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7:34:20

Gu-Gu 간모

Gu-Gu 간모
Gu-Guガンモ
gu gu ganmo
<nopad> 파일:구구간모 코믹스 1권.jpg
장르 코미디
작가 호소노 후지히코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쇼가쿠간
연재처 파일:일본 국기.svg 주간 소년 선데이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 소년 선데이 코믹스
연재 기간 1982년 19호 ~ 1985년 16호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12권 ,(1985. 04. 15. 完),

1. 개요2. 줄거리3. 등장인물4. 미디어 믹스
4.1. 애니메이션
4.1.1. TVA
4.1.1.1. 주제가4.1.1.2. 회차목록
4.1.2. 극장판
5.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코미디 만화. 작가는 과연 사루토비, 갤러리 페이크로 유명한 호소노 후지히코.

2. 줄거리

어느 날 아침, 도쿄에 살고있는 9살 소년 츠쿠다 한페이타와 누나인 츠쿠다 츠쿠네는 서로 다투던 중 우연히 한페이타의 애완 앵무새를 날려보내게 된다. 미안한 마음으로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버려진 거대한 알을 발견한 츠쿠네는 그 알을 집에 가져오게 되고 한페이타에게 선물한다. 이상한 알이라며 만족하지 못하는 한페이타. 갑자기 거대한 알이 움직이기 시작하고 그 속에서 닭 같은 생김새를 하고 운동화를 신고있는 분홍색 생명체가 나타나게 된다. 한페이타의 어머니는 그에게 간모[1]라는 이름을 지어주게 되고 애완동물로써 츠구타 가족들과 함께 지내며 겪게되는 좌충우돌 이야기가 시작된다.

3. 등장인물

4. 미디어 믹스

4.1. 애니메이션

4.1.1. TVA

Gu-Gu 간모 (1984~1985)
Gu-Guガンモ
파일:구구간모 애니메이션 키비주얼.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원작 호소노 후지히코
시리즈 디렉터 닛타 요시카타(新田義方)
캐릭터 디자인 코자이 타카오(香西隆男)[2]
이노우에 토시유키논크레딧
카지시마 마사키논크레딧
미술 디자인 야마모토 요시유키(山本善之)
녹음 니노미야 켄지(二宮健治)
쿠라모토 사다시(蔵本貞司)
편집 히나이 마사아키(花井正明)
오디오 디렉터 코마츠 노부히로(小松亘弘)
음악 오가사와라 히로시(小笠原 寛)
프로듀서 요코야마 켄지(横山賢二)토에이 동화
애니메이션 제작 토에이 동화
제작 아사히 통신사
토에이 동화
방영 기간 1984. 03. 18. ~ 1985. 03. 17.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테레비 / (일) 19:0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50화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만화 Gu-Gu 간모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제작은 토에이 동화가 맡았으며, 캐릭터 디자인에 코자이 타카오(香西隆男), 이노우에 토시유키논크레딧, 카지시마 마사키논크레딧등이 참여했다.

같은 호소노 후지히코 원작인 과연 사루토비의 방송 종료 후, 같은 후지 테레비 계열에서 1984년 3월 16일 ~ 1985년 3월 17일까지 매주 일요일 19:00~19:30에 방영한 작품으로 토에이 애니메이션 측에서 토에이 동화 명의로 제작한 마지막 작품이다.

작가의 전작인 과연 사루토비가 일요일 저녁에 방영하는 애니메이션 치고 연령대가 높은 매니악한 느낌의 인상이 강했다면 이 작품은 황금 시간대에 맞춰 연령대가 낮아진 작품이다. 다만 이 만화 또한 전작들 만큼은 아니지만 은근슬쩍 야한 장면들을 많이 넣어놨는데 애니메이션에서도 거의 그대로 묘사된다. [3]

일상 개그물 치곤 은근히 난폭하게 가격하고 때리는 장면 또한 자주 묘사된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한국에서는 단 한번도 소개된 적 없는 작품이다.

스토리보단 작화가 유명한 작품으로 당시 신인이었던 이노우에 토시유키의 캐릭터 디자인카지시마 마사키와 공동 데뷔작이었다. 신인이었음에도 1화 첫 장면에서 배경동화[4]를 그리는 등 고난이도의 작화를 보여주서 큰 두각을 나타냈다. 그가 업계에 주목을 받기 시작한 출세작이기도 하다. 카지시마 마사키가 메카 액션 위주였다면 이노우에 토시유키는 인물 작화 위주로 특히 미소녀 작화에 주력했다고 한다. # 다만 크레딧에는 거의 안 적혀있는 경우가 많았는데 당시에 제작된 토에이 작품들에는 기재하는 공간이 부족해서 참여한 원화가들의 이름을 많이 안 썼기 때문에 그렇다.

또한 과연 사루토비에 참여하여 실력을 보였던 마사유키, 타카하시 나오히토, 마스오 쇼이치 등도 원화를 그렸는데, 오구로 유이치로가 연재하던 칼럼에서 독자로부터 받은 메일에 따르면 당시 후지 테레비의 프로듀서인 오카가 이들의 실력을 눈여겨 보고 스튜디오 자이언츠[5]에 직접 의뢰를 맡겼다고 한다.# 셋 중에서는 마사유키의 참여 비중이 제일 많다.

평론가 오구로 유이치로가 굉장히 좋아했던 작품으로 당시에 자료를 모아서 스태프들과 인터뷰도 하고 동인지까지 출판할 정도로 좋아했다고 평했다.# 또한 당시 토에이 작품들이 1화에 3500장 정도로 매수가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제한된 매수에서 어떻게 하면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을지 궁리했던 모습들이 특히 인상깊었다고 한다. 매수를 아끼는 장면과 움직일 때는 확실하게 움직이는 장면간의 완급조절이 잘 된 작품이다.# 6화B, 7화B, 26화B, 31화A, 37화A, 45화B, 48화를 특히 호평했다.#
4.1.1.1. 주제가
4.1.1.2. 회차목록

4.1.2. 극장판

TV 애니메이션의 최종회 방영 직전인 1985년 3월 16일 공개된 극장판.

작화감독에 이노우에 토시유키, 원화로는 마사유키, 타카하시 나오히토, 시다 타다시(志田ただし), 모리 카즈아키, 이토 코지, 카지시마 마사키, 키타쿠보 히로유키, 후쿠시마 요시하루, 나카야마 카츠이치, 시모다 마사미, 고토 타카유키 등이 참여했다.

TV판에 참여하지 않은 스탭들이 꽤 많아서 TV시리즈에서 느꼈던 작화의 완급조절이 느껴지는 작품은 아니지만 당시 젊은 실력파 애니메이터들이 많이 참여했기에 오히려 작화로는 프로젝트 A코와 같은 작품들과 비슷한 카테고리라고 평했다.

5. 기타


[1] 닭 스키스키 → 간모스키 → 간모[2] 실제로는 이노우에 토시유키카지시마 마사키가 다 디자인 했는데 이는 장래가 유망한 젊은이들에게 기회를 주고자 자신은 크레딧에만 이름을 올렸다며 사전에 방송사 관계자한테도 이를 전했다고 했다. #[3] 대표적으로 누나인 츠쿠네가 남동생한테 사타구니를 공격하는 장난을 자주 치는데 애니메이션에서도 그대로 나온다. 1화에서 이 장난을 친 직후 자기가 가져왔던 알이 없어졌다고 하자 동생이 "바보야! 이쪽 알이 더 소중하잖아!"라는 대사를 친다. 동생인 자신의 그것보다 길에서 주웠던 알을 찾는 누나에 대해 일침을 가한 것.[4] 배경까지 움직이는 그림.[5] 도쿄 디자이너 학원의 동기였던 이 셋이 소속되어 있던 제작사로 도쿄 디자이너 학원측에서 직접 운영하던 제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