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17:14:42

가트 쿨롱

VI. 베놈에서 넘어옴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2d2f34>
파일:에빌리오스 시리즈 로고.svg
[[에빌리오스 시리즈|
에빌리오스 시리즈
エヴィリオスシリーズ
]]
등장인물
||<-2><tablebordercolor=#000><table width=100%><colbgcolor=#000><tablebgcolor=#ffffff,#191919> 등장인물 ||
퍼스트
피리어드
<colcolor=#000,#fff>비히모 바리졸
세컨드
피리어드
싯클 · 엘드 위그드라 · 레비아 바리졸 · 비히모 바리졸 · 루나 하즈키 · 리치 아크로우 · 마이클 아크로우 · 구미리아 마츠모토 · 이터 사베아 · 질 드리에 · 블라드 츠벨시 · 마리 아네트 · 라합 바리졸 · 세일럼 댄버 · 세트 트와이라이트 · 카트린느 드리에 · 페이저
[ruby(원죄, ruby=原罪)] 아담 문릿 · 이브 문릿 · 헨젤과 그레텔 · 메타 잘름호퍼 · 마리아 문릿 · 가몬 루프 옥토퍼스 · 레비아비히모 · 키릴 클락워커 · 이리나 클락워커 · 엘루카 치르크라시아 · 엘루카 클락워커 · 페일 노엘 · 이고르 아사예프 · 라이사 네츠마 · 밀키 에이츠 · 리 리
[ruby(색욕, ruby=色欲)] 사테리아지스 베노마니아 · 구미나 글래스레드 · 미쿠리아 그리오니오 · 루카나 옥토 · 메이리스 벨제니아 · 유피나 마론 · 카체스 크림 · IR · 토이 콘치타 · 이로트 베노마니아 · 닐포 베노마니아
[ruby(악식, ruby=悪食)] 바니카 콘치타 · 카를로스 마론 · 폴로와 아르테 · 플라토닉 · AB-CIR · 론 그래플
[ruby(오만, ruby=傲慢)] 릴리안느 루시펜 도트리슈 · 알렌 아바도니아 · 제르메인 아바도니아 · 카일 마론 · 미카엘라 · 클라리스 · 구미리아 · 레온하르트 아바도니아 · 마리암 프타피에 · 네이 프타피에 · 샤르테트 랑그레이 · 미니스 스튀프 · 릴리안느 무셰 · 다니엘 오스딘 · 알스 루시펜 도트리슈 · 안네 루시펜 도트리슈 · 킬 프리지스 · 미키나 프리지스 · 유키나 프리지스 · 쇼 프리지스 · 아일 프리지스 · 프림 마론 · 어비스 I.R. · 가스트 베놈 · 에인
[ruby(나태, ruby=怠惰)] 마르가리타 블랑켄하임 · 레미 아벨라르 · 한네 로레 · 하이데마리 로레 · 줄리아 아벨라르 · 카스파르 블랑켄하임 · 브루노 마론 · 메이라나 블로섬 · 네이 · 가트 쿨롱 · 유제트 오라 · 린 짱 · 톤 코퍼 · 에인 앵커
[ruby(질투, ruby=嫉妬)] 스도우 카요 · 스도우 가쿠가 · 스도우 카구라 · 엘루카 “Ma” 클락워커 · 흑단동자 · 미로쿠 카이 · 미로쿠 메이 · 미로쿠 미쿠 · 미로쿠 린 · 이누키치 · 츠키모토 부후코 · 무스비 유카 · 명계의 주
갈레리안 마론 · 네메시스 스도우 · 인형관장 · Ma · 토니 오스딘 · 뇨제 옥토 · 가몬 옥토 · 브루노 제로 · 시로 네츠마 · 헬 야코 · 펜 리 · 포스트맨 · 요르무 자스코 · 묘지의 주 · 서번츠 · 톱니바퀴 · 미라 마론 · 미셸 마론 · 로키 프리지스 · 그슈마 야렐라 · 해머 발드르드 · 아모스티아
[ruby(종말, ruby=黙示)] 아담과 이브
포스
피리어드
설정
||<-2><tablebordercolor=#000><table width=100%><colbgcolor=#000><tablebgcolor=#ffffff,#191919> 설정 ||
연표 <colcolor=#000,#fff>퍼스트 · 세컨드 · 서드 (원죄 · 색욕 · 악식 · 오만 · 나태 · 질투 · 탐욕 · 분노 · 종말) · 포스 · 연도 불명
용어 구울 차일드 · 계보자 · 대죄 계약자 · 대죄의 그릇 · 대죄의 악마 · 리 버스데이 · 보라색 꿈 · 블랙박스 · 오르골 · 이레귤러 · 전신술 · 클라임 원 · 피리어드 · gift · Hereditary Evil Raiser
장소 보르가니오 (레비안타 · 엘페고트 · 마론 · 라이오네스 · 루시페니아 · 아스모딘 · 벨제니아 · 타산 · 무국 · 사국) · 마이스티아 · 명계
단체 네츠마 족 · 레빈교 · 루시페니아 레지스탕스 · 루시페니아 왕가 · 마론 왕가 · 벨제니아 황가 · 오쿠토 가문 · 콘치타 공작가 · 페르 노엘 · 프리지스 가문 · 프리지스 재단 · 타산당 · 홍의중 · Evil's Theater
사건 레비안타의 재액 · 베노마니아 가문 학살 사건 · 베노마니아 사건 · 바니카 콘치타 실종 사건 · 루시페니아 혁명 · 헤비가하라 전투 · 트라게이 괴질 사건 · 롤드 연쇄살인 사건 · 엔비자카 대화재 사건 · 엔비자카 연쇄살인 사건 · 타이타니스 호 침몰 사건 · 레비안타 내란 · 에빌리오스 대전
||

<colcolor=#000> 파일:페르 노엘.jpg
페르 노엘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colcolor=#fff> 수장: I. 산타클로스
줄리아 아벨라르
II. 딜러 카스팔 블랑켄하임브루노 마론
III. 잠재우는 공주
마르가리타 블랑켄하임엘루카 클락워커
IV. 섀도우
메이라나 블로섬네이
V. 피에로 ???레미 아벨라르
VI. 베놈 가트 쿨롱
VII. 마술사 유제트 오라엘루카 클락워커
VIII. 저격수 구미리아 }}}}}}}}}
<colbgcolor=#583970><colcolor=#fff> 에빌리오스 시리즈의 등장인물
가트 쿨롱
ガット=クーロン | Gatt Coulomb
파일:가트 쿨롱 프로필.png
이명 여섯 번째 베놈
六番目のヴェノム | Sixth Venom
출생 E.C. 5??년
아스모딘 제국
국적 아스모딘 제국 (5??년 ~ 6??년)
성별 남성
소속 아스모딘 제국 육군 (5??년 ~ 611년)
페르 노엘 (5??년 ~ 611년)
직위 아스모딘 제국 육군 부장군 (5??년 ~ 611년)
페르 노엘 VI. 베놈 (5??년 ~ 611년)
재소자 (611년 ~ 6??년)
가족 고조할머니 옥토 부인
증조할아버지 가스트 베놈
증조할머니 나기사 쿨롱
증고모할머니 세이라 옥토
할아버지 옥토
어머니 옥토 부인[1]
VOCALOID 가쿠포이드

1. 개요2. 작중 행적
2.1. 나태 시대2.2. 종말 후
3. 등장 곡4. 기타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에빌리오스 시리즈의 등장인물. 범죄조직 페르 노엘의 VI. 베놈이다. 웬만한 여자 뺨치게 예쁘다고 한다.[2]

아스모딘 제국군의 부장군이기도 하며, 창녀의 아이라는 출신 성분 탓에 장군으로는 승진하지 못한다고 한다. 하오체를 사용한다.

2. 작중 행적

2.1. 나태 시대

아스모딘에서 태어났으며, 베노마니아의 후손이자 가스트의 증손자라는 이유로 심한 차별을 받으며 자라다가 이후 아스모딘 군에 입대하여 부장군이 된다. 어느 날 가트는 줄리아 아벨라르를 만나서 분노의 그릇을 받고 페르 노엘에 들어가 VI. 베놈이 되었다.[3] 그 후 가트는 조직에서 활동하면서 레미 아벨라르, 메이라나 블로섬과도 친해지게 되었고, 다섯 번째 피에로[4]가 세계경찰 윌스 졸락에 의해 사살당하자, 조직에서 암살을 담당하게 된다.

EC 608년 겨울, 루시페니아 공화국의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자 가트는 줄리아로부터 베놈 소드의 회수와 VII. 마술사 유제트 오라를 숙청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그러나 가트는 유제트에게 숙청의 때가 되었음을 미리 알려주고, 유제트가 베놈 소드를 들고 도망치는 것을 눈감아준다.

EC 609년에는 줄리아가 엘루카 클락워커에게 집착하는것을 질투한 메이라나가 엘루카를 죽이려고하자 거기에 동조하여, 얼굴을 가리고 카르가란드의 사서로 위장했다가, 엘루카가 린 쨩을 구출할때 엘루카의 옆구리를 찔러 중상을 입힌다. 트라게이 괴질 사건이 종결된 후, 줄리아에게 보고를 하였고, 엘루카를 허락도 없이 죽이려했다는 이유로 뺨을 맞고 정원의 잡초를 뽑는 등 잡일꾼으로 격하된다.

EC 610년에는 세계 경찰에 체포당해 하트비트 클락타워에 위치한 취조수행부로 끌려가 고문을 당하던 카이돌 블랑켄하임(브루노 마론)을 암살했다. EC 611년 카이돌 살해범으로 지명수배를 당한 가트는 메리고드 고원으로 향하던 엘루카와 구미리아를 습격한다. 그러자 엘루카는 최면으로 가트를 제압하려 했으나, 가트는 최면에 내성이 있어서 통하지 않았다.

그러나 엘루카가 레비안타 5대 파괴 마법중 하나인 번개 마법 '메드베디 우비치'[5]로 가트를 공격하자, 가트는 그대로 제압당하고, 분노의 그릇 그림 디 엔드도 빼앗긴다. 메리고드 고원의 결투가 끝난 후, 가트는 이리나의 지배로부터 벗어난 제르메인 아바도니아와 함께 세계 경찰에게 체포당해 죽을 때까지 감옥살이를 하게 되었다. 사망 후 그의 영혼은 heavenly yard, 즉 천국으로 가게 되었다.

2.2. 종말 후

파일:색욕&나태 시대 등장인물/mothy.png
종말 후 master of the heavenly yard에서는 카스팔 블랑켄하임, 구미나 글래스레드, 루카나 옥토와 함께 릴리안느 루시펜 도트리슈를 위해 노래를 불러 준다.
파일:가트 쿨롱/떠나는 사람들의 왈츠.png
이후 떠나는 사람들의 왈츠에서는 모든 일이 끝나고 새로운 세계의 시작을 축하하는 무도회에 참석했다. 같이 춤추는 사람은 유제트 오라로 추정.

3. 등장 곡

등장 곡
연대 제목 비고
1000 master of the heavenly yard 첫 등장
1000 떠나는 사람들의 왈츠 마지막 등장

4. 기타

5. 관련 문서


[1] 창녀였다.[2] 사람의 얼굴을 바꾸어주던 마술사 유제트 오라도 그를 무뚝뚝한 장교 같은 일을 하기에는 아까울 정도의 아름다운 얼굴이라고 평했을 정도. 오만 시대 출신인 증조부도 그 시대에 비슷한 소리를 들었으니 아마 유전인 듯(…) 하다.[3] 페르 노엘에 들어가 줄리아에게 충성하게 된 이유는 대의를 위해서. 그의 말에 따르면 세상에는 필요한 악이란 게 있다고 한다.[4] 레미가 아니다.[5] 이브가 메타를 죽일 때 쓴 마법.[6] mothy의 소설 대부분의 삽화와 표지 및 코믹스를 그렸다.[7] 당장 줄리아를 따르며 패르 노엘에 들어간 이유도 정의를 위해서였다. 즉, 스스로 필요악을 자청했다는 것. 그러나 분노의 그릇을 손에 넣었을 땐 다소 주어진 힘에 심취해있기는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