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프(유희왕)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No.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width=100%> 유희왕의 No.(넘버즈) 카드 | |||||||||
No.1 | No.2 | No.3 | No.4 | No.5 | No.6 | No.7 | No.8 | No.9 | No.10 | |
No.11 | No.12 | No.13 | No.14 | No.15 | No.16 | No.17 | No.18 | No.19 | No.20 | |
No.21 | No.22 | No.23 | No.24 | No.25 | No.26 | No.27 | No.28 | No.29 | No.30 | |
No.31 | No.32 | No.33 | No.34 | No.35 | No.36 | No.37 | No.38 | No.39 | No.40 | |
No.41 | No.42 | No.43 | No.44 | No.45 | No.46 | No.47 | No.48 | No.49 | No.50 | |
No.51 | No.52 | No.53 | No.54 | No.55 | No.56 | No.57 | No.58 | No.59 | No.60 | |
No.61 | No.62 | No.63 | No.64 | No.65 | No.66 | No.67 | No.68 | No.69 | No.70 | |
No.71 | No.72 | No.73 | No.74 | No.75 | No.76 | No.77 | No.78 | No.79 | No.80 | |
No.81 | No.82 | No.83 | No.84 | No.85 | No.86 | No.87 | No.88 | No.89 | No.90 | |
No.91 | No.92 | No.93 | No.94 | No.95 | No.96 | No.97 | No.98 | No.99 | No.100 | |
No.101 | No.102 | No.103 | No.104 | No.105 | No.106 | No.107 | … | No.XX | ||
가짜 넘버즈 | ||||||||||
No.1 | No.2 | No.3 | No.4 | No.10 | }}}}}}}}} |
No.98 절망황 호프리스 |
1. 개요
유희왕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2. 설명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No.98 절망황 호프리스,
일어판명칭=<ruby>No.<rp>(</rp><rt>ナンバーズ</rt><rp>)</rp></ruby>98 <ruby>絶望皇<rp>(</rp><rt>ぜつぼうおう</rt><rp>)</rp></ruby>ホープレス,
영어판명칭=Number 98: Antitopian,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2000,
수비력=2500,
종족=전사족,
소재=레벨 4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또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 1개를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필드의 "유토피아"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고\, 대상의 몬스터를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컬렉터즈 팩 - 섬광의 듀얼리스트에서 OCG화 된 OCG 오리지널 넘버즈.
디자인이 유토피아의 안티테제인 것처럼 성능적으로도 공격력이 높아 보통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No.39 유토피아와는 달리 이 카드는 수비력이 높으므로 보통 수비 표시로 존재하게 되며. 공격을 막는 효과는 건재한 대신,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화하는게 아니라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만드는 것이 되었는데 유토피아는 '상대 몬스터가 공격 표시로 전투를 멈추지만' 이 카드는 '상대 몬스터가 수비 표시로 전투를 멈춘다.' 이 정도면 완전히 유토피아의 안티테제라 할 만하다. 그리고 효과가 수비 표시로 바꾸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 유토피아의 더블 업 찬스와의 연계는 불가능해졌으나 강력한 몬스터는 수비력이 낮은 경우가 많으므로 다음 턴의 역습을 노릴 수도 있다. 리스크 중심으로 밀고 나가던 유마의 플레이스타일과 정반대. 다만 상대가 처음부터 수비 표시 상태에서 전투하는 초중무사일 경우 의미가 없으니 주의.
또한 유토피아의 디메리트였던 자괴 효과가 사라진 대신, 1턴에 1번 프리 체인으로 유토피아 몬스터를 잡아먹으면서 묘지에서 소생하는 효과를 얻었다. 이 ②의 효과가 핵심인데 희망을 절망으로 만드는 효과이다. 또한 엑시즈 소환으로 소환하는게 아니기에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도 처리할 수 있다. 필드를 가리지 않고 상대턴에도 발동 가능하기 때문에 상대가 제대로 써먹기도 전에 먹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효과를 발동해 유토피아 카드가 엑시즈 소재가 되었다면, 이 카드를 RUM-리미티드 바리언즈 포스, RUM-누메론 포스, RUM-바리언즈 포스로 CNo.39 유토피아 레이 V, CNo.39 유토피아 레이 빅토리로 랭크 업시켜 효과를 발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실전에서는 약간의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이, 과연 이 카드를 적당한 타이밍에 묘지로 보낼 수 있을까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현실적으로 봤을 때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을 잡아먹기 위해서 미리 이 카드를 낼 경우에는 조총사 카스텔같은 몬스터한테 당하기 쉽다. 그렇다고 상대가 라이트닝을 이미 한 번 소환했다면 이 카드를 소환하는 것 보다는 역시 조총사 카스텔 같은 카드를 소환해서 그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을 되돌리는게 유리하다.
링크 소환으로 도입된 링크 몬스터가 수비 표시라는 개념이 없기에 현 메타에선 그저 고자신세이다. 그나마 공격력 2500 이상의 범용 링크 몬스터가 많지는 않다는 게 위안.
절망신 안티호프의 영미권 명칭이 디스토피아로 번역되었는데, 이 카드의 번역명은 '안티토피안'이 되었다. 실제로 사용되는 단어는 아니고 'Anti Utopian'을 붙여 쓴 것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섬광의 듀얼리스트 | CPF1-KR027 |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섬광의 듀얼리스트 | CPF1-JP027 | 슈퍼 레어 컬렉터즈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Dragons of Legend: Unleashed | DRL3-EN027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Dragons of Legend: The Complete Series | DLCS-EN123 | 노멀 | 미국 |
3. 모티브/설정
전신 일러스트 |
츠쿠모 유마의 에이스였던 No.39 희망황 호프[1]가 암흑에 물든 모습. '희망'의 반대인 '절망'으로 수식되며, 속성도 빛에서 어둠으로 변경. 공/수 수치도 서로 맞바뀌었고, 어깨에 적힌 넘버링의 위치도 달라졌다.
전체적인 컬러링은 No.39 희망황 비욘드 더 호프의 색반전으로, 흑색 슈츠 위에 백색 장갑을 더한 비욘드 더 호프와 반대로 백색 본체에 검은색 장갑을 쓰고 있다. 다만 레벨이나 스텟에서 볼 수 있듯 진화형인 비욘드 더 호프의 반전체라기보다는 기본 형태인 희망황 호프의 반전체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디자인 베이스는 호프에 가깝다. 안면을 전신으로 커버하는 검은 마스크를 대신 하얀 마스크를 하고 있으며, 뿔이 휘는 방향 역시 다르다. 여기에 호프에서는 아깨 장갑의 아랫부분이 윗부분을 감싸고 위로 돌출하는 방식인 것에 반면, 호프리스는 윗부분이 아랫부분 위에 덧씌워진 형태이다. 날개 접속 부위 역시 반대로 휘어 있으며, 호프 같은 한쪽 날 단도 대신 CNo.39 희망황 호프 레이의 등에 장비된 양날의 대검 같은 것을 쓰고 있다. 가슴의 코어 역시 호프 계열 몬스터의 원형이 아닌 삼각형. 그리고 여기에 누더기 같은 검은색 망토를 두르고 있다.
다른 호프 시리즈와는 이질적인 면이 매우 커서인지, 유희왕 듀얼링크스의 유마&아스트랄(유희왕 듀얼링크스)에는 제알 종영 이후 출시된 몬스터 중 이 카드보다 대략 2년 이후에 나온 No.39 희망황 호프 더블에 대한 특수대사가 있음에도 어째서인지 이 몬스터에 대한 특수대사는 누락되었다. 이후에 더 늦게 추가된 OCG 오리지널 넘버즈인 용장합체 드래고닉 호프레이 역시 제알 버전으로 수록되었는 데도 말이다.[2] 더 흥미로운 점은 현재 듀얼링크스에 유마의 스킬인 "오노마토 변화"에는 이 카드와 빛 속성 '호프', '유토피아' 엑시즈 몬스터가 합계 2장 이상 엑스트라 덱에 포함되는 것을 조건으로 삼는다. 이 카드 외에 어둠 속성 '호프' 엑시즈 몬스터는 No.XX 인피니티 다크호프도 있음에도 굳이 '어둠 속성' 호프를 조건에 추가하거나 그냥 '호프' 엑시즈 몬스터라고 조건을 붙이는 방법이 있음에도 안 한 것을 보면 이 카드는 여러모로 특별 취급인 듯.[3]
공개될 무렵 하필이면 유희왕 ARC-V에서 마침 유토피아와 성우가 같은데 성격은 정반대인 캐릭터가 절찬리에 충격과 공포의 활약을 펼치다 절망적인 죽음을 맞이했던 탓에, 이 카드야말로 세르게이의 분신이 아니냐는 드립이 팬들 사이에서 나오기도 했다.
주인공이 희망을 상징한다면 절망을 상징하는 적의 등장은 일본 창작물에서 흔히 나오는 클리셰 중 하나이기 때문에 희망황 호프의 안티테제로서 절망의 이름을 쓰는 카드는 절망황 호프리스 외에 코믹스 유희왕 ZEXAL에서 등장하는 절망신 안티호프가 있다. 또한 절망을 상징하지는 않지만 ARC-V에서는 호프의 다크화스러운 이름을 가진 No.XX 인피니티 다크호프가 등장하였다. 다만 이쪽은 이름만 호프와 관계가 있지, 외형은 완전 딴판이다.
3.1. 왜 하필 98인가?
넘버링인 98은 원본이라 할 수 있는 No.39 유토피아와의 관련성을 찾아보기 힘들기에, 이에 대해 설이 분분하다.- 고로아와세 설: 98을 고로아와세로 읽을 경우, '쿠하', 혹은 '쿠야'가 되는데, 이것이 '공백(쿠우하쿠)', 혹은 '분함(쿠야시이)'을 암시한다는 설.
- 반전이 선점당함: 39의 반전인 93은 No.93 유토피아 카이저가, 넘버즈 특유의 숫자 표기에서는 39와 회전대칭이 되는 62는 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이 선점해서 들어갈 자리가 없었다는 설. 다만 이것은 '왜 하필 No.98인가'[4]에 대한 설명으로는 부족하다.
- 대비 설: 바로 다음 번호가 넘버즈의 정점이라 할 수 있는 No.99 희망황룡 호프드라군이기 때문에, 정규 넘버즈 중에서는 99번 다음으로 큰 번호인 이 카드는 호프의 다크화로 대조를 부각한 것이라는 설.
- 이후 공개된 No.97 룡영신 드래글라비온까지 No.95~98로 이어지는 반전체 라인업 완성 설: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No.96 블랙 미스트-아스트랄, No.97 룡영신 드래글라비온-No.46 신영룡 드래글루온, No.98 절망황 호프리스-No.39 유토피아로 95~98의 넘버즈가 전부 반전체 컨셉을 가지게 되었다는 설.
4. 관련 문서
[1] 본 항목에서는 안티테제성을 강조하기 위해 유토피아가 아닌 원래의 이름인 호프로 서술.[2] 호프리스와 동일한 컨셉인 룡영신이 소환영창까지 받은 것과는 대조적이다.[3] 아무리 주인공이 쓰지 않을 법한 다크 몬스터라지만, 이미 듀얼링크스에서는 요한에 레인보우 다크 드래곤의 특수대사도 있고, 유우기한테도 오리컬코스의 결계 등, 캐릭터들이 흑화했을 때 사용한 카드들의 특수대사가 존재한다. 이를 보면 녹음 중 호프리스의 존재를 잊었다거나 하는 이유로 보인다. 듀얼링크스에서는 모든 카드들의 대사가 녹음되어 있는 게 아니기도 하고 말이다.[4] 단순 숫자 채우기용 넘버즈라면 이 카드의 공개 시점에서는 No.24 / 26 / 29 / 41 / 59 / 60 / 68 / 71 / 76 / 89 / 97의 11자리나 남아 있었으니, 굳이 98이 아니어도 들어갈 자리는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