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3:20:36

KG모빌리티 평택공장

KG모빌리티 평택공장
KG Mobility Pyeongtaek Plant
파일:KG모빌리티 평택공장.jpg
<colbgcolor=#44207a><colcolor=#fff> 개요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위치 경기도 평택시 동삭로
상세 주소 경기도 평택시 동삭로 455-12 (칠괴동 580)
개장 연도 1979년
소유 기업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KG모빌리티
규모 86 ha
직원 수 4,222 명 (2024년 4월 기준)
좌표 -
지도

1. 개요2. 상세3. 특징
3.1. 혼류생산3.2. 제조과정3.3. 생산 지원 시설
4. 생산 차량
4.1. 현재4.2. 과거
4.2.1. 쌍용자동차 시기
5. 기타

[clearfix]

1. 개요

KG모빌리티 소유이자 경기도 평택시 동삭로 칠괴산업단지에 위치해 있는 공장.

2. 상세

1979년 준공되어 본사[1] 및 연구소가 자리잡고 있으며, 조립라인은 3개를 두고 있다.

대부분의 완성차 공장이 물류 동선에 따라 'ㄷ자' 형태를 띄고 있는 것과 달리, KG모빌리티 평택공장은 독특하게도 'ㄴ자' 형태를 갖추고 있다. KG모빌리티는 쌍용차 시절부터 이어져오던 공장의 설비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지금의 구조를 유지했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과거 평택공장의 모습은 유지하되 부분적으로 보수를 거치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평택공장은 연간 25만대의 차량을 생산할 수 있지만, 현재 공장 내 인원을 감안했을 때 현실적으로 가능한 생산량은 16만 5천대다. 1시간에 만들 수 있는 차량은 총 42대로 1라인에서 24대, 3라인에서 18대의 차량을 생산할 수 있다.

3. 특징

3.1. 혼류생산

파일:guyer73_9mWRJGbD4O0e.jpg
파일:20247371713864959.jpg
평택공장에서는 SUV부터 소형트럭은 물론 내연기관차부터 전기차까지 하나의 라인에서 혼류생산된다. 한 모델당 판매량이 5만~10만대 이상이여야 단독 생산라인을 구축할 수 있지만, 현재는 하나의 라인에서 여러 차량을 생산하는 방식이 효율적이기 때문.

혼류생산을 위해 조립라인도 통합됐으며 기존 평택공장 조립라인은 1라인, 2라인, 3라인으로 단독 운영됐지만 KG모빌리티는 2023년 10월부터 2개월간 500억을 투자해 2라인과 3라인을 통합했다. 당시 2라인에서는 모노코크 차종을, 3라인에서는 프레임만 있는 차종을 생산했지만 통합공사로 인해 하나의 라인에서 모노코크와 프레임 차종을 모두 생산할 수 있다.

3.2. 제조과정

파일:50871_91899_1937.jpg
파일:KGM_조립3팀.jpg

제조과정은 크게 4단계로 나뉘어지는데 프레스부터 차체, 도장, 조립 순으로 이뤄진다. 패널을 용접하고 차의 뼈대를 생산하는 차체 라인에선 높은 정밀도와 안전성이 요구돼, 대다수 과정을 로봇이 수행한다. 차체 1라인의 생산 능력은 시간당 28대, 라인에 들어간 뒤 차체가 만들어져 나오는데 총 69과정을 거쳐야 하며, 총 1시간 55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라인의 면적이 좁아 복층으로 운영되는데, 1층에서는 주로 로봇이 차체를 생산하고 2층에서는 작업자들이 품질 작업 및 일부 볼팅 작업을 진행한다.

현재 조립 1라인에서는 티볼리&에어, 코란도(EV), 토레스(EVX) 등 5종의 차량들이, 2라인에서는 렉스턴, 렉스턴 스포츠& 칸, 토레스 EVX 등 3종의 차량들이 제작되고 있다.

3.3. 생산 지원 시설

4. 생산 차량

4.1. 현재

KG모빌리티의 평택공장 생산 차량
적용 차량 생산기간
년~년
년~년
년~년
년~년
년~년
년~년
년~년

4.2. 과거

4.2.1. 쌍용자동차 시기

쌍용자동차 시절 평택공장 생산 차량
적용 차량 생산기간
년~년
년~년
년~년
년~년
년~년
년~년
년~년

5. 기타

준공연도인 1991년에는 쌍용자동차가 쌍용그룹 계열이었던지라 같은 그룹의 건설 자회사인 쌍용건설이 시공을 맡았었다.#


[1] KG모빌리티가 에디슨모터스(현 KGM커머셜)를 인수하면서 KG모빌리티의 자회사로 편입되었지만 KGM커머셜의 본사는 이곳으로 합병되지않고 KG그룹 사옥이 위치한 KG타워로 이전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9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9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