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15:19:14

알 지에서 넘어옴
알 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し-る, し-らせる
-
표준 중국어
zh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
3.1. 단어3.2. 고사성어/숙어3.3. 인명/지명/창작물
3.3.1. 인명
3.3.1.1. 한국 인명3.3.1.2. 일본 인명3.3.1.3. 기타
3.3.2. 지명3.3.3. 창작물
3.4. 기타
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知는 '알 지'라는 한자로, '알다', '알리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선 U+77E5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에서는 人大口(OKR)로 입력한다.

파일:知·智(갑골문).svg
갑골문에서는 사냥하는 무기를 뜻하는 (방패 간), (화살 시)와 구술로 전수하는 의미의 (입 구)가 합쳐져 사냥과 싸움의 경험을 전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금문으로 오면 이 생략되고 (가로 왈)이 더해져 가 되었고, 이후 로 분화되었다.

(슬기/지혜 지)와의 관계가 특이한데, 자형상으로는 智 쪽이 知보다 금문에 먼저 등장한다. 그러나 의미상으로는 동사 '알다'(知)에서 명사 '지식', '지혜'(智)가 파생된 것으로 본다. 知는 평성이고 智는 거성이다.

# 知와 智의 고문(古文) 분석글(중국어).

초서체가 히라가나 chi(ち) 의 유래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지명/창작물

3.3.1. 인명

3.3.1.1. 한국 인명
3.3.1.2. 일본 인명
3.3.1.3. 기타

3.3.2. 지명

3.3.3. 창작물

3.4.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늦는다는 뜻의 지각이 당연히 아니고, 어떤 것을 느낀다는 뜻의 지각이다.[2] [지쩍\]으로 발음한다.[3] 틀린 점을 '지적하다' 등에 쓰이는 '지적'의 '지'는 손가락 지를 사용한고 '지적' 그대로 발음한다. 여기서의 '지적'은 '지식이 있다', 혹은 '지식에 관한'이라는 뜻. 가령, '저 사람은 지적이어 보인다'에서의 '지적'이다.[4] '지식에 관한' 재산권.[5] 운수 좋은 날주인공인 '김 첨지'의 그 '첨지'이다. 특별히 다르게 부를 만한 말이 없는 나이 있는 남자를 편하게 부를 때 쓰던 호칭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