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01:20:20

LH아파트/목록/인천광역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LH아파트/목록

1. 목차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중구
영종주공 스카이빌 10단지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740세대 2001년 7월
영종주공 스카이빌 12단지 323세대 2001년 1월
영종LH 1단지 770세대 2012년 10월
영종LH 2단지 990세대 2018년 11월
영종LH 7단지 인천광역시 중구 중산동 295세대 2012년 9월
동구
송현주공 인천광역시 동구 송림동 575세대 1993년 5월
화도진그린빌주공 인천광역시 동구 화수동 365세대 2001년 10월
만석비치타운주공 인천광역시 동구 만석동 1,273세대 2002년 10월
솔빛마을주공1차 인천광역시 동구 송현동 2,711세대 2003년 4월
솔빛마을주공2차 1단지 386세대 2003년 12월
솔빛마을주공2차 2단지 354세대 2003년 12월
미추홀구
도화AID[2]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 506세대 1975년 5월
주안주공 1, 2단지[3]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 2,970세대 1976년 ?월
LH미추홀퍼스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 870세대 2018년 11월
LH미추홀 3단지 1,500세대 2018년 12월
연수구
연수주공 1단지[영구임대] 인천광역시 연수구 연수동 1,654세대 1992년 7월
연수주공 2단지 960세대 1992년 6월
연수주공 3단지[PC] 1,170세대 1993년 10월
남동구
간석맨션[6]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 590세대 1979년 12월
간석주공[7]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 2,100세대 1979년 7월
구월주공[8]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5,800세대 1979년 ?월
주안주공 3단지[9]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 ?세대 1976년 ?월
만수주공 1단지[a]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 516세대 1985년 10월
만수주공 2단지[a] 1,920세대 1987년 7월
만수주공 3단지[a] 510세대 1986년 10월
만수주공 4단지[a] 2,220세대 1987년 7월
만수주공 5단지[a] 900세대 1987년 9월
만수주공 6단지[a] 800세대 1986년 11월
만수주공 7단지[영구임대] 1466세대 1990년 12월
만수주공 8단지 1440세대 1989년 10월
만수주공 9단지[PC] 630세대 1994년 6월
만수주공 10단지[PC] 420세대 1994년 5월
만수주공 11단지 902세대 1997년 11월
논현주공 1단지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 1,190세대 1998년 8월
논현주공 2단지 1,252세대 1998년 8월
도림주공 1단지 인천광역시 남동구 도림동 714세대 2003년 7월
도림주공 2단지 642세대 2003년 10월
장수주공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 714세대 2005년 7월
논현1단지 숲속마을 휴먼시아[19][20]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 872세대 2009년 6월
논현2단지 범마을 휴먼시아 1,278세대 2008년 6월
논현3단지 하늘마을 휴먼시아 2,148세대 2008년 5월
논현4단지 하늘마을 LH 412세대 2018년 12월
논현5단지 달맞이마을 휴먼시아 1,522세대 2007년 4월
논현8단지 동산마을 휴먼시아 838세대 2006년 7월
논현11단지 단풍마을 휴먼시아 898세대 2006년 7월
논현12단지 산뒤마을 휴먼시아 801세대 2006년 4월
논현13단지 푸르내마을 휴먼시아 785세대 2006년 4월
논현14단지 등대마을 휴먼시아 1800세대 2006년 9월
논현15단지 260세대 2020년 12월
소래 휴먼시아 1단지 882세대 2011년 4월
소래 휴먼시아 3단지 2,026세대 2010년 11월
소래LH 4단지 820세대 2014년 11월
포레시안[21]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 3,208세대 2011년 5월
향촌 휴먼시아 2단지 438세대 2012년 5월
간석LH 1단지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 587세대 2014년 11월
간석LH 2단지 792세대 2014년 11월
서창LH 1단지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 2,186세대 2015년 2월
LH 청아안[22] 742세대 2016년 3월
서창 퍼스트뷰[23] 1,196세대 2012년 6월
서창 12단지 LH 1,534세대 2014년 4월
서창 14단지 LH 950세대 2020년 1월
서창 15단지 LH 678세대 2017년 12월
부평구
삼산주공 1단지[영구임대]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 1,764세대 1991년 8월
갈산주공 1단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갈산동 1,650세대 1992년 6월
갈산주공 2단지[영구임대] 1,170세대 1992년 5월
일신주공[26]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신동 967세대 1995년 11월
부개주공 1단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개동 1,044세대 1996년 11월
부개주공 2단지[27] 446세대 1996년 10월
부개주공 3단지 1,724세대 1996년 10월
부개주공 5단지 960세대 1998년 6월
부개주공 6단지 1,240세대 1997년 10월
부개주공 7단지 957세대 1998년 6월
삼산미래타운주공 1단지[28]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 608세대 2000년 6월
삼산미래타운주공 2단지 684세대 2000년 8월
삼산미래타운주공 3단지 946세대 2000년 7월
삼산미래타운주공 4단지 968세대 2000년 9월
삼산미래타운주공 5단지 620세대 2000년 5월
삼산타운 1단지[29] 1,873세대 2005년 6월
삼산타운 2단지 두산아파트[30] 1,622세대 2005년 10월
삼산타운 4단지 1,696세대 2004년 7월
삼산타운 6단지 784세대 2004년 8월
삼산타운 7단지 1,314세대 2004년 8월
십정 뜨란채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 920세대 2005년 7월
삼산3 휴먼시아 1단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 870세대 2010년 6월
부평LH 1단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297세대 2012년 7월
부평LH 2단지 704세대 2012년 7월
계양구
계산주공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1,140세대 1990년 6월
동양주공 1단지 인천광역시 계양구 동양동 654세대 2006년 5월
동양주공 2단지 701세대 2006년 5월
동양 한진해모로[31] 478세대 2006년 6월
동양주공 4단지 324세대 2006년 10월
박촌 휴먼시아 인천광역시 계양구 박촌동 230세대 2009년 12월
서구
가좌주공 1단지[32]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 1,630세대 1982년 6월
가좌주공 2단지[33] 1,000세대 1983년 12월
신현주공[34] 인천광역시 서구 신현동 1,850세대 1983년 ?월
석남주공 1단지[35]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 ?세대 198?년 ?월
석남주공 2단지[36] 400세대 198?년 ?월
마전주공 인천광역시 서구 왕길동 621세대 2004년 4월
청라LH 4단지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1,767세대 2011년 9월
가정LH 3단지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 1,525세대 2012년 11월
LH 웨스턴블루힐 1,243세대 2015년 8월


[1] 재건축 중인 아파트도 포함[2] 이 아파트는 재건축이 아니라 수봉공원 확장으로 인해 철거되었다. 여타 주공아파트와 달리 새 아파트로 재건축되지 않은 이유는 이 일대가 고도제한에 걸렸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 자리에는 인공폭포와 광장, 수봉도서관이 있으며, 이 일대 지적편집도를 자세히 보면 지금도 이 아파트의 흔적이 남아있다.[3] 1, 2단지 합쳐서 2008년 주안 더 월드 스테이트로 재건축되었다. 3단지는 간석동풍림아이원으로 1, 2단지보다 앞서서 재건축되었다.[영구임대] 영구임대아파트[PC] 조립식 공법 아파트.[6] 간석주공과 평수 차이만 있지 간석주공으로 취급되던 아파트로,(단, 간석맨션은 사채로 건설했으나, 간석주공은 국민주택과 임대주택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간석금호어울림으로 재건축되었다.[7] 간석래미안자이로 재건축되었다.[8] 구월 힐스테이트 롯데캐슬골드로 재건축 되었다. 정확히는 구월주공 1, 3단지가 재건축 된 단지가 힐스테이트이고, 구월주공 2단지가 재건축 된 단지가 롯데캐슬 골드이다. 본래 '퍼스트시티'라는 독자 브랜드를 쓸 예정이었다.[9] 횡단보도 하나를 놓고 갈라져 있던 1, 2단지와 달리 간석동 소재의 아파트였다. 2004년 간석동풍림아이원으로 재건축되었다.[a] 재건축 안전진단 통과[a] 재건축 안전진단 통과[a] 재건축 안전진단 통과[a] 재건축 안전진단 통과[a] 재건축 안전진단 통과[a] 재건축 안전진단 통과[영구임대] [PC] [PC] [19] 위에 있는 논현주공과 휴먼시아 1,2단지는 비슷한 이름으로 여러 사람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1998년 현재 논현 1지구에 논현주공 1, 2단지가 들어오고 2008년에는 논현 2지구에 숲속마을 1단지와 범마을 2단지가 생겼다. 그러자 지역주민들과 택시기사들은 혼란에 빠졌는데, 예를 들면 범마을 2단지에 집들이를 하러 온 사람들이 주공 2단지에서 헤매고 있고, 택시기사들은 손님이 '논현주공 2단지 갑시다.'라고 하면 원래 주공 2단지에 내려줘야 할 사람을 범마을 2단지에 내려준적도 있다. 그러니 택시를 타고 논현주공 1,2단지를 가려고 하면 기사에게 '구주공 1,2단지로 가주세요~'라고 하면 되고 숲속마을이나 범마을로 가려고 하면 '숲속마을 또는 범마을로 가주세요~'라고 하면 된다.만약 이름을 외우기가 귀찮으면 그냥 휴먼시아 1,2단지라고 말해도 된다.[20] 1998년에 세워진 주공단지에서 이에 대해서 변경해주거나 1, 2단지에도 마을 이름 지어서 다른 1, 2단지와 구별해 줄것을 한국토지주택공사에 청원하였지만 무슨 이유에선지 몰라도 반려되었다. LH에서 주공 1,2단지의 외부를 재 도색할때 1단지에 사리울 마을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기는 했으나 지역주민들 사이에서 주공 1,2단지는 구 주공아파트단지로,휴먼시아 1,2단지는 숲속마을과 범마을로 굳혀지는 분위기이다.(또는 그냥 휴먼시아라고 부르기도 한다.)[21] 2021년 11월에 향촌 휴먼시아 1단지에서 명칭이 변경되었다.[22] 서창 3단지라고도 불린다.[23] 본래 서창 7단지 LH였으나 명칭이 변경되었다.[영구임대] [영구임대] [26] 원래 2단지로 건설하려고 했으나, 실제로는 1단지만 건설하였다. 2단지 부지는 풍림산업에게 매각되어 풍림아파트로 건설되었다.[27] 공공임대[28] 삼산1동이다.[29] 여기는 삼산2동이다. 4단지는 국민임대주택.[30] 해당 턴키설계도집에서 해당 아파트의 도면이 확인되어 주공에서 발주했음을 알 수 있다.[31] 본래 동양뜨란채 3단지였으나 명칭이 변경되었다.[32] 2003년 말에 철거되어 2007년 9월 가좌 한신휴플러스로 재건축되었다.[33] 2015년 8월에 철거되어 2017년 11월 가좌 두산위브 트레지움으로 재건축되었다.[34] 2006년 8월에 철거되어 2010년 4월 루원 e편한세상 하늘채로 재건축되었다.[35] 인천 석남 금호어울림으로 재건축되었다.[36] 서인천 월드 메르디앙으로 재건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