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0 23:38:29

ef - a tale of memories.

ef - a tale of memories. (2007)
파일:ef_memories_keyvisual.jpg
{{{#373a3c,#373a3c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연애, 드라마
원작 minori
카가미 유우(鏡 遊)
미카게(御影)
캐릭터 원안 나나오 나루
2C=가로아(2C=がろあ)
감독 오오누마 신
감수 신보 아키유키
시리즈 구성 타카야마 카츠히코
캐릭터 디자인 스기야마 노부히로
총 작화감독
미술 감독 카토 메구미(加藤 恵)
색채 설계 히비노 히토시(日比野 仁)
촬영 감독 우치무라 요헤이(内村祥平)
편집 세키 카즈히코(関 一彦)
음향 감독 츠루오카 요타
음악 텐몬
야나기 에이이치로(柳 英一郎)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세키도 유이치(関戸雄一)
프로듀서 마츠다 아키오(松田章男)
카즈마 에이지(数馬英治)
카나니와 코즈에(金庭こず恵)
시바타 미츠테루(シバタミツテル)
쿠보타 미츠토시(久保田光俊)
제작 프로듀서 아메미야 시게유키(雨宮茂幸)
애니메이션 제작 샤프트
제작 「ef」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07. 10. 07. ~ 2007. 12. 23.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치바 테레비 / (일) 01:35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줄거리3. 특징 및 평가4. 등장인물
4.1. 주연4.2. 조연
5. 주제가
5.1. OP5.2. ED15.3. ED25.4. ED35.5. 12화 ED
6. 회차 목록7. 엔드 카드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thegeekclinic.files.wordpress.com/efa.jpg
2007년 10월에 방영된 ef - a fairy tale of the two.를 원작으로 한 샤프트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오오누마 신으로 오오누마의 감독 데뷔작이다. ef - the first tale.이 엄청나게 혹평을 받았음에도 원작 제작사인 minori의 프로듀서 사카이 노부카즈의 제안으로 어찌어찌 제작되었다. 스토리 상으로는 원작의 1장, 3장을 다루고 있다. 3장의 경우는 시나리오는 완성되어 있었으나 감독인 오오누마 신은 읽지 않았다고. 시청자와 같은 입장에서 제작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때문에 오리지널 설정이 가미되어 있다.

2.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오토와라는 마을에서 전향성 건망증을 가진 소녀 신도 치히로아소 렌지 커플, 히로노 히로를 두고 삼각관계를 벌이는 미야무라 미야코신도 케이 양쪽의 이야기가 진행된다.

렌지와 치히로는 오토와의 폐역에서 처음 만난다. 렌지와 만나며 조금씩 용기를 얻으며 소설을 쓰기 시작하는 치히로와 그런 그녀를 곁에서 지탱하며 때로는 상처를 받기도 하는 렌지가 한쪽의 이야기.

히로노 히로는 학생 신분이지만 이미 정식 만화가로 잡지에 소녀만화를 연재하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미야무라 미야코와 우연히 만나게 되고 서로에게 호감을 가지게 된다. 히로를 예전부터 짝사랑해온 신도 케이는 두 사람과 갈등을 빚게 되는 등 이들을 둘러싼 이야기가 또 하나의 파트.

두 파트 모두 조언자격 인물들이 존재하는데 치히로&렌지 커플쪽에는 히무라 유우, 미야코→히로←케이 쪽에는 아마미야 유우코이다. 히무라 유우는 어떤 사정으로 인해 치히로를 돌봐주는 보호자격 인물. 아마미야 유우코는 작중 갑자기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등 신비로운 행적을 보이며 정체는 끝까지 밝혀지지 않는다.[1] 이들 두 사람의 항목은 스포일러 덩어리이므로 열람에 주의를 바람.

자세한 스토리는 각 등장인물의 세부 문서에 서술되어있다.

3. 특징 및 평가

당시 주요 제작진들의 나이가 비교적 젊은 작품이다. 감독인 오오누마 신은 본작을 감독할 당시 31세였으며, 캐릭터 디자인이었던 스기야마 노부히로는 26세였다. 여기에 신보 아키유키가 감수로 붙어 샤프트 애니메이션 중 연출적인 측면에선 혁명급이라는 말마저 나올 정도로 독특한 연출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에로게 원작이지만 일반학원물을 이런식으로 연출한 것은 이것이 최초였으며 조금 더 과장을 보태면 결정체로 보일 수 있다. ef시리즈 이후 나온 샤프트 애니메이션들은 독특한 연출력을 조금씩 완화시킨다.

물론 독특한 연출이 꼭 좋은 의미만을 갖는다곤 할 수 없는데 지금껏 전례가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 강렬한 연출은 아무래도 작품스타일에 대한 적응의 필요성 내지 진입장벽을 높이는 원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사실 월영이나 파니포니대쉬를 먼저 접했고 그 연출력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사람이라면 한층 더 강화된 독특한 연출력을 좋게 볼 수 있지만 그 반대라면 심한 이질감과 거부감을 느낄 수 밖에 없다. 후에 샤프트에서 나온 바케모노가타리의 경우 방영당시 독특한 연출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도 많았다. 그런 바케모노가타리도 ef와 비교한다면 순한맛.

특히 7화에 나오는 부재중 전화 씬이나 10화에 나오는 공중전화 씬의 연출은 그 당시 시청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겨주었다. 본작을 본 사람들이라면 잊을 수 없는 장면 중 하나. 여담이지만 인물 작화와 배경 미술이 점점 좋아지는 애니메이션 중 하나다. 1화는 당시 애니메이션 평균에서 하위권 퀄리티로 양산형 애니겠구나 싶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수채화를 연상케하는 배경과 작붕 없이 캐릭터의 매력을 이끌어내는 인물 작화로 이게 정말 2000년대, 그것도 샤프트 애니메이션이 맞나 싶을 것이다. 작화력은 후속작인 ef - a tale of melodies.까지 점점 상승하여 마지막엔 거의 극장판 애니메이션 같은 세심한 작화 및 움직임을 보여준다.

게임판 오프닝 애니메이션을 맡았던 사람이 신카이 마코토였고 연출적인 폭이 다양해지고 내러티브의 깊이도 늘어난 최근의 신카이 감독과 달리 비교적 초창기에 해당하던 당시엔 화면 연출에 있어 밝고 화려한 색감을 극한까지 표현하던 스타일리스트로 유명하던 시절이라 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 이전의 색과 선의 사용에서 극단적으로 절제된 미니멀리즘으로 특징지어지던 샤프트는 신카이 마코토와는 대척점에서 독자적인 스타일을 구축하던 제작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본작의 감수로 참여한 신보 아키유키 감독은 파니포니 대쉬!의 감독을 맡았었고, 본작의 감독인 오오누마 신은 이 작품이 감독 데뷔작이라 불안감이 더더욱 극에 달했다. 따라서 이런 극과 극의 스타일을 보여주는 게임 원작과 TV판 제작사간의 차이가 득이 될지 독이 될지도 세간의 초미의 관심사였다고 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장인은 연장 탓을 하지 않는다는 속담처럼 샤프트는 눈치 보지 않고 자신들의 스타일대로 밀어붙여 장인의 클래스를 보여주는 작품을 만들어냈다.

그래도 샤프트의 후속작인 바케모노가타리에 비해서 작화나 배경묘사는 평범한 애니메이션에 가까워서 이질감은 좀 덜한 편이다. 이후 샤프트 작품의 특징이 컷을 최소한으로 활용한 원가절감과 중요 장면을 글씨로 때우는 기법(..) 등인데 이 작품은 프로토타입이라 그런지 그렇게까지 노골적이진 않으면서도 파격적인 연출은 잘 살렸다. 오히려 일부 장면의 경우 빛 연출이 이질적으로 훌륭하다던가 카메라 시점이 휘황찬란하게 돌아간다던가 하는 컷들이 군데군데 들어가있다. 이는 거의 전부 신카이 마코토의 작업물을 살짝 손봐서(...) TV판에 집어넣은 것으로 게임판 애니메이션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금세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내용 면에서는 2장이 생략되어있는데 분량상의 문제로 보인다. 후속작 ef - a tale of melodies.에서 신도 케이츠츠미 쿄스케가 사귀는 장면이 나오기에 아예 삭제된 것은 아니다. 원작 자체가 하렘물이 아닌 챕터마다 주인공히로인이 따로 있었기 때문에 여러 커플의 이야기를 번갈아 비추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판매량은 4천장 정도 덤으로 게임 판매량을 끌어올려주기도 했다.

4. 등장인물

4.1. 주연

아소 렌지 - (CV : 타카기 모토키/클린트 빅햄)
신도 치히로 - (CV : 야나세 나츠미/모니카 리얼)
미야무라 미야코 - (CV : 타구치 히로코/루시 크리스천)
히로노 히로 - (CV : 시모노 히로/그레그 에어스)
신도 케이 - (CV : 오카다 준코/브리트니 칼보우스키)
츠츠미 쿄스케 - (CV : 타이 유우키/크리스 패튼)

4.2. 조연

아마미야 유우코 - (CV : 나카지마 유미코/칼리 모저)
히무라 유우 - (CV : 토치카 코이치/데이비드 머트랭가)
하야마 미즈키 - (CV : 고토 마이/힐러리 해그)
쿠제 슈이치 - (CV : 하마다 켄지/일리치 과르디올라)
아소 스미레 - (CV : 아오키 사야카/티파니 그랜트)
이즈미 에미 - (CV : 노비키 카오리/앨리슨 섬롤)

5. 주제가

5.1. OP

OP
euphoric field[2][3]
TV ver.
Full ver. (English)
Full ver. (Japanese)
<colbgcolor=#5cd1e5,#5cd1e5><colcolor=#373a3c,#373a3c> 노래 ELISA
작사 사카이 노부카즈
작곡 텐몬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cd1e5,#5cd1e5><colcolor=#373a3c,#373a3c> 콘티 오오누마 신
연출
작화감독 스기야마 노부히로
원화 오오타 카즈히로, 아베 겐이치로, 이마무라 료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2. ED1

ED1
I'm here
TV ver. 1
TV ver. 2
Full ver.
<colbgcolor=#5cd1e5,#5cd1e5><colcolor=#373a3c,#373a3c> 노래 미야무라 미야코(CV. 타구치 히로코)
작사 사카이 노부카즈
작곡 텐몬
편곡 야나기 에이이치로(柳 英一朗)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1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cd1e5,#5cd1e5><colcolor=#373a3c,#373a3c> 일러스트 아보 시마코(あぼしまこ)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2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cd1e5,#5cd1e5><colcolor=#373a3c,#373a3c> 콘티 카미츠보 료키
연출
작화감독 이토 요시아키(伊藤良明)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3. ED2

ED2
刻む季節
TV ver.
Full ver.
<colbgcolor=#5cd1e5,#5cd1e5><colcolor=#373a3c,#373a3c> 노래 신도 케이(CV. 오카다 준코)
작사 오카다 준코
작곡 텐몬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cd1e5,#5cd1e5><colcolor=#373a3c,#373a3c> 콘티 카미츠보 료키
연출
작화감독 스기야마 노부히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4. ED3

ED3
空の夢
TV ver.
Full ver.
<colbgcolor=#5cd1e5,#5cd1e5><colcolor=#373a3c,#373a3c> 노래 신도 치히로(CV. 야나세 나츠미)
작사 미카게(御影)
작곡 야나기 에이이치로(柳 英一朗)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cd1e5,#5cd1e5><colcolor=#373a3c,#373a3c> 콘티 카미츠보 료키
연출
작화감독 스기야마 노부히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5. 12화 ED

12화 ED
悠久の翼 07.mix[4]
TV ver.
Full ver.
<colbgcolor=#5cd1e5,#5cd1e5><colcolor=#373a3c,#373a3c> 노래 아마미야 유우코(CV. 나카지마 유미코)
작사 사카이 노부카즈
작곡 텐몬
편곡 텐몬
야나기 에이이치로(柳 英一朗)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 회차 목록

<rowcolor=#373a3c,#373a3c> 회차 제목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01. eve 오오누마 신 오오누마 신 스기야마 노부히로 2007.10.07.
02. upon a time 帆村壮二 시오츠키 카즈야
(潮月一也)
후루카와 히데키
(古川英樹)
2007.10.14.
03. paradox 카미츠보 료키 마츠자와 켄이치
(松澤健一)
타바타 아키라
(田畑 昭)
2007.10.21.
04. honesty 모리 요시히로
(森 義博)
카미츠보 료키 나카야마 하츠에
(中山初絵)
이토 요시아키
(伊藤良明)
타나카 미노루
(田中 穣)
2007.10.28.
05. outline 쿠사카와 케이조 이이무라 마사유키
(飯村正之)
이토 요시아키
시미즈 케이타
(清水慶太)
후루카와 히데키
2007.11.04.
06. rain 미야자키 슈지
(宮崎修治)
2007.11.11.
07. I... 오오누마 신 시오츠키 카즈야
타마키 신고
2007.11.18.
08. clear colour 쿠사카와 케이조 타카시마 다이스케
(高島大輔)
타바타 아키라
누마츠 마사토
(沼津雅人)
2007.11.25.
09. forget me not 시마즈 히로유키 모리 요시히로 시미즈 케이타 2007.12.02.
10. I`m here 이시쿠라 켄이치
(石倉賢一)
키타가와 마사토
(北川正人)
이시쿠라 켄이치
이토 요시아키
타마키 신고
타나카 미노루
2007.12.09.
11. ever forever 미야자키 슈지 2007.12.16.
12.
(coda.)
love 쿠사카와 케이조
오오누마 신
오오누마 신 시오츠키 카즈야
후루카와 히데키
니시다 미야코
(西田美弥子)
스기야마 노부히로
2007.12.23.
dream

각화의 제목 첫자를 연결하면 euphoric field가 된다.[5]

7. 엔드 카드

ef - a tale of memories./엔드 카드 문서 참고.


[1] 2기인 ef - a tale of melodies.에서 밝혀진다.[2] 12화를 제외하면 영어 가사가 쓰였으며, 12화에서는 일본어 가사가 쓰였다.[3] 2020년 11월 26일, 세가의 아케이드 리듬게임 CHUNITHM CRYSTAL PLUS에 수록되었다.[4] 원작 게임 1부의 오프닝을 리믹스한 곡. 원곡의 노래는 하라다 히토미.[5] 오프닝의 제목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