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2:22:13

Mapleland/직업/나이트로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Mapleland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41338>
파일:MapleLand-logo.png
Mapleland
구현 직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보기 · 숨기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개별 문서가 없을 시 취소선빅뱅 전 직업 스킬 문서로 연결됨
전사
파일:메이플스토리 전사_서비스 초기.png파일:attachment/untitled_25.png파일:attachment/maple_dark_knight.png
히어로 팔라딘 다크나이트
마법사
파일:1547627299884.png파일:메이플스토리-구썬콜.png파일:메이플스토리-구클레릭.png
아크메이지(불,독) 아크메이지(썬,콜) 비숍
궁수
파일:궁수1.png파일:attachment/untitled_22.png
보우마스터 신궁
도적
파일:나이트로드_서비스초기.png파일:도적1.png
나이트로드 섀도어

}}}
}}}
}}} ||
1. 개요2. 평가
2.1. 장점2.2. 단점
3. 스킬4. 관련 문서

1. 개요

메이플랜드나이트로드 직업을 설명하는 문서.

2. 평가

자본이 많다는 가정하에 법사와 함께 0티어로 평가받을 정도로 성능이 좋고, 표창을 날리는 도적이다보니 멋있기도 하기에 인기도 많은 직업이다. 보통 고자본으로 갈 수록 더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기에 본캐는 썬콜이나 비숍으로 키우고 부캐로 키우는 사람이 많다.[1] 3차가 나오면 폭망하는 섀도어와 달리 미래시도 좋다.

참고로 도적 직업군은 캐릭터 성별에 따라 성능이 갈리는데, 여캐로 생성해야 성능 상 유리하다. 왜냐하면 남캐가 착용할 수 있는 전신갑옷은 100제 이전까지 전 직업 공용이자 스텟이 없는 파란색 가운 뿐이지만, 여캐는 기본 스텟이 4 붙어있는[2] 35제 전신갑옷인 후르츠를 착용할 수 있기 때문.[3] 다만 극한의 가성비를 챙기기 위해 전신갑옷 대신 상하의를 착용한다면 캐릭터 성별과는 무관해진다.

2.1. 장점

2.2. 단점


3. 스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이트로드/RED 이전 스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관련 문서


[1] 법사 출신 유저 입장에서 전사는 2차 약체[26]에 근접 뚜벅이라 텔레포트 기동성에 익숙한 법사 유저가 적응하기 어렵고, 궁수는 3차 구간 약체에 4차 마스터리북의 압박이 매우 심하며[27], 섀도어는 최악의 3차 구간을 버텨야 한다. 즉 부캐로 선택할만한 타 직업은 결국 표도 외에 없다.[2] 상옵일 시 5. 드랍 역시 레츠와 블록퍼스, 좀비루팡 등 인기가 많거나 꾸준한 수요가 있는 몬스터에서 드랍되어 구하기도 어렵지 않다.[3] 그럼에도 남캐가 훨씬 많기 때문에 주문서 작이 된 전신갑옷은 남캐 전용 전신이 더 구하기 쉽다. 대신 노작 전신갑옷은 여캐가 더 저렴하다. 표도조차 이 정도인데 성능 차이가 거의 없는 타 직업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4] 타 직업의 경우 고자본이어도 전사는 필요 명중의 부담이 있고, 법사는 속성이 맞아야 하며, 궁수는 1:1 성능이 허밋보다 떨어짐은 물론 점프샷이 불가능해 사냥터 선정에 제약이 있다.[5] 다만 표도 역시 메타에 맞지 않은 적도 있었다. 시련의 동굴이 최종 사냥터였던 시절엔 전사나 썬콜에게 밀렸고, 리프레 미나르 숲 지역만 있던 시절도 원거리 격수에게 불리해서 초고자본+초고렙이 아닌 이상 기를 못 편 적이 있었다.[6] 불독과 전사 직업군은 2차, 히어로, 섀도어, 궁수 직업군은 3차, 썬콜은 4차가 약해 육성 난이도가 급상승하며, 자연스레 폐사율이 급증한다.[7] 1차부터 4차까지 안정적인 성능을 보여주며, 재미 또한 갖춘 직업이기 때문에 비숍을 제외하면 가장 많은 인구수를 자랑한다.[8] 타 직업 기준 고자본 세팅이 표도 기준으로는 중자본에 그치는 수준이니 무시 못할 차이다.[9] 60부터 100까지 빠른 레벨링을 위해 갈 수 있는 사냥터는 죽숲, 마데, 붉켄 옥상 자리 등 사실상 쩔 위주로 돌아가는 곳 뿐이라 레벨링하다 재산을 탕진하기 쉽다.[10] 사실 파티 구직은 자본보단 직업에 많이 좌우된다. 법사 직업군 등은 속성만 맞다면 저자본이어도 구직이 쉬운 반면, 2차 약체인 전사 직업군, 그리고 3차 약체인 시프마스터나 크루세이더, 궁수 직업군 등은 딱 들어맞는 특정 사냥터를 제외하면 아무리 고스펙이어도 상위호환 직업의 존재로 인해 구직 난이도가 안드로메다로 날라가서 육성이 매우 어렵다.[11] 그렇기에 차라리 신궁을 키우라는 의견도 보이나, 궁수의 3차 성능은 초고자본조차 무ㆍ저자본 표도보다 약해서 파티 구직이 매우 어렵고, 그 고생을 하며 4차 전직까지 도달해도 궁수 직업군의 마스터리북은 수급 난이도가 극악이라 운이 없으면 스킬 뚫는 데만 몇 십억이 넘는 자본이 깨진다. 그렇다고 앵벌이가 특출난 것도 아니기에, 결론적으로 자본 관계 없이 원거리 격수를 하고 싶다면 표도가 가장 무난한 선택지다.[12] 물론 듀파 등 80 레벨대 이후에 가는 사냥터부턴 스펙을 깐깐하게 따지기 시작한다.[13] 언데드 기준 힐로 체력을 채우면서 공격이 가능하며, mp 이터로 마나도 채워지기 때문에 가능하다.[14] 파풀라투스 0.8%, 다크코니언 0.0003%.[15] 다크와이번 0.002%, 좌붕 6%.[16] 피아누스 자체는 샤프아이즈 때문에 많이 잡히지만 리젠 시간이 매우 긴 필드 보스고, 기여도와 관계없이 소유권이 돌아가기에 스틸의 위험도 크다. 그야말로 무법지대.[17] 같은 대표 격수였던 보마는 폭시+샤프+보엑+집중이 있고 히어로는 브랜+어콤+인레에 스탠스로 간접적으로 dps를 높일 수 있다.[18] 표창 값만 해도 다른 직업 어지간한 세팅 값이 나오는데 나로는 여기에 더해 비싼 장비값을 마련해야 해서 정말 많은 자본이 필요하다. 장비도 상옵 60% 5작급 정도로는 택도 없고 기본 10% 3장 급으로 발린 장비가 필요하다.[19] 샤프아이즈 30으로 인한 dps 증가량이 무려 1.53배이다.[20] 그렇기에 시간과 자본이 넉넉한 표도 유저 사이에선 샾캐를 마련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하지만 뻥이나 홀리 심볼과는 달리 신궁[28]최소 129까지 키워야 해 시간 소요가 크고, 샤프아이즈의 마스터리북의 가격은 한 방에 뚫는다고 가정해도 최소 8억이라는 어마어마한 거금까지 필요하다.[21] 파티에 전사가 있다면 힐케어 때문에 심알바가 어려워져 단가를 더 쳐줌에도 비숍이 꺼리는 경향이 많다. 그도 그럴 게, 일반적인 심알바는 홀리 심볼을 돌릴 때만 움직이면 되지만 전사가 있다면 매번 전사에게 가서 힐을 사용해 체력을 만땅으로 채워줘야하기 때문.[22] 이론 상 협동, 블와둥 등 표도가 가는 사냥터는 4차 궁수도 사냥할 수 있지만, 거의 보이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엄청난 물약값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23] 섀도어의 페이크가 나로보다 회피율이 10% 더 높고, 주력기인 부메랑 스탭은 퍼뎀이 마스터 기준 1,000%로 나로의 주력기인 트리플스로우(675%)와 어벤져(270%)보다 압도적으로 높은데다 사용 시 잠시동안 무적은 물론 90% 확률로 스턴까지 건다.[24] 오직 스켈로스에서 0.0002% 확률로 드랍된다. 원작에서 스켈로스는 비숍이 주력으로 잡고, 섀도어의 인구수는 적어 확률이 100제 무기급임에도 불구하고 구하기 매우 쉬웠으나 메랜에선 남둥과 죽둥의 젠률이 대폭 너프되어 가장 구하기 어려운 마스터리북 중 하나로 꼽힌다.[25] 다만 개선된 부메랑 스탭으로 인해 섀도어가 재조명 받으면서 부캐 순위가 갑작스럽게 급상승했다는 점은 변수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