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00:06:27

Tower Defense Simulator/Polluted Wasteland Ⅱ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
파일:타디시 로고_20220730.png

[ 게임 모드 목록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 파일:TDSEasyNew.png || 파일:TDSMoltenNew.png || 파일:TDSInterNew.png || 파일:TDSFallenNew.png ||
Easy Molten <colbgcolor=#ffffff> Intermediate <colbgcolor=#ffffff> Fallen
파일:NuclearMonsterFullBadge.jpg 파일:BadlandsPI5.jpg 파일:TDSHalloween2022Icon.png 파일:Headache_Headquarters_Icon.webp
Polluted Wasteland Ⅱ Badlands Ⅱ Pizza Party Headache Headquarters
파일:AcceleratorRender.png
<colbgcolor=#ffffff> Hardcore



1. 개요2. 특징3. 등장 좀비
3.1. 1 ~ 22 웨이브
3.1.1. 돌연변이(Mutated)3.1.2. 돌연변이 스피디(Mutated Speedy)3.1.3. 위험 물질 (Hazmat)3.1.4. 돌연변이 보스 (Mutated Boss)3.1.5. 브레이커2(Breaker2)-β
3.1.5.1. 브레이커(Breaker)
3.1.6. 네크로맨서 (Necromancer)-β
3.1.6.1. 해골 (Skeleton)
3.1.7. 맹독 (Toxic)
3.2. 22 웨이브 이후
3.2.1. 융합체 (Amalgamation)
3.2.1.1. 플레시링 (Fleshling)
3.2.2. 서킷 (Circuit)3.2.3. 러셔(Rusher)3.2.4. 흉물체 (Abomination)3.2.5. 브레이커4(Breaker4)-β
3.2.5.1. 브레이커3(Breaker3)
3.2.6. 슬라임 (Slime)
3.2.6.1. 점액 (Goo)
3.2.7. 워든(Warden)-β3.2.8. 네크로맨서 보스 (Necromancer Boss)-β
3.2.8.1. 저주 받은 해골 (Cursed Skeleton)
3.2.9. 초맹독 (Super Toxic)3.2.10. 방사능 수호자 (Nuclear Guardian)
3.3. 최종 보스
3.3.1. 방사능 괴수(Nuclear monster)

1. 개요

Polluted Wasteland II
파일:Polluted_Wasteland_II.webp
레벨 제한 레벨 25 이상
총 웨이브 40 웨이브
스타트 캐시
그룹 보너스 X 파일:(k)타디시 돈.webp500$ 그룹 보너스 O 파일:(k)타디시 돈.webp600$
자금 분배량 25%
최종 보스 방사능 괴수(Nuclear Monster)
승리 보상 파일:Coin.webp1,190 코인 & 파일:TDSExp.png255 경험치

Tower Defense Simulator의 특수 게임 모드인 Polluted Wasteland Ⅱ에 대한 문서.

한국에서는 주로 방사능 몰락 또는 방몰이라고 불린다.

등장 좀비를 비롯한 관련된 모든 정보를 서술한다.

2. 특징

특별 게임 모드 중에서 첫번째로 리메이크된[1] 모드로, 2022년 7월 30일 추가되었다. 원래 오염된 황무지 맵처럼 방사능 컨셉은 그대로 유지됐으나, 그래픽 향상으로 인해 굉장히 그로테스크한 디자인이 되었다.

웨이브 자체는 폴른를 뼈대로 두되 기존 보다 더욱 강해진 신규 적들로 대체 되었으며, 난이도가 전용 난이도인 방사능으로 고정된다. 말도 안되게 높은 스펙의 좀비들이 때로 몰려 나오고[2] 모든 좀비가 첫 등장 이후 계속해서 체력의 20% 씩 쉴드 체력이 추가로 생성 및 증가된다. 클리어 시 지급되는 골드, 경험치가 폴른 모드의 1.5배로 상당히 많다.[3]

여기서 나오는 좀비들은 원래 이 모드 전용이였으나 2022년 10월 1일 배드랜드 Ⅱ 업데이트로 일부 적들이 적군 베타의 영향으로 배드랜드에서도 나오게 되었다.[4]

오직 세명만 엔지니어, 액셀러레이터 타워를 모두 가지고 있다면 클리어가 굉장히 쉬워진다.

2022년 할로윈 업데이트로 추가된 피자 파티 모드에서도 일부 적이 등장하게 되었다.[5]

원래는 일부 적들의 체력이 매우 높았으나, 2022 할로윈 업데이트와 함께 버그로 일부 적들의 체력이 낮아졌다.

하드코어보다도 보스 포함 적들의 체력이 압도적으로 높아서 이 맵이 더 어렵다고 하는 사람이 있다. 다만 하드코어는 돈이 열악하지만 이 모드는 20 웨이브 이후 돈이 매우 많이 생기며 맵도 코너를 3번이나 돌기 때문에 시간이 충분하다. 때문에 서로 비등하거나 이쪽이 조금 더 쉽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이 둘은 이벤트 제외 탑 1, 2를 다투는 수준이며, 이벤트랑 비교해도 SFOTH, Solar Eclipse 4 정도를 제외하면 전혀 밀리지 않는다.

해당 맵에서는 아래의 4가지 특성이 적용된다.
특성 목록
"방사능 (Nuclear)"
파일:NuclearModIcon.webp "(+30%) 적들이 방사능 변종으로 교체 됩니다."
특성이 적용된 맵에서 등장하는 적들을 방사능 버전으로 교체한다.
"돌연변이 (Mutation)"
파일:NuclearModIcon.webp "(+20%) 적들이 처음 소개된 이후로 웨이브 마다 체력이 증가합니다."
적들이 처음 등장 한 이후 웨이브가 지날 때 마다 전체 체력의 8%에 해당하는 쉴드 체력이 생겨난다.
"적군 베타 (Enemie Beta)"
파일:EnemiesBetaModIcon.webp "적들의 모델이 새로운 모델로 교체 됩니다."
특성이 적용된 맵에서 등장하는 적들을 새로운 모델로 교체한다.
"체력 고정 (HP Locked)"
파일:HPLockedModIcon.webp "(+20%) 기지 체력이 강제 고정 됩니다."
플레이어들의 레벨 상관 없이 기지 체력을 100으로 강제 고정 시킨다.

3. 등장 좀비

3.1. 1 ~ 22 웨이브

(웨이브 22 이전) BGM 오염된 수질

3.1.1. 돌연변이(Mutated)

돌연변이
파일:Mutated_Zombie.webp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첫 출연 웨이브 1
능력치
체력 14
속도 약간 빠름

웨이브 1부터 등장하는 좀비. 기존의 비정상을 대체한다.

첫 웨이브 부터 14라는 꽤나 부담스러운 체력을 가진 채로 때 지어 등장한다. 각종 이벤트의 첫 잡몹에 비하면 체력이 낮은 편이지만, 오염된 황무지는 이벤트 취급을 받지 않아 시작 캐시가 기본인 600$기에 막기 버거울 수 있다. 다만 맵 특성상 무려 3바퀴를 돌기 때문에 준비만 잘 해두면 큰 문제는 없다.

가성비가 좋은 비싸거나 얻기 힘든 초반 방어용 타워로 막는 것이 좋다. 골든 정찰병, 골든 화염방사병, 처형자, 골든 카우보이[6]이 해당 좀비를 매우 잘 막아준다.

3.1.2. 돌연변이 스피디(Mutated Speedy)

빠른 돌연변이
파일:Mutatedspeedy.webp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첫 출연 웨이브 5
능력치
체력 18
속도 빠름
웨이브 5부터 등장하는 프로양학러좀비. 퀵을 대체한다.

이동속도는 돌연변이보다 2배 이상 빠르면서 체력도 4 높은 좀비.[7]

방어선이 돌연변이 무리들을 겨우 막을 수준이라면 빠른 이동속도에 몇 마리가 기지로 들어가거나 게임이 터질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하자.

3.1.3. 위험 물질 (Hazmat)

위험 물질
파일:Hazmate.webp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첫 출연 웨이브 7
능력치
체력 40 + 20(쉴드)
속도 약간 빠름

웨이브 7부터 등장하는 좀비. 헤비, (구)방사능 폴른의 방사능을 대체한다.

이동속도가 돌연변이와 같지만, 체력 40, 실드 20으로 상당히 단단하다. 이 좀비들의 웨이브 대비 강력한 체력에 의해 기지가 터지는 관경도 종종 목격할 수 있다.

처형자, 골든 화염방사병, 검투사 등 강력한 광역 피해를 입히는 타워들이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3.1.4. 돌연변이 보스 (Mutated Boss)

돌연변이 보스
파일:Mutated_Boss1.webp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첫 출연 웨이브 10
능력치
체력 500
속도 보통
특성 파일:TDSleadanddefense.png방어력 30%

웨이브 10부터 등장하는 좀비. 기존의 비정상 보스, (구)방사능 폴른의 피폭된 보스를 대체한다.

기존의 비정상 보스에 비해 이동 속도와 방어력은 변한 것이 없으나, 체력이 무려 3배로 늘어났다. 하지만 웨이브 10 정도면 미니거너나 엑셀러레이터[8] 등의 헤비 타워 한 기 정도는 마련할 수 있는 시간이기에, 이 좀비에게 게임이 터지는 상황은 상당히 드물다. 거기다 3바퀴나 도는 맵 특성 상 놓치기 그닥 어렵진 않다.

3.1.5. 브레이커2(Breaker2)-β

분해자 2
파일:Breaker2.png
출연하는 모드 "적군 베타가 활성화된 모든 맵"
첫 출연 웨이브 11(노말), 16(몰튼, 폴른), 17(하드코어)
능력치
체력 15(노말), 30(몰튼), 50(폴른, 하드코어)
속도 약간 빠름
스킬
분쇄 브레이커2가 사망하는 즉시, 브레이커를 소환한다.

16 웨이브 부터 몰려오는 적. 기존의 미스테리를 대체하는 특수 적이다.

기존 미스터리와 달리 무작위 적을 소환하지 않으며, 대신 브레이커라는 특수 적을 소환한다.

체력이 기존 미스터리 이상으로 높아져 미스터리 러쉬인 18 웨이브와 후반 32 웨이브 이후가 매우 큰 고비가 된다. 거기다 돌연변이 특성 때문에 나중에 나올 때면 잡기가 더 힘겨워진다.

그 외에도 브레이커2는 브레이커3로 부터 소환 될 수 있다.
3.1.5.1. 브레이커(Breaker)
분해자
파일:Breaker1.png
출연하는 모드 "적군 베타가 활성화된 모든 맵"
능력치
체력 8(노말), 15(몰튼), 20(폴른, 하드코어)
속도 빠름

브레이커2로 부터 소환되는 적. 브레이커2 만큼 위협적인 적이다.

3.1.6. 네크로맨서 (Necromancer)-β

강령술사
파일:Necropw2.png
출연하는 모드 "적군 베타가 활성화된 모든 맵"
첫 출연 웨이브 19
능력치
체력 500
속도 평균 이상
스킬
소환 지팡이를 땅에 내리쳐 해골 5마리를 소환한다.

19 웨이브에 등장하는 좀비. 기존의 다크 네크로맨서를 대체한다. 기존의 멋들여진 외형은 어디가고 머리의 절반이 깨져 두개골이 돌출된 상태로 돌아다니는 기괴한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상당히 강화된 케이스로서, 체력은 500이 되었고, 소환하는 적인 해골도 체력 50을 지녔으며 첫 등장 시 대량의 브레이커 러쉬와 2마리의 돌연변이 보스가 선두로 달려가는 터라 재대로 막아야 한다. 박격포나 로켓 티어같은 강력한 폭발 대미지를 주는 타워를 사용하면 쉽게 네크로맨서가 소환한 해골들을 날려버릴 수 있다. 다만 본체도 소환하는 적도 모두 돌연변이 특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중반 쯤 가면 잡는데 더 오래 걸린다.
3.1.6.1. 해골 (Skeleton)
해골
파일:PWSkeleton.png
출연하는 모드 "적군 베타가 활성화된 모든 맵"
첫 출연 웨이브 N/A
능력치
체력 50
속도 평균 이상

오직 네크로맨서만 소환하는 적. 2020 할로원, 2021 일식 이벤트의 뼈(Bone) 과는 다른 적이니 혼동하지 말자.

체력도 50으로 만만치 않은데 5마리씩 소환되는 점이 더해서 상당히 까다롭다. 기존의 네크로맨서들이 항상 약한 적들만 소환하는 것과 크게 대조 되는 점.

죽을 때 마인크래프트스켈레톤이 피해를 입는 소리가 난다.

3.1.7. 맹독 (Toxic)

맹독
파일:ToxicAJAJAJA.webp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첫 출연 웨이브 20
능력치
체력 200 + 100(쉴드)
속도 빠름
스킬
방사능 웅덩이 사망하는 즉시 그 자리에 웅덩이를 남긴다. 이때, 웅덩이 위를 지나가는 적들의 체력을 매우 빠르게 회복 시킨다.

20 웨이브 부터 등장하는 좀비. 기존의 타락한 자를 대체한다.

빠른 속도는 여전하고 체력도 20 더 증가하고 쉴드 체력 100 까지 생겼지만 더 큰 문제는 사망 시 그 자리에 남기는 체력을 회복 시키는 방사능 웅덩이다.[9][10] 웅덩이가 꽤 오랜 시간 동안 잔류하기도 하고 회복량도 만만치 않으니[11] 웅덩이가 사라지길 바라지 말고 사령관 버프와 높은 DPS의 타워들로 회복량 이상의 피해를 누적시켜야 한다.

웅덩이의 더 큰 문제는 바로 웅덩이를 만들어내는 맹독이 항상 때 지어 나온다는 것이다. 폴른 모드의 타락한 자를 대채하는 만큼 나름 대량으로 나오는 터라 이놈들이 줄지어 죽으면 기다란 웅덩이가 만들어지면서 그만큼 체력 회복량이 중첩 되어 높아진다. 여길 워든이나 다수의 자기장의 버프를 받은 흉물체가 지나가기라도 하면 만렙 액샐, 골미, 엔지니어 수십 개가 일제히 갈겨도 안 죽는 회복량 중첩을 자랑한다.

후반 웨이브에 등장하는 강화형인 초맹독도 동일한 능력을 지녔는데 체력은 10배 가까이 돼서 잡기가 더 어렵다.

3.2. 22 웨이브 이후

(웨이브 22 이후) BGM 놈들이 변이 됐다!

후술 할 융합체가 등장하는 22 웨이브를 기점으로 BGM이 더욱 무거운 분위기의 곡으로 변경되며 확실하게 강력한 놈들이 몰려오며 진정한 고비가 시작 된다.[12]

3.2.1. 융합체 (Amalgamation)

융합체
파일:NuclearPI2.jpg
예고 이미지
파일:Amalgamation2.webp
인게임 모델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첫 출연 웨이브 22
능력치
체력 8,000
속도 보통
스킬
육(肉) 절단 본체가 피해를 입을 경우 0.25초 간격으로 6마리의 인육덩이를 소환한다. 한번 소환을 사용한 이후엔 2~3초의 쿨타임을 가진다.

"오염된 황무지 Ⅱ의 1라운드 보스."

22 웨이브 부터 등장하는 적. 기존의 자이언트 보스 및 (구)방사능 폴른의 융합체를 대체한다. 오염된 황무지 ll의 첫 번째 고비가 되는 적.

(구)융합체가 자가 회복 능력[13] 을 지녔었던 것과 달리 이 녀석은 피해를 입을 때 마다 체력 160의 적들을 최대 6마리씩 소환한다. 속도도 만만치 않고 소환 능력에 원본인 자이언트 보스의 4배나 되는 8,000이란 웨이브 대비 상당히 높은 체력이 더해져 타워가 부족한 초 중반 상황에서 매우 큰 고비로 다가온다.

첫 등장하는 22 웨이브에 방어선이 제대로 구성 돼 있지 않다면 융합체 앞에서 선두로 나가던 적들과 튀어나오는 인육덩이들을 처리하는데 시간이 낭비 돼 결국 융합체가 기지로 들어가게 된다.

더 큰 문제는 22 웨이브의 융합체를 힘겹게 잡아도 바로 다음 웨이브에서 한 놈이 더 온다. 시간이 부족해 처음 나온 녀석을 죽이기도 전에 튀어나와 여러모로 골치 아픈 웨이브.

융합체를 막기 위한 전략으로 엑셀 최대 레벨을 찍으면 방어가 가능하지만, 그마저도 꽤 운이 적용되는 전략이니 가장 좋은 방법은 2~3레벨 엑셀 2~3기로 본체를 공격하고 그 사이 몰려오는 인육덩이들을 고화력의 타워들로 처리 하면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3레벨 슬레져가 있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제압 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한 명이 액셀러레이터 최대 레벨을 찍고, 나머지 인원 중 여유가 있는 사람이 액셀러레이터 2-4레벨을 깔거나 엔지니어같은 타워를 깔아 인육덩이들을 제거하는 것도 좋다. 다만 이 만렙 엑셀 전략은 2022 크리스마스 업데이트 이후 엑셀의 밸런스 조정과 그 이후의 리워크로 최대 레벨 가격이 34,000$[14]으로 늘어나면서 매우 힘들어졌다.

달의 서곡 업데이트 후 현재는 한 사람이 골든 카우보이로 초방 + 농장으로 골미를 준비 한 후 빠르게 만렙을 찍은 뒤 다른 유저가 제스터를 만렙으로 만들어 역행 + 빙결 폭탄으로 최대한 묶어 놓는 쪽이 좋다. 이런 방식이면 듀오로도 충분히 가능하다.

슬래져를 쓰는 방법도 있다. 타겟팅을 가장 강함으로 해두고 인육 덩어리들만 다른 타워들로 잘 처리해주면 빙빙 도는 맵 특성 상 자주 멈춰 처치가 쉬워진다.

오염된 황무지 II의 특성 중 돌연변이 특성 때문에 후반으로 갈수록 점점 기본 체력에 쉴드 체력이 늘어나서 그만큼 처리가 늦어진다. 심지어 22 웨이브에 등장하다 보니 후반 30 웨이브를 넘기면 체력이 10,000을 넘기기도 한다. 여기에 자기장과 맹독, 초맹독, 기타 적들 까지 섞여 나온다면 그야말로 난장판이 된다. 자이언트 보스 이상으로 방어망을 뚫는 펀치력이 장난 아니니 주의하자. 과거 브레이커4 대신 미스터리 보스가 나오던 시절엔 말 그대로 하나 튀어나오면 또 미친 듯이 튀어나와 시간을 엄청 잡아 먹었었다.
3.2.1.1. 플레시링 (Fleshling)
인육 덩어리
파일:Fleshling.webp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첫 출연 웨이브 N/A
능력치
체력 160
속도 평균 이상

융합체가 피해를 입을 때 마다 소환하는 적.

160의 체력에 꽤 빠른 속도, 물량이 더해져 22 웨이브를 1차 고비로 만든 원인 중 하나. 사령관 버프와 타워들로 빠르게 제거하는 게 우선이다.

3.2.2. 서킷 (Circuit)

자기장
파일:Circuwwt.webp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첫 출연 웨이브 26
능력치
체력 1,800
속도 평균 이상
스킬
누전 사망하는 즉시 번개를 내리쳐 주변에 있는 적들의 이동 속도를 25% 더 증가 시킨다.

26 웨이브 부터 몰려오는 좀비. 기존의 글리치와 에러 및 (구)방사능 폴른의 서킷을 대체한다. (구)방사능 폴른 & 하드코어에 등장하는 서킷과는 이름만 같은 별개의 존재이니 혼동하지 말자.

기존의 자기장처럼 번개를 내리쳐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스킬을 가지고 있으나, 사망하는 순간에만 사용한다.

에러와 글리치를 동시에 대처하는 만큼 둘이 대량으로 등장하는 36 웨이브 이후부터 대량으로 마구잡이로 뛰어와 이속 버프를 퍼붓는 이속 셔틀이 된다. 문제는 이게 중첩이 된다는 것. 여러번 번개를 받아 엄청 빨라진 흉물체나 워든이나 러셔가 방어망을 뚫고 그대로 GG를 치게 만들 수 있는 위험한 적이다. 흉물체의 경우는 부활체로 부활하면서 속도가 초기화 된다. 거기다 3바퀴를 빙빙도는 맵 특성상 선두로 달리던 서킷이 죽을 때 하필 뒤에서 따라오던 융합체와 네크로맨서 보스와 겹쳐져 그대로 이속 버프를 뿌리는 경우가 잦은 편.

여담으로 얼어붙은 적들이 자기장 버프를 받거나 받은 상태에서 얼어버리면 그 자리에 가만히 있는게 아니라 천천히 앞으로 나아간다. 아무래도 자기장의 이속 버프에 의해 생긴 의도치 않은 현상으로 보인다. 이런 현상은 빙결 지속이 가장 긴 슬레져를 운용하면서 흔히 보이는 광경이다.

3.2.3. 러셔(Rusher)

돌격자
파일:NuclearPI3.jpg
예고 이미지
파일:Rusher2.webp
인게임 모델
[ 방패가 파괴된 상태 펼치기 · 접기 ]
파일:Rishher.webp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첫 출연 웨이브 28
능력치
체력 1,000 + 1,400(쉴드)
속도 아주 빠름(방패 파괴 전) / 평균 이상(방패 파괴 후)
특성 파일:TDSleadanddefense.png방어력 60%(방패 파괴 전) / 파일:TDSleadanddefense.png방어력 20%(방패 파괴 후)

오염된 황무지 ll의 2차 고비.

28 웨이브 부터 등장하는 좀비. 기존의 하자드를 대체하면서 (구)방사능 폴른의 러셔의 포지션도 담당한다.

원본인 (구)방사능 폴른의 러셔, 변종인 하드코어의 타락한 러셔에 견줄 만큼 빠르며[15], 체력이 어느 정도 깎이면 방패가 파괴 되며 속도가 급 감소 하는 점이 동일하다.[16]

문제는 상당한 맷집. 쉴드 포함 총합 체력이 2,400으로 상당히 높다.[17] 거기다 돌연변이 특성 덕에 후반에 가면 무슨 체력이 보스급 수준으로 늘어난다. 이동 속도도 극도로 빠름이기 때문에 방어선을 뚫어버릴 확률이 높으니 주의하자. 실제로 서킷에 이놈이 엮이면 임포스터보다 더 빠르게 광속으로 돌파하며 방어선이 그냥 뚫리는 경우도 있다. 엑셀에 의존 하지 말고 엔지니어, 레인저, 골미 같은 극딜 타워로 빠르게 녹여버리자. 다수가 몰려오는 데다가 서킷이 사망하면서 내리치는 번개까지 합쳐지는 덕에 상당히 뭣한 놈이다. 슬레져를 필수로 가져가자.[18] 슬레저가 없다면 일렉트로 쇼커도 괜찮다. 맷집이 상당해서 사령관 체인 + 골미 + 만렙 액셀로도 뚫리는 경우가 있다. 워든이나 슬레져, 일렉트로 쇼커가 필수적이다. 제스터의 역행 폭탄 + 빙결 폭탄으로도 안정적으로 막을 수 있다.

방사능 괴물, 융합체, 워든을 이어서 공식 트위터 계정에 예고로 공개된 적인데, 사진과 함께 올라온 글이 재밌게도 Rush 🅱밈이다.

3.2.4. 흉물체 (Abomination)

흉물체
파일:AbominationPW2.png
[ 부활체 상태 펼치기 · 접기 ]
파일:Blue_Tank_1_Head.webp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첫 출연 웨이브 30
능력치
체력 20,000 + 10,000(부활 시)
속도 빠름
특성 파일:TDSleadanddefense.png 20%
면역 파일:TDSenergyno1.png에너지, 파일:TDSfreezeno1.png빙결
스킬
두 심장과 두 뇌 사망하는 즉시 체력 10,000을 회복하고 몸에서 붉은 빛이 감도는 상태가 되어, 부활체로 부활한다.

30 웨이브 부터 등장하는 보스급 좀비. 기존의 탱크를 대체한다.

그리고 오염된 황무지 ll의 세번째 고비다....라곤 하지만 사실 30웨이브까지 갈 정도면 사령관만 잘 해주면 쉽게 잡을수있다. 게다가 사령관이 없어도 충분히 잡을 수 있다. 다만 체력이 체력이라 사령관 체인 없이 잡으려면 화력 증강이 필수적이다.

체력은 하드코어 업데이트 이전의 탱크[19]보다 높은 20,000[20]인데[21], 한번 죽으면 또 체력 10,000을 회복하고 부활해버리는 답 없는 스킬 때문에 상당한 강적. 게다가 빙결 면역이 있어 자주 채용 되는 슬레져마저 무용지물이다. 그래도 (구)탱크 마냥 바위를 던지거나 하는 공격 패턴은 없으니 그건 다행인 셈.

탱크를 대체한다는 특성상 항상 앞에서 글리치 & 에러를 모두 대체 하는 서킷들이 단체로 달려나가는데 그 뒤로 달려와 번개 버프를 받아버리면 무슨 덩치큰 임포스터[22]를 볼 수도 있다.

첫 등장한 웨이브 30 부터 나올때 마다 총합 30,000의 체력과 빠른 속도로 어느 정도 압박을 거는데, 이녀석이 제일 위험해지는 웨이브는 다름아닌 마지막 웨이브 40이다. 특히 분노 모드 돌입 이전의 방사능 괴수가 흉물체를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녀석이 거의 2번째 원 끝자락에서 소환 되면 잘못해서 돌파당할 수도 있다.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머리가 2개인데, 한번 사망 하면 그 즉시 포효하다가 머리 한 개가 터지고, 옆에 있던 작은 머리만 남은 체 부활하는 기괴한 특성을 가졌다.

3.2.5. 브레이커4(Breaker4)-β

분해자 4
파일:Breaker4.png
출연하는 모드 "적군 베타가 활성화된 모든 맵"
첫 출연 웨이브 32
능력치
체력 200
속도 약간 빠름
특성 파일:TDSleadanddefense.png 방어력 35%
스킬
분쇄 사망하는 즉시 3마리의 브레이커3를 소환한다.

32 웨이브 부터 몰려오는 적, 그와 동시에 브레이커 계열의 마지막 4번째 일원.

기존의 미스터리 보스를 대체하나 브레이커2가 그렇듯이 사망하면서 무작위 보스급이 아닌 브레이커3을 소환한다.

후반에 가면 돌연변이 특성 때문에 체력이 1,000 단위까지 올라가고 소환하는 브레이커3 > 2 > 1들도 전부 튼튼해져서 여러모로 끈질긴 녀석.

즉, 브레이커4 > 브레이커3> 브레이커2> 브레이커로 이어지는 4단 분리의 절정이 놈의 상징이나 다름 없다. 사실상 TDS에서 가장 많은 분열 횟수를 지닌 적이 된 셈.[23] 그런데 단순 4단 분리가 아니라 브레이커 4 > 브레이커 3 x3> 브레이커 2 x3 > 브레이커 x3으로 총 10마리의 적이 튀어나오는 경이로운 수량이 더 큰 문제다. 이것들이 융합체, 흉물체, 러셔, 서킷, 네크로멘서 보스랑 뒤엉키면 극악의 난장판이 벌어진다.
3.2.5.1. 브레이커3(Breaker3)
분해자 3
파일:Breaker3.png
출연하는 모드 "적군 베타가 활성화된 모든 맵"
능력치
체력 100
속도 보통
특성 파일:TDSleadanddefense.png 방어력 20%
스킬
분쇄 사망하는 즉시 브레이커2를 소환한다.

브레이커4로 부터 소환 되는 적.

사망하면서 브레이커2를 소환 하기 때문에 은근 잡기가 꺼리는 놈. 거기다 브레이커 4에서 소환 될 때는 아예 3마리씩 튀어나와서 배로 골치 아프다.

3.2.6. 슬라임 (Slime)

슬라임
파일:Slimexd.webp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피자 파티
첫 출연 웨이브 34
능력치
체력 8,000
속도 보통
스킬
질척한 죽음 사망하는 즉시 타워들을 일시적으로 기절 시키는 방사능 거품으로 자폭해 버리며, 그와 동시에 점액 3마리를 소환한다.

34 웨이브 부터 등장하는 좀비. 기존의 부머, (구)방사능 폴른의 분열자를 대체한다.[24]

2020 할로윈 이벤트의 슬라임과는 별개의 존재이니 혼동하지 말자.

8,000의 상당한 체력에 (구)방사능 폴른의 분열자 마냥 죽음과 동시에 자폭하면서 체력 3,000의 점액 3마리를 소환하는 골치 아픈 적.[25]이놈으로부터 방어선을 보호하기 위해 메딕을 반 필수적으로 가져가야만 한다.[26]

마지막 웨이브 40에서 방사능 괴수가 소환 패턴으로 소환 가능한 적중 하나 인데, 흉물체와 더불어 가장 골치 아픈 녀석이다. 체력은 워든이랑 같은 주제에 사망하는 즉시 체력 3,000 짜리 점액을 셋이나 뱉어내니[27] 처리하는데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린다. 특히 마지막 원의 출구 근처에서 얘가 튀어나오면 이기던 판도 바로 져버릴 정도이니 말 다했다. 비슷한 컨셉인 브레이커 4가 내뱉는 물량은 압도적으로 더 많지만 소환하는 브레이커들의 체력이 낮아 쉽게 처리가 가능하나 얘는 맷집이 있어서 그것도 안 된다.
3.2.6.1. 점액 (Goo)
점액
파일:Goo2.webp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피자 파티
첫 출연 웨이브 N/A
능력치
체력 3,000
속도 평균 이상
스킬
복수의 점액 사망하는 즉시 타워들을 일시적으로 가두는 방사능 거품으로 자폭해 버린다.

슬라임이 자폭하면서 소환하는 좀비. (구)방사능 폴른의 분열을 대체한다.

2020 할로윈 이벤트의 점액과는 별개의 존재이니 혼동하지 말자.

(구)방사능 폴른의 분열처럼 자폭하는데 소환 되는 개수는 3개로 더 많고 더 튼튼하니 어딘가 답 없는 적이다.[28]

3.2.7. 워든(Warden)-β

워든
파일:NuclearPI4.jpg
예고 이미지
파일:Garden.png
인게임 모델
출연하는 모드 "적군 베타가 적용된 모든 맵"
첫 출연 웨이브 35
능력치
체력 -40,000- > 8,000
속도 평균 이상
특성 파일:TDSleadanddefense.png방어력 40%
스킬
노출 심장 포 복부에 노출된 심장에서 푸른 빛의 광선을 좌우로 뿜는다. 광선에 피격된 타워를 모두 기절 시키고 유닛에게 빠른 연속 피해를 입힌다.

35 웨이브 부터 등장하는 보스급 좀비. 기존의 템플러를 대체한다.

강력한 스턴기를 지닌 강적. 기존의 템플러가 쩌리로 보일 수준이다.

템플러와 달리 체력도 체력이지만 체력이 높은 만큼 더 오래 맵에 살아남아 공격이 가능하며 그 공격 조차 어느정도 거리만 벌리면 스턴을 당할까 말까 하는 템플러와 달리 일단 걸리면 스턴이라 상당히 위험하다. 선두로 달려가던 맹독들의 치유와 서킷의 이속 버프를 받아 미친듯이 방어선을 돌파하며 레이저를 쏠 수 있는 웨이브 37은 상당히 까다롭다.

보면 알겠지만 이름과 생김새, 심지어 공격 기술까지 마인크래프트의 몬스터인 워든의 패러디[29]다.

피자 파티 출시 이전만 해도 체력이 40,000으로 상당히 묵직한 체력을 자랑 했으나 갑작스레 버그로 체력이 낮아졌다. 피자 파티 출시 이후로 적군 베타 특성이 적용된 맵 에서 템플러를 대체해 등장 하도록 되었으나 어째 방사능 특성으로 체력이 상향 되어야 할게 낮아져 버린 셈. 그래도 예전 보다 쉬워졌으니 유저들은 좋을 것이지만...

예고 이미지에서 빔을 쏘는데 이때 같이 쓰인 문구가 다름 아닌 똑같이 푸른 빔을 쏘는 Shoop da whoop밈 이다.

3.2.8. 네크로맨서 보스 (Necromancer Boss)-β

네크로맨서 보스
파일:Bnecropw2.png
출연하는 모드 "적군 베타가 활성화된 모든 맵"
첫 출연 웨이브 36
능력치
체력 -60,000- > 14,000
속도 보통
면역 파일:TDSenergyno1.png에너지, 파일:TDSfreezeno1.png빙결
스킬
저주 받은 소환 지팡이를 땅에 내리쳐 저주 받은 해골 5마리를 소환한다.

36 웨이브 부터 등장하는 좀비. 기존의 소환사 보스를 대체한다.

하드코어에서 등장하는 동명의 네크로맨서 보스와는 별개의 존재이니 혼동하지 말자.

체력이 무려 기존 소환사 보스보다 6,000 높은 14,000인데다 소환하는 좀비인 저주 받은 해골도 체력 500으로 은근 튼튼한 녀석이다. 게다가 후반으로 갈 수록 2~3명이 몰려 오는 경향도 있기 때문에 더더욱 위험한 존재. 원래 피자 파티 출시 이전 체력은 무려 무덤 도굴자의 체력을 훨씬 상회하는 60,000이였다.
3.2.8.1. 저주 받은 해골 (Cursed Skeleton)
저주 받은 해골
파일:Cursed_Skeleton.png
출연하는 모드 "적군 베타가 활성화된 모든 맵"
첫 출연 웨이브 N/A
능력치
체력 500
속도 평균 이상

오직 네크로맨서 보스에게서 만 소환되는 적. 해골의 강화 버전이다.

2020 할로윈 이벤트의 할로우 해골과는 유사하게 생겼으나 다른 존재 이니 혼동하지 말자.

500의 체력에 다수가 소환되기 때문에 상당히 골치 아픈 적. 대처 방법은 고화력으로 빠르게 정리 해주는 게 상책이다.

3.2.9. 초맹독 (Super Toxic)

초맹독
파일:Supertox.webp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첫 출연 웨이브 39
능력치
체력 12,000 + 1,000(쉴드)
속도 보통
특성 파일:TDSleadanddefense.png방어력 20%
스킬
방사능 웅덩이 사망하는 즉시 그 자리에 웅덩이를 남긴다. 이때, 웅덩이 위를 지나가는 적들의 체력을 매우 빠르게 회복 시킨다.

39 웨이브 부터 등장하는 좀비. 맹독의 강화판이자, 기존의 타락한 영웅을 대체한다.

기존 타락한 영웅의 2배 이상인 12,000이란 체력 덕에 타락한 영웅 이상으로 매우 튼튼하고 만만치 않은 적이다. 1,000의 쉴드와 20% 방어력도 있지만, 39 웨이브면 대부분의 타워들이 만렙인 상태 이기 때문에 큰 메리트는 없다. 다만 문제는 체력도 튼튼한 주제에 죽을 때 맹독처럼 웅덩이를 남긴다는 것이다.

여담으로, 보스전 후반에 이 녀석이 다량 소환되어 게임을 터트리는 경우가 많다. 맷집도 맷집인데다 하필 뒤따라오는 적들이 체력만 몰튼 보스 이상인 80,000의 방사능 수호자 4마리라 죽으면서 회복 웅덩이를 남겨 겨우 깎아 놓은 수호자들의 체력을 다시 풀로 회복 시키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여러모로 마지막 웨이브의 난이도를 대폭 올리는 최악이자 가장 짜증 나는 적. 방사능 괴수가 계속 소환 패턴만 써서 초맹독이 대량으로 나오면 그 판은 이미 망한 거나 다름 없다.

3.2.10. 방사능 수호자 (Nuclear Guardian)

방사능 수호자
파일:Nuclearguardian.webp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첫 출연 웨이브 40
능력치
체력 80,000
속도 평균 이상
특성 파일:TDSleadanddefense.png방어력 50%
면역 파일:TDSenergyno1.png에너지, 파일:TDSfreezeno1.png빙결
스킬
어둠의 죽음 낫을 휘둘러 가장 가까운 타워 하나를 길게 기절시킨다.

까마귀 가면을 쓴 역병 의사처럼 생겼다.

40 웨이브에서 등장하는 좀비. 기존의 타락한 수호자를 대체하는 적이자, 방사능 괴수의 호위 무사.

14,000의 타락한 수호자보다 5배 이상 높은 80,000이란 체력의 소유자.몰튼 보스보다 체력이 많다 왜 보스가 아닌 거지 거기다 방어력 50%[30], 평균 이상인 이동 속도가 더해져 상당히 대처하기 까다로운 적이다.[31] 선두로 달려나가는 초맹독들의 회복과 80% 방어력 + 80,000의 체력에서 나오는 맷집으로 끈질기게 버티며 진격 하기 때문에 상당히 골치 아프게 만드는 적.

사망할 때 폭발하면서 발작과 함께 비명을 내지르고[소리] 전신의 초록빛이 사라진 뒤 그대로 뒤로 넘어진다.

3.3. 최종 보스

3.3.1. 방사능 괴수(Nuclear monster)

파일:타디시 로고_20220730.png의 모든 최종 보스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모든 보스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튜토리얼
파일:TDS_Dummy_Boss.png
멍청이 보스
일반 게임 모드
파일:GraveDigger2.webp 파일:(k)타디시 몰튼 보스 3.png 파일:(k)타디시 타락한 왕 3.png
무덤 도굴꾼 몰튼 보스 타락한 왕
(구) 게임 모드
파일:오직골드로만들어진골드타이탄.png 파일:타디시방몰최종보스.png
골드 타이탄 방사능 타락한 왕
특별 게임 모드
파일:Nuclearmonster.webp 파일:(k)타디시 건슬링어.png 파일:Scottthewoz.webp
방사능 괴수 건슬링어 욱스 더 폭스
하드코어
파일:FallenSwordmaster.png 파일:VoidReaver0.webp
타락한 검객 공허 파괴자
이벤트
파일:Swordmaster0.png 파일:RaiderBoss.png 파일:JackOBot.webp
검객 침략자 보스 잭 오' 봇 (2019)
파일:Krampus0.webp 파일:꼬꼬야치킨먹자.webp 파일:로드 시니스터 수정본.png
크람푸스 (2019) ㅍ卜멸의 5己ㅣ(2020) 로드 시니스터
파일:FrostSpirit.png 파일:JaxeSE.png 파일:SwampMonster.webp
서리 정령 잭스 늪지 괴물
파일:Prenumbras.webp 파일:The_Umbra.webp 파일:DuckyD00M(D00M'sRevenge).png
페넘브라스 엄브라 ㅍ卜멸의 5己ㅣ(2022)
파일:Mecha_claus.webp 파일:ExecutionerPlush.webp 파일:JackoBotLunar.webp
메카 클로스 처형자 봉제인형 잭 오' 봇 (2023)
파일:Hand.webp 파일:KRKrampus.webp
왼손/오른손 크람푸스 (2023)
파일:TDS creator.png
제작자
Pre-Mega
파일:GraveDigger0.png 파일:FrostHero.webp
무덤 수호자 얼어붙은 영웅 }}}}}}}}}
방사능 괴수
파일:NuclearPI1.jpg
예고 이미지
파일:Nuclearmonster.png
인게임 모델
출연하는 모드 오염된 황무지 Ⅱ
첫 출연 웨이브 40
능력치
체력 1,500,000[33]
속도 극도로 느림(분노 이전), 평균 이하(분노 이후)
면역 파일:ToxicGunnerImmune.png 독, 파일:TDSfreezeno1.png 빙결, 파일:TDSenergyno1.png 기절
패턴
방사능 소환 맹독, 초맹독, 슬라임, 자기장, 흉물체, 융합체, 저주 받은 해골, 섀도우 보스, 러셔, 네크로맨서, 돌연변이 보스를 무작위로 소환한다.[A]
원자로 노심융해 체력이 절반인 750,000이 될 경우, 전신이 초록빛으로 빛나게 되면서 이동 속도가 빨라지고, 발로 짓밟아 충격파 3회, 시야 차단 사격, 무작위 패턴 1개를 순서대로 사용한다. 분노 모드 돌입 이후 방사능 소환 패턴으로 융합체, 흉물체, 초맹독을 소환하지 못하게 된다.
복싱 넉 아웃 오른팔에 힘을 모은 후 땅에 강하게 내리 꽂아 충격파를 일으킴과 동시에 유닛들 에게 500의 피해를 입힌다.
산성 붕괴 복부에서 폭발하는 방사능 구체 다발을 사방으로 발포해 광역 폭발을 일으킨다.
방사능 광포 복부에서 거대한 광선을 발사해 타워들을 기절 시킴과 동시에 유닛들에게 틱 당 피해를 빠르게 입힌다.
시야 차단 사격 하늘을 향해 포효하여 모든 타워들의 사거리를 최대 8초 동안 50% 감소 시킨다. 이 뒤에 항상 방사능 소환 패턴을 사용한다.
BGM 방사능으로 간다!

40 웨이브에서 등장하는 오염된 황무지 Ⅱ의 최종 보스. 그와 동시에 기존의 폴른의 타락한 왕과 (구)방사능 폴른의 방사능 타락한 왕의 포지션을 담당한다.

외형은 거대한 황소 로봇이다. 상반신 곳곳에 조그마한 사람 형상이 빠져 나오려다 만 것처럼 남아 있고, 복부엔 코어로 보이는 기계가 노출, 등에는 안테나가 달린 발전기 내지는 배터리를 달고 있다.[35]

기본 체력만 무려 1,500,000으로 원래 1위였던 하드코어의 1,200,000의 체력을 지닌 공허 파괴자를 다시 2위로 몰아 새웠다. 그리고 이 체력은 기존 방사능 타락한 왕의 체력인 500,000의 3배나 되는 수치다. 첫 도전시 이놈이 나오면 갑자기 겁내거나 당황하여 패배할 거라면서 패닉에 빠지는 유저들이 있는데, 사실상 이까지 왔다면 잡는데 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겁낼 필요가 없다. 체력은 이쪽이 높지만 체감 난이도와 실질적 난이도 모두 공허 파괴자 쪽이 압도적으로 높다.

6가지 패턴을 지녔으며 패턴 하나하나가 상당히 골치 아프니(특히 "시야 차단 사격") 확실히 준비하고 대처해야 한다.

패턴들 중에서도 특히 주의 해야 할게 바로 소환 패턴 + 사거리 감소 패턴. 기절 패턴 쓰고 바로 소환 패턴으로 흉물체초맹독 같은 게 튀어나와 GG를 치는 경우도 있고[36] 입구 근처에서 써서 지는 경우도 있으며, 사거리 감소 패턴은 엑셀이나 골미 같은 중요한 메인 딜러들의 사거리를 줄여 공격 기회를 없애버린다.[37] 거기다 은근 자주 괴성을 내질러 대서 마치 과거 방사능 타락한 왕의 스턴 도배를 떠올리게 하는 수준. 특히 맵의 마지막 원을 돌 때부턴 패턴 주기가 짧아져 전보다 훨씬 자주, 그리고 미친듯이 소환을 해대기 때문에 보스가 마지막 원에 진입한 상태에서 재대로 대응에 실패하면 터진 걸로 보야한다.

체력이 150만인 만큼 잡는데 한 세월이 걸리는 터라 앞서 소환 된 방사능 수호자와 초맹독 무리를 잡느라 시간을 잡아먹어 정작 방사능 괴수를 공격할 시간이 줄어들기도 한다.

체력이 0이 될 시 그 자리에서 전신의 녹색 빛이 사라지고 연쇄 폭발과 함께 발작을 일으키다가 전원이 차단, 그대로 앞으로 넘어지며 완전히 가동 중지된다.

TDS 에서 최초로 사거리 감소 디버프를 일으키는 적이기도 하다.[38]

오염된 황무지의 복귀 소식에 많은 팬들은 방사능 타락한 왕의 복귀를 기대 했지만, 막상 결과물은 왠 황소 로봇이라 아쉬워한 팬도 적지 않다.

전용 테마곡이 있는데, 기존 방사능 타락한 왕의 테마를 리믹스한 버전이다.

출시 직후 7시부터 4시간 동안 클리어가 불가능한 수준의 난이도를 보여주었다. 소환 한 번에 흉물체 혹은 초맹독을 무려 3마리씩이나, 그것도 기지 바로 앞에서 소환하여 죽는 일이 다반사였다. 이를 안 제작진이 추후 이를 빠르게 수정하여 흉물체는 한 마리만 소환되고, 기지 앞에서는 방사능 소환 패턴을 사용하지 못하게, 그리고 분노 돌입 이후 아예 소환하지 못하도록 막음으로서 수정되었다.

참고로 시야 차단 사격은 스턴이 아닌 디버프이기 때문에 메딕의 능력으로 치유할 수 없다. 오로지 DJ의 사거리 버프로 최대한 손해를 줄이는게 유일한 답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 (이전 역사)
문서의 r1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서리 침략 업데이트 이전까지 존재했던 특수한 맵인 오염된 황무지를 리메이크 한 맵이다. 오염된 황무지에서 골든 모드 혹은 폴른 모드를 선택할 경우 특정 적들이 더욱 강력한 변종으로 대체되는 특수한 시스템이 있었는데, 그 시스템을 아예 별도의 게임 모드로 만들어낸 버전이다.[2] 웨이브 30 이후로 나오는 애들이 죄다 체력이 기본 10,000을 넘긴다.[3] 최종 웨이브 클리어시 주는 코인은 무려 1190에 달한다.[4] 워든, 네크로맨서 보스 등.[5] 슬라임, 워든, 네크로맨서 보스 등.[6] 검투사는 사거리 문제로 잘 쓰이진 않는다.[7] 원판은 서로 반대되는 특성을 가진 좀비들이었지만, 여기서는 돌연변이의 완벽한 상위호환으로 등장한다.[8] 혹은 엔지니어 2~3레벨을 사용하는 유저도 있다.[9] 후술할 초맹독도 이 특성을 지닌다.[10] 쉴드는 회복하지 않는다.[11] 3렙 엑셀러레이터가 집중적으로 때려서 다는 피보다 조금 낮은 회복량으로 보면 된다.[12] 22웨이브 이후에 나오는 융합체, 그림자 보스, 자기장, 러셔, 흉물체, 브레이커4, 슬라임, 워든, 네크로맨서 보스, 초맹독이 게임을 터트리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13] 자기 체력 5,000의 3%(150)를 초 당 회복 했었다.[14] 아무런 할인 버프가 없는 상태. 최대 레벨 DJ의 할인을 받아도 "27,200$"으로 꽤 비싸다.[15] 체력이 더 높다 보니 타락한 러셔보단 느리다. 타락한 러셔는 "극도로 빠름"이다.[16] (구)러셔와 다르게 방어력이 매우 높아, 파이로맨서로 방어력을 깎지 않는 이상 쉴드를 파괴 하려면 2,240의 피해를 줘야 한다. 과거 러셔는 방어력이 1도 없었기에 750의 피해만 입히면 무력화가 가능했다.[17] 속도를 생각하면 체력이 반 토막난 대신 물량과 속도를 얻은 폴른 모드의 탱크 수준[18] 맹독 사수도 괜찮긴 하나, 버그 수정으로 이속 저하 디버프가 많이 약해져서 그리 큰 도움은 안 된다.[19] 과거 탱크의 체력은 12,000 이였다.[20] 부활체 상태 까지 합치면 총합 30,000이나 된다![21] 현 탱크의 3배를 조금 넘는 수준.[22] 2021 만우절 기념으로 단 하루 동안 등장 했던 적. 체력 99에 TDS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지녔었다.[23] 덕 헌트 전까지는[39] 일식 이벤트의 태양의 파편 > 달의 파편 > 달의 먼지의 3단 분리가 최대였다.[24] 잘 보면 슬라임의 몸이 붙어있지않고, 나뉘어 있다. 정확힌 반투명한 몸안에 뼈로 보이는 고체 물체가 있는 구조.[25] 분열자 조차 겨우 분열 두 마리가 다였고, 그마저도 본체인 분열자가 이동 속도가 처참하게 느렸던 데다 소환된 분열도 체력이 낮았으나 이놈은 이동 속도는 기존 부머랑 비슷하고 더 튼튼하다.[26] 폭발 범위는 부머보다 조금 좁다. 그대신 부머와 분열자 보다 확실히 체력이 많다는 점이 있어, 극딜 타워로 없애버려야 한다.[27] 슬라임 + 점액 3마리의 체력 총합은 17,000으로 네크로맨서 보스보다 더 높다.[28] (구)방사능 폴른의 분열은 2마리밖에 안 나왔다. 거기다 체력도 낮았던 편.[29] 이로 인해 외국 서버에서 워든이 등장하면 "MINECRAFT COPY!!!" 가 도배되는 경우가 잦았다.[30] 체력은 타락한 수호자보다 많지만, 방어력은 타락한 수호자가 많은 편이다.[31] 방어력이 체력에 비해 높은 편이라, 120,000의 피해를 줘야 한다.[소리] 무슨 뿌뿌~ 하는듯한(?) 소리가 난다.[33] 현재 게임 내에서 가장 많은 체력을 가지고 있다.[A] 가장 위험한 패턴으로, 분노 모드가 되기 전에도 흉물체나 융합체가 소환되어 뚫리는 경우도 있고, 길 후반에서 슬라임을 소환하면 슬라임들이 서브 딜러를 기절시키고 분열하며 기지로 들어간다. 게다가 소환을 엄청 많이 한다.[35] 디자인 때문에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데, 디자인이 맘에 든다는 사람들도 있지만, 옛날 (구)방사능 폴른에 나오던 방사능 타락한 왕이 더 멋지다는 평도 있다.[36] 자기장이나 돌격자, 융합체가 튀어나와 당하는 경우도 있다.[37] 레인저나 터렛, 엔지니어는 원래 기본 사거리가 매우 길어 그 손해가 적으나 엑셀이나 골미는 그에 비해 손해가 심하다. 사령관 또한 버프를 줄 수 있는 범위가 줄어 큰 손해다.[38] 이후 뒤따라 출시된 "건슬링어"와 "욱스 더 폭스"도 사거리 감소 패턴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