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04:40:21

StepManiaX

1. 개요2. 플레이 방법3. 기체4. 수록곡5. 여담

1. 개요

Step Revolution에서 개발하고 판매하는 아케이드용 댄스 리듬 게임.

이름에서 보이듯이 스텝매니아를 기반으로 제작된 게임이다. 인 더 그루브Pump It Up Pro 시리즈, RERAVE를 제작한 Kyle Ward가 주축이 되어 제작되었으며, 인 더 그루브 시리즈의 정신적 후속작이다.

2. 플레이 방법


다른 발판형 댄스 게임과 마찬가지로, 화살표가 시퀀스 존에 닿으면 그에 해당하는 발판을 밟아주면 된다. 조작체계가 독특한데, 상하좌우 패널가운데 패널을 조작체계로 사용한다.
난이도는 BEGINNER, EASY, HARD, WILD(싱글 플레이)/DUAL, FULL(더블 플레이)/TEAM(코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는 10만점 만점 체계로, 퍼센트 방식이었던 전작과는 차이가 있으나, 점수 표기 방식이 유사하고 높은 달성도의 랭크가 별로 표시되는 등 전작의 요소가 충실히 반영되었다.
롱노트[1], 밟으면 터지는 지뢰 노트, 지나가는 동안 일정 횟수 연타를 수행해야 하는 노트가 존재한다.
네트워크를 통한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이뤄지고 있지만, 필수적인 네트워크 연결 없이 제한 없는 플레이가 가능한 것도 특징.

3. 기체

기체 구매 페이지
공식 홈페이지 스토어에서 올인원 기체, 전용 기체를 구매할 수 있다. 올인원 기체의 가격은 7,400$이며, 전용 기체의 가격은 8,800$이다. 발판 유닛과 터치 스크린 모니터(소프트웨어 포함) 따로 구매할 수 있으며, 일단은 이것들만 있어도 게임 구동은 가능해진다.
Microsoft Windows 또는 전용 기판을 사용하는 다른 리듬게임들과는 달리 Android 기반인 것도 특징.
2022년 IAAPA에서 약 70인치의 대형 화면을 탑재한 신형 디럭스 기체를 공개했다.

4. 수록곡



미국 게임인만큼 영미권 라이센스를 중심으로 200이 넘는 많은 곡들이 수록되었다. 개중에는 Gargoylepink fuzzy bunniesPump It Up ProPump It Up Pro 2의 곡들이 있으며, 심지어는 디디알 구작의 Dam Dariram, CARTOON HEROES, Rhythm and Police[2], Flash in the Night 같은 라이선스곡까지 있다.

또 하나 유저들의 이목을 끈 것은 NAOKIBanYa의 노래가 같은 게임에 수록되었다는 것. BanYa 노래의 경우에는 BanYa의 멤버였던 Yahpp 리믹스로 수록. Beethoven Virus, Winter, Dr. M같은 펌프에 수록되었던 노래의 리마스터 버전과 함께 NAOKI 작곡의 DanceDanceRevolution 오리지널 곡의 후속곡이 한 자리에 모여 있는 진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곡 하나의 길이가 상당히 짧다. 대략 1분 30초 정도.

5. 여담

독특한 게임성과 함께 댄스 리듬게임 유저들의 향수를 자극하는 수록곡으로 일부 유저들의 열렬한 반응을 이끌었으나, 안타깝게도 제작사가 영세하고, 이미 매니악을 넘어 고인물만 남은 댄스 리듬게임 중에서도 가장 매니악한 게임이라 북미나 서구권에서 개인적으로 구매해서 입하하는 정도로 적은 수의 기체가 가동되고 있으며[3], 아시아권에서는 일본 WGC(World Game Circus)에서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도 여러 번 입하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불발되었다고.

발판은 기본적으로는 십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X자 형태로 재배열하거나 입력부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발자인 카일 워드는 펌프 FX 기체에 발판 2개를 연결해서 펌프 잇 업 XX를 구동하는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롱노트 틱 콤보가 적용되지만, 판정은 DDR과 비슷한 방식으로 책정된다.[2] 판권 문제로 인해 당작에서는 Music and police라는 제목으로 수록됨.[3] 다만 이는 기기 제작을 별도로 의뢰하는 것이 아닌 회사에서 제작 또한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수요 > 공급 인 점도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