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17:33:31

YelløwBoi




<colbgcolor=#353535><colcolor=#fff> 옐로보이 | YelløwBoi
파일:옐로보이.jpg
예명 옐로보이 (YelløwBoi)
본명 강동원
출생 2003년 5월 24일 ([age(2003-05-24)]세)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본관 진주 강씨
신체 176cm, 70kg
학력 한양대 파이낸스경영학과
병역
데뷔 2024년 HYDE 싱글
Hittin' that
소속 크루 HYDE
레이블 Gohard Music[1]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랩 스타일3. 주요 음원

1. 개요

대한민국의 래퍼. HYDE (하이더) 크루 소속이자, 산하 레이블인 Gohard (고하드)의 수장이다. HYDE 크루는 독창적인 사운드를 추구하는 아티스트들이 모인 크루로 외국 시장을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YelløwBoi는 레이블 운영뿐만 아니라 음악적 색깔을 주도한다.
레이지, 멈블, 싱잉 힙합 등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며, 특유의 깔끔한 톤과 정교한 오토튠 활용으로 자신만의 사운드를 구축했다.

2. 랩 스타일

어느 장르의 비트에도 맞아떨어지는[2] 멜로딕하고 스킬풀한 랩이 장기이다.
한국에서는 듣기 힘든 멜로디들을 잘 들고 온다.[3] YelløwBoi 의 랩은 2017~2022 힙합을 적절하게 잘 섞어, 트렌디하게 만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4] YelløwBoi의 랩을 들으면 확실히 신선함을 느낄 수 있다.

3. 주요 음원

Homeschooling (홈스쿨링) _ [Official Lyrics Video] Official Lyrics Video
Realization Youtube
MOVE! Youtube
Mitté (밑에)) Official Visualizer

[1] 외국인이 섞여있거나, 유학을 오래 한것처럼 보이는 HYDE는 외국에 아는 아티스트들이 다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2] 레이지, 트랩, 저크 등의 장르들을 안 가리고 모두 잘 한다.[3] 한국의 대표적인 싱잉 래퍼들인 에쉬 아일랜드, 릴러말즈와는 확실히 다른 멜로디들이 들린다. 좋게 말하면, 외국 리스너들도 신기하게 들을 수 있는 노래들을 만들고, 나쁘게 말하면, 로컬라이징을 하지 않은것 같다.[4] 예시 : Homeschooling( 홈스쿨링), Been, WHATS IN DA C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