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HOT6 Champions Summer 정규시즌 경기 일람 | ||
예선 | 16강 | 8강 |
4강 | 3·4위전 | 결승전 |
1. 개요
6월 11일부터 6월 21일까지 진행된 예선 진행 과정을 기록한 문서다.2. 온라인 예선
원래는 6월 5일부터 12일까지 1주일간의 여유를 두고 진행하려 했으나, 챌린저 서킷 예선을 주관하는 나겜의 전산오류 때문에 6일 늦게 시작되었다. 예선 8강부터 결승까지 전 경기 단판 드래프트 픽으로 진행되었다. 아래는 온라인 예선 최종전 결과이다.온라인 예선 결승(2013. 06. 13.) | |||||||||
팀명 | 승패 | 승패 | 팀명 | 팀명 | 승패 | 승패 | 팀명 | ||
A조 | MiG Blitz | 승 | 패 | Raon B | B조 | SuMa | 승 | 패 | 애니멀똥탁스 |
C조 | 트리애니룰루 | 승 | 패 | MiG Wicked | D조 | F1 | 패 | 승 | C.RuRu |
E조 | RVS와 사람들 | 패 | 승 | Brand New | F조 | Xenics Blast | 승 | 패 | Must Study Hard |
G조 | Team Positive | 승 | 패 | TPoS | H조 | Team 쿠크다스 | 패 | 승 | GOL |
I조 | Team Goorumi | 패 | 승 | 캬하핫 | J조 | Global Feeding | 부전승 | 기권패 | 뚜시뚜시 |
온라인 예선을 뚫은 10팀의 간략 리뷰
3. 오프라인 예선
몇몇 팀은 팀명을 바꿔서 참여했다. 아래는 그 목록.훈수좋은날 - HGD / 트리애니룰루 - TAL / 캬하핫 - Team Nb / Brand New - CTU Revolt
3.1. A조
오프라인 예선 A조(2013. 06. 17. 18:00) | |||||||
LG-IM 2팀 | 2 | 0 | Team Positive | ||||
○ | ○ | - | x | x | - | ||
챔피언스 진출 | 결과 | NLB 진출 |
3.2. B조
오프라인 예선 B조(2013. 06. 17. A조 종료 후) | |||||||
HGD | 2 | 0 | TAL | ||||
○ | ○ | - | x | x | - | ||
챔피언스 진출 | 결과 | NLB 진출 |
3.3. C조
오프라인 예선 C조(2013. 06. 19. 16:00) | |||||||
LG-IM 1팀 | 2 | 0 | C.RuRu | ||||
○ | ○ | - | x | x | - | ||
챔피언스 진출 | 결과 | NLB 진출 |
3.4. D조
오프라인 예선 D조(2013. 06. 19. C조 종료 후) | |||||||
Team Nb | 0 | 2 | Xenics Blast | ||||
x | x | - | ○ | ○ | - | ||
NLB 진출 | 결과 | 챔피언스 진출 |
3.5. E조
오프라인 예선 E조(2013. 06. 19. D조 종료 후) | |||||||
CTU | 2 | 0 | SuMa | ||||
○ | ○ | - | x | x | - | ||
챔피언스 진출 | 결과 | NLB 진출 |
3.6. F조
오프라인 예선 F조(2013. 06. 21. 16:00) | |||||||
MVP Blue | 2 | 0 | Global Feeding | ||||
○ | ○ | - | x | x | - | ||
챔피언스 진출 | 결과 | NLB 진출 |
3.7. G조
오프라인 예선 G조(2013. 06. 21. F조 종료후) | |||||||
Xenics Storm | 2 | 0 | CTU Revolt | ||||
○ | ○ | - | x | x | - | ||
챔피언스 진출 | 결과 | NLB 진출 |
3.8. H조
오프라인 예선 H조(2013. 06. 21. G조 종료후) | |||||||
GOL | 1 | 2 | MiG Blitz | ||||
○ | x | x | x | ○ | ○ | ||
NLB 진출 | 결과 | 챔피언스 진출 |
게임 시작 단 5분만에 드래곤 앞 5대5 한타가 벌어지는가 하면 게임 마지막 6분 전까지 글로벌 골드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다. 또한 게임 초반에 퍼스트 블러드를 당했던 GOL팀의 정글러 세주아니가 궁을 무려 4명에게 맞혀 아군 탑 라이즈가 망해가며 서서히 균형이 무너지던 상황을 역전시키는가 하면, 몇 분 후 MiG Blitz의 서폿 쓰레쉬가 GOL팀의 미스 포춘에게 사형 선고를 맞혀 무력화시키며 한타를 끌어내 다시 역전을 이루어냈다. 허나 다시 GOL 팀의 소나가 미드 2차 타워 앞에서 크레센도를 상대팀 전원에게 맞히는 신기를 보여주었고 또 다시 쓰레쉬가 2차 바텀 타워에서 트페를 점멸 & 사형 선고 콤보로 끌어내면서 MiG Blitz가 다시 승리를 잡나 싶더니 다시 다음 한타에서 3명에게 크레센도를 맞혀 첫 경기를 GOL팀의 승리로 가져갔다.
허나 2경기. MiG Blitz는 첫경기의 패배 후 긴장이 풀린듯 완벽한 운영으로 1경기의 팽팽하던 분위기를 확 바꾸었고 GOL 팀은 MiG의 훌륭한 운영에 약점을 드러내며 서서히 패배했다. Blitz팀이 나서스, 케이틀린같이 라인클리어에 강한 챔피언을 가져가 타워를 빠르게 밀면서 압박했고, GOL은 계속 라인이 밀리며 결국 패배했다. 영어 해설인 Doa와 Montecristo는 Blitz가 실력으로 압도하는 게 아닌 운영으로 압도했다고 표현했다.
그리고 3경기. 지난 윈터시즌부터 스프링 시즌을 거쳐 장장 몇 개월 동안 나오지 않았던 블라인드 매치가 펼쳐졌다. 챔피언 픽에서 탑 제이스, 정글 엘리스가 겹친 상태에서 GOL팀의 미드 신드라가 MiG 정글 엘리스의 꾐에 빠져 퍼스트 블러드를 포함 2킬을 내주었다. 이후 바텀에서 극초반에 퍼스트 블러드 위기를 벗어난 MiG 바텀 듀오가 빠르게 타워를 철거하고 그에 맞춰 모든 라인에서 타워를 재빨리 철거해 버리고 제드를 통한 발 빠른 운영에 들어가자 GOL팀의 한타에 강한 조합이 빛을 보지 못하게 되고, 그 상황에서 MiG의 정글 앨리스가 킬을 주워먹으면서 웬만한 라이너급의 화력을 내기 시작하고 한편 GOL의 정글러 앨리스는 라인전이 빨리 끝나 아무것도 못하는 상황에 처하며 점점 역전이 불가능한 상황에 처한다. 허나 GOL팀은 1경기때 보여준 높은 한타 능력에 의해서 어떻게든 역전의 발판은 마련 했지만 초반부터 2킬을 먹으며 급속도로 성장하는 제드의 활약을 억제하지 못하고 결국은 패배했다.
경기 후 시청자들도, 해설진도 이미 이러한 프로급 실력을 보여주는 두 팀 중 한 팀만이 올라가야 한다는 상황이 정말로 안타깝다는 말을 반복했다. 결과적으로 MIG Blitz는 유동적인 전략으로 상대를 휘어잡고 완벽한 운영이 장점인 팀, GOL은 불리하더라도 뛰어난 한타 능력으로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는 능력이 장점인 팀이었다. 허나 MiG Blitz의 감독이 그 한타 능력이 뛰어나 역전을 해내는 CJ 프로스트에 소속되었던 장건웅이었다는 점, MiG가 장건웅이 감독이 되기 전부터 쭈욱 CJ 프로스트, 블레이즈와 연습 경기를 해왔다는 점이 승리의 요인이라고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