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색깔}}}에 대한 내용은 [[레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레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레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포켓몬스터}}}에 대한 내용은 [[레드(포켓몬스터)]]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레드(포켓몬스터)#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레드(포켓몬스터)#|]]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색깔: }}}[[레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레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레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포켓몬스터: }}}[[레드(포켓몬스터)]]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레드(포켓몬스터)#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레드(포켓몬스터)#|]]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Red In Tales 관련 틀 |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Red In Tales 레드 인 테일즈 | |
| |
본명 | 윤하성 (尹河珹) |
출생 | 1997년 9월 26일 ([age(1997-09-26)]세), 경기도 의정부시 |
국적 |
|
학력 |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 석사)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제7보병사단 병장 만기전역[1] |
소속 크루 | VRID, 730-6, NewDeal |
MBTI | ENFP / INFP |
SNS |
1. 개요
" 이야기를 음악하는 사람 "
대한민국의 힙합 아티스트.
의정부시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크루 VRID, 730-6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랩 이외에도 아트워크, 영상 편집, 컨텐츠 기획 등, 음악 외적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크리에이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2][3] 2014년 사운드클라우드에서 "한강 다리"[4]라는 곡으로 활동을 시작하였고, 2019년 10월 31일 "Starship"으로 공식 데뷔하였다.
2. 특징
"이야기를 음악하는 사람"이라는 소개처럼 소설이나 시를 읽는 듯한 문학적인 가사로 호평 받는다. 특히 독특한 가사 표현과 섬세한 표현으로 청자에게 이야기하는 듯한 문체를 자주 사용하고, 하나의 이야기를 듣는 듯한 스토리텔링 형식이 강하다.[5]가사 소재에 대해서 독특한 생각과 관점으로 색다른 주제를 만들어내는데 공통적으로 삶에 대한 희망이나 위로를 주제로 하는 노래가 많다. 심리적으로 힘들었던 과거에서 음악을 통해 힘을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도 사람들에게 좋은 에너지와 위로를 건네는 음악을 하고 싶다는 가치관을 자주 이야기한다.
3. 디스코그래피
3.1. EP
3.1.1. 97 In U-City
<rowcolor=#fff> 97 In U-City Kite, Red In Tales | |
| |
발매 : 2021. 05. 13. | |
트랙 | 곡명 |
01 | Rockstar |
02 | Burial (Barrier) |
03 | Light On (가로등) |
04 | Let's Get A Vacay |
3.2. 싱글
3.2.1. Starship
<rowcolor=#fff> Starship Red In Tales | |
| |
발매 : 2019. 10. 31. | |
트랙 | 곡명 |
01 | Starship (Feat. P-MulS)[6] |
3.2.2. 여름밤 (Summer Vacation)
<rowcolor=#fff> 여름밤 (Summer Vacation) Red In Tales | |
| |
발매 : 2021. 03. 16. | |
트랙 | 곡명 |
01 | 여름밤 (Summer Vacation) (Feat. Glo-zy) (Prod. Yunmin) |
3.2.3. 여름밤 (Summer Vacation) (Remix)
<rowcolor=#fff> 여름밤 (Summer Vacation) Kite, Red In Tales | |
| |
발매 : 2021. 07. 06. | |
트랙 | 곡명 |
01 | 여름밤 (Summer Vacation) (Remix) |
3.2.4. 권수연
<rowcolor=#FFFFFF> 권수연 Red In Tales | |
| |
발매 : 2021. 03. 16. | |
트랙 | 곡명 |
01 | 권수연 (Kwon Su Yeon) (Prod. TAEB) |
Official M/V | |
3.2.5. 아이 (I)
<rowcolor=#000000> 아이 (I) Red In Tales | |
| |
발매 : 2024. 06. 11. | |
트랙 | 곡명 |
01 | 아이 (I) |
Official M/V | |
3.2.6. 발할라 (Valhalla)
<rowcolor=#000000> 발할라 (Valhalla) Red In Tales | |
| |
발매 : 2025. 02. 28. | |
트랙 | 곡명 |
01 | 발할라 (Valhalla) |
3.3. 컴필레이션
3.3.1. @livethuglife
<rowcolor=#fff> @livethuglife[7] 730-6 | |
| |
발매 : 2022. 01. 22. | |
트랙 | 곡명 |
01 | 오늘 날씨 푸름 (Prod. Oxean Blue) |
02 | Sorry, But I'm Not Sorry (Prod. Jhataesaeng) |
03 | Memory (Prod. Oxean Blue) |
04 | ADIOS MO'FXXKER (Prod. 민효기) |
05 | Good Vibe 2 (Prod. Jhataesaeng) |
06 | Limo (Prod. Oxean Blue) |
07 | 하늘나라 Hand Sign Up (Prod. Jhataesaeng) |
08 | Funeral (Prod. 민효기) |
09 | Skit (Prod. Jhataesaeng) |
10 | Closing Ceremony (Prod. Jhataesaeng) * |
11 | (Bonus Track) 등반왕 엄홍길 (Prod. Jhataesaeng) |
4. 음악 활동
4.1. Mixtape
4.1.1. 건전지
<rowcolor=#fff> 건전지 (Battery) [8] Red In Tales | ||
| ||
발매 : 2018. 10. 05. | ||
트랙 | 곡명 | 링크 |
01 | 건전지 (All Ver.) | |
02 | 건전지 (Origin Ver.) | |
03 | 건전지 (Narr Ver.) |
4.1.2. 대뇌피질
<rowcolor=#fff> 대뇌피질 Red In Tales | ||
| ||
발매 : 2019. 10. 22. | ||
트랙 | 곡명 | 링크 |
01 | 끄적 | |
02 | 나 (NA=Nomina Anatomica) | |
03 | 골방환상곡 | |
04 | Surgery (Feat. Kite) | |
05 | Skit (Cannibalism) | |
06 | Vital (-sis) | |
07 | 해부 | |
08 | Mate (Locked) | |
09 | Bovi (Feat. Kite, Yzal[9], Flag Master[10]) (Prod. Yzal) | |
10 | Dopamine |
4.1.3. CLIMAX (We Always Be Climax!!!)
<rowcolor=#fff> CLIMAX (We Always Be Climax!!!) [11] Red In Tales | ||
| ||
발매 : 2021. 09. 26. | ||
트랙 | 곡명 | 링크 |
01 | CLIMAX (Full Ver.) | |
02 | CLIMAX (Song Ver.) | |
03 | CLIMAX (Story Ver.) |
4.2. 싱글
5. 여담
- 이름의 유래는 어린 시절부터 좋아하던 포켓몬스터 게임 속 주인공 레드에서 따왔다고 한다.
- 당연하게도 가장 좋아하는 색이 빨간색이라고 한다.
- 과거에 좋지 않은 생각을 가지고 심리적으로 힘들어 했던 시기가 있었는데, 의정부 회룡역 뒤편에 있는, 통칭 "무지개 다리"에서 황규영의 〈나는 문제없어〉라는 노래를 듣고 힘을 얻었다고 한다. 그리고 '나도 이런 음악을 만들고 싶다'라는 생각을 하면서 본격적으로 음악의 꿈을 키웠다고 한다. 실제로 많은 노래들에서 무지개 다리라는 가사를 볼 수 있고, 삶에 대한 희망이나 위로를 주는 내용의 노래들이 대부분인 것을 생각해 보면, 음악적으로도 인간적으로도 이 당시의 경험은 큰 영향을 준 사건인 듯하다.[12]
- 매년 9월 26일, 생일마다 생일곡을 공개한다.[13]
- 2025년 2월 28일, 발할라 앨범 발매와 함께 아티스트명을 변경하였다.[14]
[1] 포병대대에서 복무했다.[2] 음악 외적으로 활동할 때는 부캐를 사용한다.[3] 이러한 많은 부캐들로 이루어진 Double A Project라는 1인으로 구성된 팀으로 활동한다.
영상 편집 => AKA
일러스트 및 페인팅 => ARA
아트워크 디자인 => ANA[4] 현재는 비공개 상태[5] 대표적인 예로 "권수연" #, "Sky Dance" # 등이 있다.[6] (현) 민효기[7] * 참여곡[8] 일반인일본인을 포함하여, 무려 15명이 참여하였다.[9] (현) NASCAR BED[10] (현) Peece of Dank[11] 건전지 Part. 2[12] "많이 잃어버린 것들도 있었지 돌이키면 그것도 추억이라 말했지 좋은 말이야 무지개다리에서 맹세한 처음과 지금에 있는 난"#[13] 2023년 9월 26일은 현생 이슈로 인해 스킵되었다.[14] 前 R.E.D #
영상 편집 => AKA
일러스트 및 페인팅 => ARA
아트워크 디자인 => ANA[4] 현재는 비공개 상태[5] 대표적인 예로 "권수연" #, "Sky Dance" # 등이 있다.[6] (현) 민효기[7] * 참여곡[8] 일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