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2:50:27

원웹

Oneweb에서 넘어옴

🛰️ 위성 통신 시스템
이리듐 계획글로벌스타투라야인마샛스타링크원웹

<colbgcolor=#f9505b><colcolor=#fff> 유텔샛 원웹
Eutelsat OneWeb
파일:Eutelsat_OneWeb_Logo_Group_Stacked_Coral_RGB-500x151-f0b70d2.png
국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설립 2012년 ([age(2012-07-01)]년차)
창업주 그렉 와일러
전신 WorldVu Satellites
모기업 유텔샛 그룹 (2022년~ )
자회사 OneWeb Satellites
대표자 에바 버니키 (CEO)
본사 잉글랜드 런던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배구조4. 위성의 구조 및 스펙
4.1. 안테나4.2. 크기4.3. 통신4.4. 태양광 반사 문제?
5. 발사 미션 일람6. 파트너 및 투자자
6.1. 지구국 설치
7. 대한민국과의 관계8. 여담

[clearfix]

1. 개요

648기의 저궤도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전 지구에 인터넷을 공급하겠다는 영국위성 인터넷망 관련 스타트업이다.

2. 역사

2012년 영국 런던에 본사를 설립했다. 창업주는 과거 O3b Networks[1] 라는 위성통신 업체를 설립했던 그렉 와일러이다.[2] 일론 머스크는 무언의 사건으로 인해 와일더와의 관계가 파국에 이르렀고, 이후 새로 설립한 서비스가 스타링크다.

2015년부터 유럽 항공업체 컨소시엄인 에어버스와 합작[3]하여 원웹의 위성을 도맡아 생산할 OneWeb Satellites라는 자회사를 설립[4]하였으며, 2017년 2월부터 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최대 생산속도로 제조시 하루에 위성 2기를 만들 수 있다고 한다.기사

이후 2019년 2월부터 발사를 시작했으며, 그 해 5월 첫 발사가 이루어진 스페이스X 스타링크와 함께 저궤도 위성 인터넷 시대를 열었다.

예정대로면 2021년 중으로 전세계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었으나, 2020년 초 세계적인 신종 전염병 확산의 여파로 기존 대주주였던 소프트뱅크 그룹이 원웹의 추가 투자를 중단하여 법정관리 신세를 지는 동안 위성의 추가 생산 및 발사가 지연되었다.

2020년 3월 20일, 원웹이 파산보호 신청을 검토중이라는 내용의 기사가 올라왔다. 위성 발사에 필요한 자금 부족 문제가 원인이라고 하는데, 코로나바이러스 범유행으로 인한 주가 폭락과,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가 현재 난항을 겪고 있는 것 또한 한 몫 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현재 위성인터넷 시장에서 독보적인 양의 위성을 발사하고 있는 스타링크와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대기업인 아마존닷컴의 프로젝트 카이퍼 등 아직 스타트업에 불과한 원웹에게 이러한 거대 기업의 움직임은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2020년 3월 28일, 원웹이 소프트뱅크 그룹을 포함한 기존 투자자들에게 자금 확보를 시도할 예정이나, 어려울 경우 파산보호 신청을 할 예정이라는 뜻을 밝혔다. #

같은 날, 파산보호 신청과 관련한 원웹의 공식 성명서가 올라왔다. 본문 내용에 따르면 원웹은 챕터 11 파산보호 신청을 미국 파산법원에 제출했으며 이같은 과정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 할 것이라고 한다. 투자금 확보 시도가 코로나19와 관련한 불안정한 시장 상황에 제대로 진행되기 못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최종적으로는 사업의 매각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원웹은 법정관리 중에도 업무를 계속 진행하면서도 추가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파이낸셜 타임즈에 의하면 2020년 4월에는 당시 원웹의 전 직원 531명 가운데 85%가 재무상황 악화로 인해 해고되는 일까지 있었다고 한다.

2020년 7월 초, 매각 절차가 완료되었다. 원웹은 기존의 투자자였던 인도의 바르티 글로벌에 10억 달러에 인수되었고, 영국 정부는 여기에 5억 달러를 투자해 2대 주주가 되었다. 영국 정부와 바르티 글로벌은 컨소시엄을 구성하였지만, 기업의 운영은 인도의 바르티 글로벌이 혼자 하게 된다. 영국 정부가 사기업에 투자한 이유는 브렉시트로 영국이 유럽 연합의 갈릴레오 군사용 위성 항법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게 되자 자국 기업 원웹의 인터넷 위성으로 자체 항법 시스템 구축을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후 항법 신호 송출 기능이 포함될 위성은 현재 구축중인 1세대 저궤도 위성이 아닌 2024-25년 경 중궤도에 구축될 2세대 위성임이 확인되었다.[5]

2020년 11월 20일, 원웹이 공식적으로 법정관리를 벗어나기 위한 모든 절차를 끝마쳤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원웹은 약 8개월만에 법정관리 상태를 벗어났고, 같은 해 12월 18일부터 위성 인터넷망을 구축하기 위한 위성 발사 또한 재개할 수 있게 되었다.

원웹을 인수한 인도 Bharti Enterprise 회장[6]의 말에 따르면, 2022년 5~6월이면 충분한 커버리지를 확보하여 전 세계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한다.[7]

현재 원웹은 위성 항법 기능이 내장된 차세대 위성의 개발 계획을 공개하고, OneWeb Satellites 공장의 본격적 생산 체제로의 복귀 소식을 알리는 등 법정관리 이후 기업 정상화를 향한 수순을 밟고 있는 듯 하다.

2021년 1월 5일, 기존 투자자였던 소프트뱅크 그룹과 Hughes로 부터 다시 총합 14억 달러(약 1조 5000억 원)의 투자를 받았다. 공식 성명에서, 원웹은 이번 투자를 통해 2022년 까지 위성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다만,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 포트폴리오에 원웹이 없는 것으로 볼 때, 다시 비전펀드를 통한 투자를 받게 되지는 않을 것 같다.

2021년 3월 1일, 원웹을 운영하는 인도 Bharti 그룹 회장은 2024-25년 경 구축될 원웹의 2세대 위성에 위성간 링크 기술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원웹은 현재 구축되고 있는 1세대 위성군을 통해 2021년 10월 북위 50도부터 북극 극점까지의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고, 이후 648기 위성으로 구성된 1세대 위성망의 구축이 완료되는 대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단, 원문에서 위 내용에 대해 'wholesale-only' 정책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어 개인 대상 서비스에 대한 계획은 아직 불투명한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영국 정부가 원하는 원웹 위성을 기반으로 한 자체 '위성 항법 시스템'은 2세대 위성망에서 구축될 것이라고 전했다.

2021년 3월 19일, 원웹이 플로리다 멜버른에 위치한 자사 서비스 시연 시설에서 미 국방부(DoD) 관계자와 접촉하여 원웹 위성망의 성능을 시연했다. 해당 시연에서 110기의 원웹 위성 네트워크는 최대 500Mbps의 대역폭과 최저 32ms의 지연율을 나타내었다고 전했다. 덧붙여, 원웹은 이어 4월에도 미국 특수작전사령부(SOCOM)와 중부사령부(CENTCOM)의 요청에 따라 추가적인 시연을 진행할 예정임을 밝혔다. 3월 시연 영상

2021년 4월 27일, 원웹이 유텔샛으로부터 5억 5천만 달러(한화 약 6,100억 원)를 투자받았음을 발표했다. 공식 성명에서 원웹은 이번 투자를 통해 필요 자금의 80%를 충족하게 되었으며, GEO(정지궤도 위성)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8] 더 많은 고객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1년 6월 29일, 작년 7월 영국 정부와 컨소시엄을 결성하며 원웹을 인수했던 인도 Bharti Global이 원웹에 추가로 5억 달러(한화 약 5,670억 원)를 투자하였다. 이로써 Bharti Global은 원웹의 대주주가 되었다.

2021년 8월 12일, 대한민국의 방산 및 ICT 사업체인 한화시스템에서 원웹에 3억 달러를 투자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투자는 2022년 이뤄질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은 투자 이후 이사회에도 합류할 것이라고 밝혔다. #

2022년에 발생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영향으로 서방 국가들과 러시아의 관계가 악화되자 영국 정부가 대주주인 원웹과 러시아의 위성 발사 계약이 종료 되었다. 앞으로 원웹은 첫 위성 발사부터 이용해온 소유즈 대신 위성 인터넷 사업에서 경쟁 관계이기도 한 스페이스X의 로켓을 사용하게 된다.

2022년 7월 26일 유텔샛이 원웹을 인수하겠다고 밝혔다.

2023년 9월 유텔샛의 인수건이 최종 승인되었다. 유틸샛 그룹을 신설하여 유틸샛과 원웹을 자회사로 두는 구조.

3. 지배구조

주주명 지분율 비고
파일:인도 국기.svg Bharti Enterprises 30%
파일:영국 국기.svg UK gov. 17.6%
파일:프랑스 국기.svg Eutelsat 22.9%
파일:일본 국기.svg 소프트뱅크 그룹 17.6%
파일:한화 로고.svg한화 8.8%
Hughes Network Systems 3.1%

4. 위성의 구조 및 스펙

파일:oneweb-satellite.jpg 파일:ship01-Copyright-Airbus-OneWeb-Satellites.jpg
전개된 위성의 상상도 공장에서 생산중인 원웹 위성

원웹은 현재 구축중인 고도 1200km 궤도의 1세대 위성군과 함께 중궤도에 위치할 2세대 위성군을 계획하고 있다.
아직 2세대 위성군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는 없는 상태이긴 하지만, 계획 위성 수 감축에 관한 공식 성명을 통해 저궤도 위성군을 포함한 원웹 인터넷 위성군의 최종 규모는 대략 7,000기 정도가 될 것임을 알 수 있다.

4.1. 안테나

2개의 태양 전지판과 16개의 가로형 스팟 빔[9] 안테나[10], 그리고 2개의 피더 링크[11] 안테나가 장착되어 있다. 원웹 위성 한 기당 1,720,000km² 면적의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대략 알래스카 정도의 면적이다.

4.2. 크기

크기는 주로 소형 세탁기 크기 정도이며, 정확한 크기는 1m x 1m x 1.3m 이다.[12] 무게는 에어버스에 따르면 150kg 정도 된다고 한다.

4.3. 통신

위성은 TT&C 주파수[13]로 Ka 밴드[14]에 속하는 8개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유저 터미널은 Ku 밴드[15]의 10개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아 사용할 예정이다.

또한 원웹 위성은 극궤도[16]를 도는 위성이므로 이리듐 위성 네트워크처럼 완벽한 전 지구 서비스가 가능할 예정이다.

다만, 원웹은 1세대 위성군에 한하여 비용 및 일정상의 문제로 위성간 링크[17] 기술을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는 일단 원웹이 위성인터넷 자체를 구현할 수 있음을 증명하여 추가 투자를 받아내기 위한 어쩔 수 없었던 선택으로 보여진다.

이후, 2024-25년 경 구축이 완료될 2세대 위성에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와 같이 레이저 링크 기술을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와는 별개로, 원웹은 지구상 44개 지역에 지구국 설치를 진행하는 중이다.[18] 참고로, 1세대 위성은 레이저 통신 장비가 탑재되어 있지 않아 모든 위성이 올라간 상태에서도 개별 위성들은 지구국의 신호 도달 거리를 벗어나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1세대 위성망으로 지구 전역을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빈틈없는 지구국 설치가 선행되어야 한다.
How OneWeb's Connectivity Works
원웹의 위성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는 영상이다(영어). 저궤도 위성은 정지궤도 위성과는 달리 계속 위치가 변하므로 위성과 위성 간 스팟빔이 겹치는 지점에서 다음 위성과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인터넷 연결이 끊기지 않도록 한다. 1분 14초에 등장하는 다운로드 시뮬레이션은 그럴거면 대체 넣은건지 모르겠다[19]
How OneWeb's system works
새로운 버전의 원웹 소개 영상이 올라왔다.[20] 이 영상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추가되었다.
1. 고정형 유저 터미널의 모습이 나온다. 출시 때에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을 만한 크기의 유저 터미널도 출시할 것이라고 한다. 요트나 비행기에서 쓰면 딱 좋겠다.
2. 다운로드 속도가 기존 원웹의 설명과는 다르게 400Mbps가 아닌 최대 195Mbps로 나온다. 업로드는 최대 32Mbps. (42초 지점) 이에 대해 해외 커뮤니티에서는 원웹이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위성의 성능을 속였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21]
3. 수명이 다 한 위성을 다시 대기권으로 떨어뜨려 제거하는 부분을 소개한다. 과거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온 우주 쓰레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파트너사인 Altius Space Machines와 협력하여 청소 위성이 고장난 원웹 위성에 직접 접촉, 이를 잡아서 대기권으로 떨어뜨릴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조물을 부착하였다고 한다. 영상 물론 정상 위성의 경우에는 다른 위성처럼 원격으로 재진입시킬 수도 있다.

4.4. 태양광 반사 문제?

저궤도 위성을 이용한 고속 위성인터넷 분야에서 앞장서고 있는 스타링크의 경우 2019년 첫 발사 후 위성의 안테나와 태양 전지판에서 예상치 못한 태양광 반사 문제가 드러났다. 이후 위성에 검은 도료를 칠한 '다크샛' 이나 태양광 차양막을 설치한 '바이저샛' 등 태양광 반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는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스타링크 트레인(Starlink Train) 참조.

원웹의 경우에는 일단 스타링크 대비 아직까지 특별한 빛 반사 문제가 관측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는 안테나의 구조, 태양 전지판의 배치 등이 스타링크와 다른 것에서 오는 것일 수도 있으나, 가장 큰 이유는 스타링크와 원웹의 고도 차이인 것으로 보인다. 원웹은 1,200km, 스타링크는 550km 궤도를 사용하고 있다.

지난 2020년 12월 arXiv에 올라온 The brightness of OneWeb Satellites 라는 제목의 논문에 따르면 원웹 위성은 1,200km 고도에서 가장 밝을 때 절대등급 7.58의 밝기를 보인다. 이는 스타링크 위성 초기 모델의 절대등급 4.63[22]보다 어두운 수치였고, 스타링크에서 개선책으로 태양광 차양막을 적용하여 밝기가 약 31% 감소한 바이저샛의 절대등급 5.92(+/-0.04)[23]보다도 상당히 어두운 수치이다. 또한, 해당 논문의 결론에서 두 위성의 고도가 비슷했다면 밝기 또한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여기서 고도가 위성의 밝기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5. 발사 미션 일람

순번 미션 번호[24] 발사일시(UTC) 발사장 발사체 탑재 수 상태
1 VS21 2019년 2월 27일 21:37 기아나 우주센터 ELS 소유즈-2.1b/ST[25] Fregat-MT
[26]
6 성공
2 ST27 2020년 2월 6일 21:42:41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Site 31/6 소유즈-2.1b Fregat-M 34 성공
3 ST28 2020년 3월 21일 17:06:58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Site 31/6 소유즈-2.1b Fregat-M 34 성공
4 ST29 2020년 12월 18일 12:26:26 보스토치니 우주기지 Site 1S 소유즈-2.1b Fregat-M 36 성공
5 ST30 2021년 3월 25일 02:47:33[27] 보스토치니 우주기지 Site 1S 소유즈-2.1b Fregat-M 36 성공
6 ST31 2021년 4월 26일 22:14 보스토치니 우주기지 Site 1S 소유즈-2.1b Fregat-M 36 성공
7 ST32 2021년 5월 28일 17:38[28] 보스토치니 우주기지 Site 1S 소유즈-2.1b Fregat-M 36 성공
8 ST33 2021년 7월 1일 12:48 보스토치니 우주기지 Site 1S 소유즈-2.1b Fregat-M 36 성공
9 ST34 2021년 8월 21일 22:13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Site 31/6 소유즈-2.1b Fregat-M 34 성공
10 ST35 2021년 9월 14일 18:07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Site 31/6 소유즈-2.1b Fregat-M 34 성공
11 ST36 2021년 10월 14일 09:40 보스토치니 우주기지 Site 1S 소유즈-2.1b Fregat-M 36 성공
12 ST37 2021년 12월 27일 13:10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Site 31/6 소유즈-2.1b Fregat-M 34 성공
13 VS27 2022년 2월 10일 18:09 기아나 우주센터 ELS 소유즈-2.1b/ST Fregat-MT 34 성공
14 LVM3-M2 2022년 10월 22일 18:37:40 스리하리코타 섬 사티시 다완 우주센터 GSLV- Mk.III 36 성공
15 F9 B5[29] 2022년 12월 6일 22:37 케네디 우주센터 LC-39A 팰컨 9 블록 5 40 성공
16 F9 B5[30] 2023년 1월 10일 04:50 케네디 우주센터 LC-39A 팰컨 9 블록 5 40 성공
17 F9 B5[31] 2023년 3월 9일 19:13 케네디 우주센터 LC-39A 팰컨 9 블록 5 40 성공
18 LVM3-M3 2023년 3월 26일 03:30:20 스리하리코타 섬 사티시 다완 우주센터 GSLV- Mk.III 36 성공
19 F9 B5[32] 2023년 5월 20일 13:16:33 반덴버그 우주군기지 SLC-4E 팰컨 9 블록 5 15 성공
1[33]
20 F9 B5[34] 2024년 9월 초 반덴버그 우주군기지 SLC-4E 팰컨 9 블록 5 20 예정
발사한 누적 위성 수: 634기[35]
고장 또는 퇴역 위성: 없음[36]
2023년 5월 20일 기준
※ 원웹에서 제공하는 공식 시각화 툴을 이용해 지금까지 발사된 위성의 실시간 위치 시뮬레이션과 각 지구국의 도달 가능한 최대 위성 범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세대 위성망 구축을 위한 소유즈 로켓 발사는 총 21회가 예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 위 목록 중 성공한 미션은 아리안스페이스 홈페이지의 미션 정보 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예정' 상태인 미션은 일정, 탑재 수 등이 변경될 수도 있으며, 기존 일정 사이에 새 일정의 추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정 상태 발사일정 출처

OneWeb-F6[37] 한국 시각 2019년 2월 28일 06시 37분, 원웹 위성 6기가 탑재된 소유즈-2 로켓이 발사되었다.
첫번째 발사인지라 리처드 브랜슨 버진그룹 회장을 비롯한 여러 투자자들과 그렉 와일러 원웹 창업주도 참석하였다.
모든 위성의 분리에 성공하였고, 문제 없이 궤도에 안착되었다.

OneWeb-2 한국 시각 2020년 2월 7일 06시 42분, 원웹 위성 34기가 탑재된 소유즈-2 로켓이 발사되었다.
2차 발사부터 로켓에 카메라를 장착하지 않은 것인지[38] 로켓의 모습이 지상에서 사라지면 3D 시뮬레이션으로 전환된다. 스페이스X가 위성 분리 과정까지 생생하게 보여주는 걸 생각하면 다소 아쉽다.
모든 위성의 분리에 성공하였고, 문제 없이 궤도에 안착되었다.

OneWeb-3 한국 시각 2020년 3월 21일 02시 06분, 원웹 위성 34기가 탑재된 소유즈-2 로켓이 발사되었다.
모든 위성의 분리에 성공하였고, 문제 없이 궤도에 안착되었다.

OneWeb-4 한국 시각 2020년 12월 18일 21시 26분, 원웹 위성 36기가 탑재된 소유즈-2 로켓이 발사되었다.
해당 미션은 파산 보호 절차를 끝마친 후 처음 발사한 것이라는 데 의미가 있기도 하다.
모든 위성의 분리에 성공하였고, 문제 없이 궤도에 안착되었다.

OneWeb-5 한국 시각 2021년 3월 25일 11시 47분, 원웹 위성 36기가 탑재된 소유즈-2 로켓이 발사되었다.
예정대로라면 12월 이후 매달 한 번씩 발사할 예정이었으나 1월과 2월 발사가 모두 연기되는 바람에 3월에서야 발사하게 되었다.
다시 라이브 방송에서 부스터 분리[39] 장면을 공개하였다.
이후 모든 위성의 분리에 성공하였고, 문제 없이 450km 상공의 임시 궤도에 안착되었다.
이후 위성들은 탑재된 제논 이온 엔진을 가동하여 1200km 상공의 목표 궤도까지 오르게 된다.

OneWeb-6 한국 시각 2021년 4월 26일 07시 14분, 원웹 위성 36기가 탑재된 소유즈-2 로켓이 발사되었다.
모든 위성의 분리에 성공하였고, 문제 없이 450km 상공의 임시 궤도에 안착되었다.
이후 위성들은 탑재된 제논 이온 엔진을 가동하여 1200km 상공의 목표 궤도까지 오르게 된다.

OneWeb-7 한국 시각 2021년 5월 29일 02시 38분,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원웹 위성 36기가 탑재된 소유즈-2 로켓이 발사되었다.
모든 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고, 36기의 모든 위성과 교신에도 성공하였다.

OneWeb-8 한국 시각 2021년 7월 1일 21시 48분,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원웹 위성 36기가 탑재된 소유즈-2 로켓이 발사되었다.
모든 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고, 36기의 모든 위성과 교신에도 성공하였다.
이번 발사를 통해 원웹은 위도 50도 이상의 모든 지역에 한하여 시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충분한 위성 밀도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페어링에도 "Hello North Pole!" 이라는 문구를 넣었다.

OneWeb-9 한국 시각 2021년 8월 22일 07시 13분 40초, 러시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원웹 위성 34기가 탑재된 소유즈-2 로켓이 발사되었다.
모든 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고, 34기의 모든 위성과 교신에도 성공하였다.
글로벌 연결에 대한 우리의 비전에 더가까워질수 있다.

OneWeb-10 한국 시각 2021년 9월 15일 03시 07분 19초, 러시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원웹 위성 36기가 탑재된 소유즈-2 로켓이 발사되었다.
모든 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고, 34기의 모든 위성과 교신에도 성공하였다.
이 최신 발사는 우리 전체 별자리의 거의 절반인 332개의 위성에 대한 우리의 전체 궤도 별자리를 가져옵니다.

OneWeb-11 한국 시각 2021년 10월 14일 06시 40분 10초,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원웹 위성 34기가 탑재된 소유즈-2 로켓이 발사되었다.
모든 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고, 36기의 모든 위성과 교신에도 성공하였다.
전체 배치의 절반을 달성하고 모두의 위한 안정적이고 짧은 대기 시간 연결에 대한 비전에 더 가까워졌다.

OneWeb-12 한국 시각 2021년 12월 27일 22시 10분 37초, 러시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원웹 위성 36기가 탑재된 소유즈-2 로켓이 발사되었다.
모든 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고, 36기의 모든 위성과 교신에도 성공하였다.
성공적인 발사로 올해를 마감하게되었다. 이제 별자리의 60% 이상 발사 했습니다.

OneWeb-13 한국 시각 2022년 02월 11일 03시 09분 37초, 러시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원웹 위성 36기가 탑재된 소유즈-STB 로켓이 발사되었다.
모든 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고, 36기의 모든 위성과 교신에도 성공하였다.
LEO 위성 함대의 2/3가 궤도에 있습니다.

OneWeb-14 한국 시각 2022년 10월 23일 03시 37분 40초, 인도 사티시 다완 우주 센터에서 원웹 위성 36기가 탑재된 GSLV-MK III 로켓이 발사되었다.
모든 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고, 36기의 모든 위성과 교신에도 성공하였다.
궤도에있는 LEO 위성 함대의 70% 이상을 보유하고있다.

OneWeb-15 한국 시각 2022년 12월 09일 07시 27분 48초, 미국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원웹 위성 40기가 탑재된 팰컨 9 블록 5로켓이 발사되었다.
모든 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고, 36기의 모든 위성과 교신에도 성공하였다.
LEO 위성 함대의 거의 80%가 궤도에 있다.

OneWeb-16 한국 시각 2023년 01월 10일 13시 50분, 미국 케이프 커내버럴에서 원웹 위성 40기가 탑재된 팰컨 9 블록 5로켓이 발사되었다.
모든 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고, 36기의 모든 위성과 교신에도 성공하였다.
현재 LEO 위성 함대의 80% 이상이 궤도에 있다.

6. 파트너 및 투자자

에어버스는 유럽 항공업체 컨소시엄이자 항공기 제조업체로, 원웹과 합작하여 원웹 위성 생산업체인 OneWeb Satellites를 설립하였다.
소프트뱅크는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의 IT 투자기업이다. 손정의 회장이 주도하는 대규모 벤처 투자펀드인 비전펀드에서 12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받았었다.
동아프리카의 국가 르완다도 파트너 목록에 있다. 원웹의 교육활동 일환에서 체결된 파트너십인 것으로 보인다.
카자흐스탄 정부도 원웹과 자국의 연결성 개선을 위한 MoU를 체결하였다.

그 외 기업으로 Bharti Group, 코카콜라, Grupo Sailnas, HUGHES, 인텔샛, MAXAR, 퀄컴, 버진그룹 이 있다.

이외에도 기존의 저궤도 위성통신 업체 이리듐이 향후 원웹과 이리듐 Certus[40] 서비스를 하나의 터미널로 제공하자는 내용을 담은 양해각서체결하였다. 이리듐의 입장에서 자사의 기존 서비스에 비해 원웹의 서비스가 커버리지, 속도[41], 가격 등 여러 면에서 비교해 봐도 별 차이가 없거나 훨씬 뛰어나기 때문에 때문에 미래에 다가올 위협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일단 MoU나 체결해 볼까" 정도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양해각서(MoU) 문서에서 알 수 있듯, 양해각서는 법적인 구속력이 없기 때문이다.

6.1. 지구국 설치

아래는 원웹의 지구국 설치와 관련한 정보이다.
번호 이름 설명
1 Pacific Dataport 알래스카 등 고위도 지역에 원웹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지구국을 설치하고 있다.
2 SSC[42] 플로리다에 8개의 원웹용 안테나를 설치하였다
3 KSAT[43] 원웹과 계약하여 스발바르에 지구국용 안테나를 건설하였다.

이외에도 더 많은 지구국 설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나, 이 부분은 원웹이 트위터나 홈페이지를 통해 잘 알리는 편이 아니라서 파악하기 어렵다.

7. 대한민국과의 관계

OneWeb's Satellites Deliver Real-Time HD Streaming from Space
2019년 7월 11일, 서울에서 인텔리안테크와 함께 1차로 발사된 6대의 시험용 위성의 성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실험실 환경에서 400Mbps 이상의 속도와 40ms 이하의 지연율을 뽑아내었다.

2019년 12월 4일, 원웹은 자사 위성 접속에 사용될 터미널 단말기의 제조 계약을 국내 기업인 인텔리안테크와 체결하였다. 계약 규모는 261억원 상당이다. 선박용 위성 안테나 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선두를 달리는 기업인지라 대부분의 대형 선박에는 이 회사의 안테나가 들어가는데, 이런 이유로 원웹에서 선택한 듯 하다. 베타 또는 초기 서비스 시작 국가로 대한민국이 포함될 가능성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8. 여담

개발도상국 학교의 학생들을 위해 자사 홍보 겸 교육활동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추후 위성 네트워크 구축이 완료되면 정보 접근성이 떨어지는 개도국 학교를 위해 인터넷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공급할 계획이 있는 듯 하다.
[1] 인터넷으로부터 소외된 30억 명에게 인터넷을 보급하겠다는 취지의 사명이다. 아프리카셀룰러 통신망을 구축하고 저궤도 위성 사업을 구축했다. 이후 2016년 4월 룩셈부르크의 위성통신 기업 SES가 O3b의 모든 지분을 인수하였다.[2] 냉각장치 제조업체 매각 후 닷컴버블과 부동산 투자 성공을 기반으로 창업했다.[3] 2015년 6월 15일, 에어버스의 자회사 에어버스 디펜스 앤 스페이스가 원웹의 파트너로 선정되어 위성 설계 분야에서 협력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했다.[4] 홈페이지[5] 해당 내용이 포함된 기사[6] Sunil Bharti Mittal[7] 현재는 2021년 10월 경 북위 50도 이상의 지역에서 시범 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임을 밝힌 상태이다.[8] 정지궤도 위성은 물리적 한계로 지연시간은 느리지만 주로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위성이기 때문에 멀리 떨어진 백본망을 서로 연결하는 백홀로서 이용되기도 한다. 유텔샛 또한 정지위성을 이용하여 주로 수많은 개인, 기업 고객을 가진 대형 통신사들에게 백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9] 스팟 빔 안테나는 비교적 좁은 지역만을 조사하는 안테나이다. 대부분의 상업용 통신위성은 하나의 안테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스팟 빔 안테나를 결합하여 하나의 커버리지를 형성한다. 원웹 위성의 경우에는 스팟빔 하나당 가로가 긴 타원 형태의 빔이 출력되는데 이러한 형태의 빔 8개를 출력하는 안테나가 위성마다 2세트씩 장착되어 있다.사진[10]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데 사용된다.[11] 실제로 인터넷 연결이 이루어지는 지상국과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 위성 관제용으로도 사용된다.[12] ESA eoPortal 원웹 페이지에서 발췌[13] Telemetry Tracking and Command System의 약자로 위성의 상태 정보 따위를 받아보거나 위성관제를 위한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이다.[14] 26.5-40GHz 주파수[15] 12-18GHz 주파수[16] 지구 저궤도 중 남극과 북극을 지나도록 설계한 궤도[17] 위성들끼리 서로 통신하는 기술이다. 한 위성의 커버리지 내에 지구국이 없을 경우 하나 이상의 인접 위성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 해당 시점에 지구국 위를 날아가는 위성을 통해 지구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스페이스X 스타링크의 차세대 위성과 이리듐 위성에 적용되어 있기도 하다.[18] 자료[19] 핸드오버를 통해 위성 전환이 일어나도 통신에는 끊김이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부분으로 보인다.[20] 2020년 12월 12일, 기존 영상 6초 지점의 "the new" 가 "the oneweb's new"로, 58초 지점의 "and by 2021" 이 "and soon" 으로 교체된 영상이 올라왔다.[21] 근데 이 속도는 현재 서비스중인 위성통신 속도보다 훨씬 훨씬 훨씬 빠른 것이다. 이리듐 써봐라. 얼마나 짜증나는데.[22] 밝기 감소를 위한 도색이나 차양막이 설치되지 않은 모델, 550km 궤도 기준. https://skyandtelescope.org/astronomy-news/starlink-satellites-fainter-but-still-visible[23] The Brightness of VisorSat Design Starlink Satellites 참조.[24] 아리안스페이스에서 붙이는 번호이다.[25] 여기서 'ST'는 장착되는 페어링의 종류를 의미한다. 소유즈 2.1b/ST는 소유즈 ST-B 라는 약칭으로도 불린다.[26] 4단 로켓[27] 본래 1월 25일 발사 예정이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연기, 이후 2월 25일 발사 또한 한차례 더 연기된 결과이다.[28] 본래 5월 27일 17:43 (UTC) 예정이었으나 소유즈 로켓의 전기계통에서 문제가 발견되어 부품 교체를 위해 24시간 연기되었다.[29] 미션 번호 대신 팰컨 9 버전 이름[30] 미션 번호 대신 팰컨 9 버전 이름[31] 미션 번호 대신 팰컨 9 버전 이름[32] 미션 번호 대신 팰컨 9 버전 이름[33] 테스트 위성[34] 미션 번호 대신 팰컨 9 버전 이름[35] NORAD OneWeb TLE를 통해 확인됨. 'ONEWEB-'으로 시작하는 항목이 각각의 원웹 위성을 나타내므로, 이 개수를 확인하면 된다.[36] 지금까지 발사된 위성 모두가 정상 작동 중이다.[37] 'First Six' 를 의미한다.[38] 카메라를 장착하긴 했으나 관련 직원만 보는 것일 수도 있음[39] 소유즈 로켓의 독특한 부스터 분리 모습 모습에 이를 개발자의 이름을 따서 '코롤료프 크로스' 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40] 이리듐이 최근 쏘아올린 Iridium-NEXT 위성에서 새롭게 제공하는 고속 위성인터넷 서비스이다. 서비스 가격이 상당한 고가이다.[41] 앞에서 Certus가 고속 서비스라고 했지만, 사실 이 서비스의 최대속도도 약 700kbps정도로 처참한 수준이다.[42] Swedish Space Corporation[43] Kongsberg Satellite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