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14 20:57:27

에서 넘어옴
열 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고등학교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ひら-く, もう-す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啓는 '열 계'라는 한자로, '열다', '일깨우다', '시작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열다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kai2
객가어 khí
민동어 kiē
민남어 khé
오어 qi (T2)
일본어 음독 ケイ
훈독 ひら-く, もう-す
베트남어 khải

유니코드에 U+555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 啓를 竹大口(HKR) 또는 戈大口(IKR)로, 본자인 啟를 竹口人大(HROK)로 입력한다.

원래 이 글자는 한쪽 문의 모습을 본뜬 (집 호) 자와 오른손의 모습을 본뜬 (또 우) 자가 합쳐진 회의자였다.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손으로 문을 열어젖히는 형태로 나타나며, '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 금문에서 밑에 (입 구) 자가 추가되고 소전에서 又 자가 (칠 복) 자로 바뀌면서 지금의 형태가 되었고, 또 '깨우치다'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口 자가 글자의 아래 부분을 차지하는 ⿱敫口 모양이지만, 홍콩과 대만에서는 口 자가 戶 구석으로 들어간 ⿰启攵 형태인 啟를 사용하는데, 사실 이 啟가 본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