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05:37:02

크레이지 자이언트

crazy giant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CRAZY GIANT
크레이지 자이언트
파일:크레이지 자이언트 로고.svg
<colbgcolor=#000000>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장르 남성지
간행 월간
창간일 2015년 12월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대 표지 모델
2.1. 2015년2.2. 2016년2.3. 2017년2.4. 2018년2.5. 2019년2.6. 2020년2.7. 2021년2.8. 2022년
3. 미스 크레이지 자이언트 콘테스트
3.1. 2018년3.2. 2019~20년3.3. 2020~21년
4. 여담5. 사건사고

[clearfix]

1. 개요

2015년 12월에 창간했다. 맥심 이후 한국에서 발간된 매거진이다. 수위는 맥심과 비슷하거나 높은 편이다. 월간 호에 따라 다르다. 또한 MAXIM RED처럼 수위가 더욱 센 더 플레이어라는 잡지를 2019년 5월부터 출간했다. 이 잡지는 한정 판매로 딱 1,000권만 판매한다고 한다. 비교 분석
자매지인 더플레이어는 현재 1호, 2호, 3호, 4호, 5호, 6호, 7호, 8호가 발간되었다. 그외에 개인 화보집을 다양하게 발간하였다.
화보집은 현재 19금으로 지정된 화보집이 많다. 특히 민한나는 이름을 변경하여 미유라는 화보집을 발간하였으나 미유로 발간된 화보집은 현재 19금으로 지정되었다.
한국에서 19금 지정은 완전 노출이 되어야 하는데 미유와 벨라가르텐 등 노출이 없는 화보도 19금으로 지정되었다.
아무래도 정부정책이 변경된 것 같다.(정확한 내용은 아니다.)

2. 역대 표지 모델

2.1. 2015년

파일:크레이지 자이언트_정영현.jpg
크레이지 자이언트 2015년 12월 창간호. 표지 모델은 정영현

2.2. 2016년

2.3. 2017년

2.4. 2018년

파일:크레이지 자이언트_다솜.jpg
2018 미스 크레이지 자이언트 콘테스트 우승자 다솜

2.5. 2019년

2.6. 2020년

2.7. 2021년

2.8. 2022년

3. 미스 크레이지 자이언트 콘테스트

맥심과 유사한 미스 맥심 콘테스트처럼 미스 크레이지 자이언트 콘테스트를 만들었다. 미맥콘과의 차이점이라면 우선 투표 기간은 첫 날 오후 2시~마지막 날 새벽 12시, 그리고 매일 오후 2시에 중간 득표 현황을 알려준다. 그리고 주말에는 쉬기 때문에 올리지 않는다. 두 번째로 다른 점은 두 번의 투표를 하는 것인데, 첫 번째는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으면 하는 참가자들을 뽑고, 다음에는 자신이 제일 원하는 참가자 1명을 뽑는다. 그래서 결승전 1차 투표 때는 두 명을 뽑는다. 이런 투표 방식 때문인지 투표 결과가 바로 나오지 않고 며칠 기다려야 나온다. --큰 인기를 얻고 있던-- 미스 크레이지 자이언트가 2021년부터는 콘테스트를 더 이상 하지 않는 듯하다.

3.1. 2018년

2018년 미스 크레이지 자이언트 콘테스트 결과
순위 이름 1라운드 2라운드[11] 3라운드[12] 결승
우승 다솜[13] 8위 6위(2) 4위(2) 1위(3)
준우승 도희 1위 1위(-) 1위(-) 2위(1)
3위 피아 13위 11위(2) 3위(8) 3위(-)
TOP 5 정예지 9위 8위(1) 5위(3) 4위(1)
유지혜 7위 7위(-) 2위(5) 5위(3)
3라운드 탈락 한수희[14] 4위 5위(1) 6위(1) 탈락
6위 4위(2) 7위(3)
2위 2위(-) 8위(6)
장연아[15] 3위 3위(-) 9위(6)
이진실 11위 10위(1) 10위(-)
2라운드 탈락 여이슬[16] 5위 13위(8) 탈락

3.2. 2019~20년

2019~20년 미스 크레이지 자이언트 콘테스트 결과
순위 이름 1라운드[17] 2라운드[18] 3라운드[19] 결승
우승 허지혜 12위 9위(3) 1위(8) 1위(-)
준우승 김채린 13위 3위(10) 4위(1) 2위(2)
3위 한설아[20] 11위 8위(3) 3위(5) 3위(-)
3라운드 탈락 임으뜸 1위[21] 2위(1) 5위(3) 탈락
남도현 14위 7위(7) 6위(1)
고송희 15위 4위(11) 7위(3)
김지현[22] 6위 11위(5)[23] 8위(3)

3.3. 2020~21년

2020~21년 미스 크레이지 자이언트 콘테스트 결과
최종 결과 이름 1라운드[24] 2라운드[25] 3라운드[26] 결승
우승 로하 5위 1위(4) 1위(-) 1위(-)
준우승 홍초희 [27] 4위 3위(1) 2위(1)
3위 심혜성 3위 3위(-) 2위(1) 3위(1)
3라운드 탈락 박시은 4위 5위(1) 4위(1) 탈락
2라운드 탈락 신혜민 6위 6위(-) 탈락
이슬비 7위 7위(-)

4. 여담

5. 사건사고



[1] 한때 넥센 히어로즈 배트걸을 했다.[2] 레이싱모델로 구성되어 있다.[3] SK텔레콤 광고에서 설현 대역으로 나왔다고 주장했으나 실은 스턴트 대역만 했다고 한다. 이 분이랑 관련 없다[4] 하지만 논란이 생겼다. 이는 사건사고 문단에 후술.[5] 단, 한설아, 남도현은 얼굴이 나오지 않았다.[6] 2020 크자콘에 참가 중이다.[7] 2016 미스 맥심 콘테스트 4강 진출자이며, 미스맥심으로 활동하다 2020년 초 맥심을 퇴사했다.[8] 뒷모습만 보여서 알 수 없다.[9] 2018 미스 맥심 콘테스트에 수아라는 이름으로 참가한 뒤 미스맥심으로 활동하다 2021년 초 맥심을 퇴사했다.[10] 뒷모습만 보여서 알 수 없다.[11] 24명 중 상위 12명 다음 라운드 진출, 2라운드에 걸쳐서 투표가 진행되었다.[12] 10명 중 상위 5명 결승 진출[13] 1라운드 때는 이름이 정하린이었는데 2라운드부터 다솜으로 바뀌었다.[14] 전술했던 2018년 2월호 표지 모델이다. 2018 미스 맥심 콘테스트에도 참가해 최종 8위를 기록했다.(3라운드 탈락)[15] 2018 미스 맥심 콘테스트에도 나왔으나 17위로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16] 2018 미스 맥심 콘테스트에도 나왔다. 최종 순위는 22위로 1라운드 탈락.[17] 24명 중 상위 20명 다음 라운드 진출[18] 15명 중 상위 10명 다음 라운드 진출[19] 8명 중 상위 4명 결승 진출[20] 2017 미스 맥심 콘테스트에도 나왔다. 최종 순위는 7위를 기록했다.(2라운드 탈락)[21] 50만원의 상금도 받았다.[22] 2019 미스 맥심 콘테스트에도 나왔다. 최종 순위는 19위를 기록했다.(2라운드 탈락)[23] 원래는 탈락이지만 10위 박해일라의 기권으로 3라운드에 진출하였다.[24] 17명 중 상위 10명 다음 라운드 진출[25] 7명 중 상위 5명 다음 라운드 진출[26] 4명 중 상위 3명 결승 진출[27] 프리패스로 2라운드에 진출.[28] 2019년 9월 은퇴 선언 후 2020년 3월 복귀.[29] 2018년 11월호에도 표지 모델이었다.[30] 다만, 치어리더 활동을 하지 않고 미용사로 전업했다.[31] 2월: 모든 결승 진출자, 3월: 우승자 허지혜, 4월: 준우승자 김채린, 5월: 3위 한설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