 26일 |
| 2013년 04월 25일 | | 2013년 05월 25일 | | 2013년 06월 25일 |
| 2020년 02월 02일 | | 2020년 02월 02일 | | 2020년 02월 02일 |
<rowcolor=#ffffff,#ffffff> 19권 | 20권 | ||||
| | ||||
| 2012년 08월 24일 | | 2012년 11월 26일 | | |
| 2014년 02월 25일 | | 2014년 03월 25일 | | |
| 2020년 02월 02일 | | 2020년 02월 02일 | | |
2012년 11월 26일에 20권으로 6년 만에 완결.[1] 국내에는 학산문화사가 2008년 2월 25일부터 2014년 3월 25일까지 전권 발매했다. 2020년 2월 2일에 e북도 전권 발매되었으나 화질이 매우 좋지 않다.
코믹스 본편은 Fate 루트의 트루 엔딩으로 끝났고, 이후 2012년 12월 발매된 타입문에이스 vol.8에서 출장판으로 레알타 누아의 라스트 에피소드가 실렸다.[2]
3. 특징
기반은 Fate 루트. 다만 라이더 전과 버서커 전 사이에 UBW 루트의 캐스터 전을 약간 어레인지해서 추가했다. 원작과 달리 라이더가 석화의 마안을 쓰고[3], 마토 신지가 갱생하며, 캐스터 전에서 랜서와 에미야 시로가 특훈하는 등의 오리지널 요소가 들어갔으며 이리야의 "버서커는 강하구나" 회상을 넣는 등 원작 내외의 요소도 넣었다.19세 용이 아니여서 어레인지된 내용도 있다. 마력공급은 PS2판에서 쓴 마력회로의 이식으로 바뀌었다.[4] 신지가 사쿠라를 괴롭힌 것도 단순히 하녀 취급하는 레벨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코믹스로 처음 Fate 시리즈를 접한 사람 상당수가 신지의 막장성이 많이 순화된 것임을 알고 충격을 받기도 했다.
가장 큰 장점은 연출. 전투를 다양한 각도에서 비추고 그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거친 선화를 쓰는 연출도 일품. 교회 앞에서 벌어진 랜서 VS 아처 전투, 아인츠베른 성 교외에서 벌여진 VS 버서커 전에서 버서커의 완전 광화 등 전투씬에서 연출력은 진가를 발휘한다. 류도사 최종전에서 진흙 공격에 의한 저주의 연출 또한 원작을 압도한다. 텍스트와 '죽어'만 나오는 원작&스튜딘판 애니메이션과 달리 텍스트의 내용을 그림으로 제대로 표현해서 그 혐오스럽고 기분 나쁜 감정이 그대로 전해진다.
반대로 가장 큰 호불호 요소는 그림체. 초반에는 둥글둥글 모에형 그림체였으나 도중에 변화하면서 모에와 극화가 뒤섞인 불안정한 그림체를 보여준다. 후반부에는 극화적인 화풍으로 정착되어 미소녀 모에와는 조금 거리감이 있게 된다.
보통 미소녀 계열 만화를 그리다 보면 오히려 그림체가 거칠던 작가들도 둥글둥글해지는 게 대다수인데, 어째서인지 이 작가는 정반대가 되어버렸다. 이후 같은 작가가 그린 액션가면 코믹스를 보면 미소녀 만화와는 정반대의 화풍이 만개한 모양이다.
4. 등장인물
4.1. 주연
<rowcolor=#ffffff,#ffffff> 서번트 | 마스터 | ||
세이버 | 에미야 시로 | ||
랜서 | 랜서의 마스터 | ||
아처 | 토오사카 린 | ||
라이더 | 마토 신지 | ||
캐스터 | 쿠즈키 소이치로 | ||
어새신 | 어새신의 마스터 | ||
버서커 |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스포일러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4차 아처 | 코토미네 키레이 |
4.2. 조연
5. 평가
원작자 나스 키노코는 니시와키 작가와 해당 작품에 관해 마지막 권 코멘트에서 "Fate의 모든 것을 포함시킬 생각으로 그려낸 작품. 모든 등장인물, 복선에 자신 나름의 의미를 부여해 책임을 진 대단한 작가. 코미컬라이즈에서, 이 정도의 신념과 정열을 쏟은 작품은 드물 것이다."라며 매우 극찬하고 감사를 표했다.[1] 에로게, 비주노 코미컬라이즈 작품 가운데 가장 권수가 많이 나온 작품이다.[2] 단행본에는 미수록되었다.[3] 부족한 마력으로 써서인지 위력은 압도적으로 줄어들었다.[4] 다만 두 번째는 성관계를 가졌음을 암시하는 연출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