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15:55:47

미니스 스튀프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2d2f34>
파일:에빌리오스 시리즈 로고.svg
[[에빌리오스 시리즈|
에빌리오스 시리즈
エヴィリオスシリーズ
]]
등장인물
||<-2><tablebordercolor=#000><table width=100%><colbgcolor=#000><tablebgcolor=#ffffff,#191919> 등장인물 ||
퍼스트
피리어드
<colcolor=#000,#fff>비히모 바리졸
세컨드
피리어드
싯클 · 엘드 위그드라 · 레비아 바리졸 · 비히모 바리졸 · 루나 하즈키 · 리치 아크로우 · 마이클 아크로우 · 구미리아 마츠모토 · 이터 사베아 · 질 드리에 · 블라드 츠벨시 · 마리 아네트 · 라합 바리졸 · 세일럼 댄버 · 세트 트와이라이트 · 카트린느 드리에 · 페이저
[ruby(원죄, ruby=原罪)] 아담 문릿 · 이브 문릿 · 헨젤과 그레텔 · 메타 잘름호퍼 · 마리아 문릿 · 가몬 루프 옥토퍼스 · 레비아비히모 · 키릴 클락워커 · 이리나 클락워커 · 엘루카 치르크라시아 · 엘루카 클락워커 · 페일 노엘 · 이고르 아사예프 · 라이사 네츠마 · 밀키 에이츠 · 리 리
[ruby(색욕, ruby=色欲)] 사테리아지스 베노마니아 · 구미나 글래스레드 · 미쿠리아 그리오니오 · 루카나 옥토 · 메이리스 벨제니아 · 유피나 마론 · 카체스 크림 · IR · 토이 콘치타 · 이로트 베노마니아 · 닐포 베노마니아
[ruby(악식, ruby=悪食)] 바니카 콘치타 · 카를로스 마론 · 폴로와 아르테 · 플라토닉 · AB-CIR · 론 그래플
[ruby(오만, ruby=傲慢)] 릴리안느 루시펜 도트리슈 · 알렌 아바도니아 · 제르메인 아바도니아 · 카일 마론 · 미카엘라 · 클라리스 · 구미리아 · 레온하르트 아바도니아 · 마리암 프타피에 · 네이 프타피에 · 샤르테트 랑그레이 · 미니스 스튀프 · 릴리안느 무셰 · 다니엘 오스딘 · 알스 루시펜 도트리슈 · 안네 루시펜 도트리슈 · 킬 프리지스 · 미키나 프리지스 · 유키나 프리지스 · 쇼 프리지스 · 아일 프리지스 · 프림 마론 · 어비스 I.R. · 가스트 베놈 · 에인
[ruby(나태, ruby=怠惰)] 마르가리타 블랑켄하임 · 레미 아벨라르 · 한네 로레 · 하이데마리 로레 · 줄리아 아벨라르 · 카스파르 블랑켄하임 · 브루노 마론 · 메이라나 블로섬 · 네이 · 가트 쿨롱 · 유제트 오라 · 린 짱 · 톤 코퍼 · 에인 앵커
[ruby(질투, ruby=嫉妬)] 스도우 카요 · 스도우 가쿠가 · 스도우 카구라 · 엘루카 “Ma” 클락워커 · 흑단동자 · 미로쿠 카이 · 미로쿠 메이 · 미로쿠 미쿠 · 미로쿠 린 · 이누키치 · 츠키모토 부후코 · 무스비 유카 · 명계의 주
갈레리안 마론 · 네메시스 스도우 · 인형관장 · Ma · 토니 오스딘 · 뇨제 옥토 · 가몬 옥토 · 브루노 제로 · 시로 네츠마 · 헬 야코 · 펜 리 · 포스트맨 · 요르무 자스코 · 묘지의 주 · 서번츠 · 톱니바퀴 · 미라 마론 · 미셸 마론 · 로키 프리지스 · 그슈마 야렐라 · 해머 발드르드 · 아모스티아
[ruby(종말, ruby=黙示)] 아담과 이브
포스
피리어드
설정
||<-2><tablebordercolor=#000><table width=100%><colbgcolor=#000><tablebgcolor=#ffffff,#191919> 설정 ||
연표 <colcolor=#000,#fff>퍼스트 · 세컨드 · 서드 (원죄 · 색욕 · 악식 · 오만 · 나태 · 질투 · 탐욕 · 분노 · 종말) · 포스 · 연도 불명
용어 구울 차일드 · 계보자 · 대죄 계약자 · 대죄의 그릇 · 대죄의 악마 · 리 버스데이 · 보라색 꿈 · 블랙박스 · 오르골 · 이레귤러 · 전신술 · 클라임 원 · 피리어드 · gift · Hereditary Evil Raiser
장소 보르가니오 (레비안타 · 엘페고트 · 마론 · 라이오네스 · 루시페니아 · 아스모딘 · 벨제니아 · 타산 · 무국 · 사국) · 마이스티아 · 명계
단체 네츠마 족 · 레빈교 · 루시페니아 레지스탕스 · 루시페니아 왕가 · 마론 왕가 · 벨제니아 황가 · 오쿠토 가문 · 콘치타 공작가 · 페르 노엘 · 프리지스 가문 · 프리지스 재단 · 타산당 · 홍의중 · Evil's Theater
사건 레비안타의 재액 · 베노마니아 가문 학살 사건 · 베노마니아 사건 · 바니카 콘치타 실종 사건 · 루시페니아 혁명 · 헤비가하라 전투 · 트라게이 괴질 사건 · 롤드 연쇄살인 사건 · 엔비자카 대화재 사건 · 엔비자카 연쇄살인 사건 · 타이타니스 호 침몰 사건 · 레비안타 내란 · 에빌리오스 대전
||
<colbgcolor=#fff><colcolor=#000> 에빌리오스 시리즈의 등장인물
미니스 스튀프
ミニス=ステュープ | Minis Stoup
파일:미니스 스튀프 프로필.png
출생 E.C. 44?년 ~ E.C. 456년[1]
파일:루시페니아 국기.svg 루시페니아 왕국
국적 파일:루시페니아 국기.svg 루시페니아 왕국 (4??년 ~ 500년)
성별 남성
소속 루시페니아 왕국 (4??년 ~ 500년)
직위 루시페니아 왕국 대신 (4??년 ~ 491년)
루시페니아 왕국 재상 (491년 ~ 500년)
가족 아버지 스튀프
뮤지컬 배우 와타나베 카츠미 (2017년)
하치스 카즈키 (2019년)
코지마 코토리 (2021년・2024년)

1. 개요2. 캐릭터 소개
2.1. 특징2.2. 능력
3. 작중 행적
3.1. 오만 시대3.2. 종말 후3.3. 기타 매체
3.3.1. 뮤지컬
4. 등장 곡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으... 으아아!!! 이젠 뭘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어... 아빠... 나 어떡하지...

에빌리오스 시리즈의 등장인물. 루시페니아 왕국의 마지막 재상이다.

2. 캐릭터 소개

2.1. 특징

재상 하면 생각나는 스테레오타입인 백발의 중년 남성으로, 머리를 묶은 채 길게 늘어뜨리고 있다. 죽은 안네 루시펜 도트리슈 여왕, 삼영웅인 레온하르트 아바도니아, 마리암 프타피에, 엘루카 클락워커와 함께, 하인 알렌 아바도니아진짜 정체가 무엇인지를 아는 몇 안 되는 인물이다.

2.2. 능력

특징만 보면 매우 노후한 명재상일 듯 싶지만, 실제로 그가 출세한 까닭은 루시페니아의 고관대작이었던 아버지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알렌의 비밀을 알고 있다는 몇 안 되는 사람이라는 설정이 무색하게, 실제로는 허구한 날 릴리안느에게 시달리기만 하는 비굴하고 무기력한 모습을 보인다. 참고로 알렌은 '뭐, 하인인 내가 봐도 그가 국정에 도움이 되는 건지는 모르겠다'(...)라고 그를 깐다. 한편 마론에 사절단으로 갔을 때 선물은 미니스가 골랐을 정도로 남의 비위 맞추는 능력은 타고났다던 모양이다.

등장하는 장면마다 전부 릴리안느의 비위나 맞추기에 급급하며, 그녀가 화를 내면 급격히 소심해져 어떻게든 그녀를 달래려고 한다. 보고 있으면 알스가 아버지인지 미니스가 아버지인지 헷갈릴 지경. 이러면서 고위급 자제라는 뽀대는 내고 싶었는지 아랫사람에게는 굉장히 고압적으로 굴었다.위급할 때는 아이처럼 아빠를 찾는데, 미니스 본인부터가 아버지의 그늘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만큼, 아버지 생전에도 그에게 의지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혁명이 발발하자 이전의 무기력한 모습은 어디 가고 냉철한 분석으로 당황해 하던 대신들을 진정시키고 사태를 수습해 나가려는 리더십을 보이는 의외의 면모도 있었다. 실제로 프리지스 상업 연합의 개입이나 엘페고트의 저항이 없었다면 초반 미니스의 분석대로 혁명은 쉽게 진압될 수 있었다. 사실 작중 드러나지는 않지만, 명군이었던 알스-안네 치세에 그가 중용되고 특히 9년 간 재상 직에 있었다는 것은 그의 능력이 보기보다 뛰어남을 짐작 가능하다. 애시당초 무능하다고 일컬여지는 것 또한 작중 그가 릴리안느에게 휘둘리는 모습을 보여서 그렇지, 그의 실무 능력에 대한 이야기는 나오지 않는다. 오히려 당시 릴리안느는 정사를 내팽겨친 채 놀고 있던 것을 보면 실무는 미니스가 다 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렇기에 작중 미니스가 무능하게 묘사되는 까닭은 그가 바보여서가 아니라 오랜 평화로 인해 태만해지기도 했고, 릴리안느에게 너무 시달려서 질려 버렸기 때문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3. 작중 행적

3.1. 오만 시대

E.C. 440년대 초반에서 450년대 중반 사이, 루시페니아 왕국의 명망 있는 귀족 가문인 스튀프 가문에서 태어난 미니스는 아버지의 영향력으로 왕궁에 입성해 대신 직을 맡고 있었다. 491년 당시에도 국왕 알스 루시펜 도트리슈를 섬기고 있다가, 그의 붕어 이후 후계자 분쟁이 일어나자 제네시아 재상과 함께 알렉시르파에 서게 된다. 도중에 릴리안느파였던 프레지 로그제 내무대신이 ‘제네시아와 안네가 알스의 유언장을 조작했고, 진정한 후계자는 릴리안느다’라고 주장하자, 다른 대신들과 함께 그를 비웃으며 진정한 후계자는 알렉시르라고 조롱하기도 했다.

이후 제네시아는 프레지에게 모살되고, 그 프레지조차 악마의 힘을 사용하며 날뛰다가 마리암 프타피에, 엘루카 클락워커에 의해 숙청됨에 따라 릴리안느의 후계자 등극이 확실시되었고, 미니스는 안네에 의해 제네시아의 후임 재상에 취임한다. 이 때 알렉시르 왕자가 레온하르트 아바도니아에게 입양되어 알렌 아바도니아로서 새 삶을 살게 되었다는 비밀을 전해 들었다.[2]

이후 안네 루시펜 도트리슈의 재위 시절에도 재상 직을 유지하며 국무를 다스리다가, 안네가 사망했을 당시에는 마리암으로부터 알렌이 하인으로 오기로 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이튿날 엘루카가 제자를 찾기 위해 엘페고트에 있는 천년수의 숲으로 향하자, 그녀에게 호위를 붙이겠다는 제안을 하지만 거절당하고, 그 대신 엘루카에게는 알렌의 정체에 대해 비밀로 붙여달라고 부탁한다.

미니스는 릴리안느 루시펜 도트리슈가 즉위한 뒤로도 재상의 자리에 앉았지만, 숙청이 무서웠는지 아니면 원래 그런 성격이었는지는 몰라도 릴리안느의 비위를 맞추면서 그녀의 충실한 예스맨이 되어 버린다. 14번째 생일과 즉위 1주년을 준비하는 동안, 소리의 방에서 레온하르트와 접견했고, 그가 궁전의 식량을 사람들에게 나눠야 한다고 주장하자, 생일 파티 때문에 할 시간이 없다며 거부했다. 레온하르트가 떠난 후 미니스는 분노한 릴리안느를 달래기 위해 애를 썼고, 곧장 손님들에게 초대장을 보냈다.

12월 27일, 생일 파티가 열리자 사회자로서 귀빈들과 인사를 나눴고, 곧 등장한 거대한 생일 케이크를 소개하며 귀빈들을 놀라게 한다. 얼마 후 릴리안느에게 항의한 정치가의 처형을 논하는 회의에 참석했고, 회의가 끝나자 릴리안느가 불 같이 화를 내며 미니스를 불렀다. 미니스는 릴리안느의 말에 총알처럼 달려오며 이 때 알렌은 제르메인 아바도니아가 키우던 개 차피를 떠올렸다(...) 릴리안느는 음식이 맛이 없었고 나이프가 한 자루 부족했다며 미니스를 몰아 붙이는데, 이 때 하인 아산[3]이 나이프로 그녀를 찌르려는 것을 보고 겁을 먹으며 주저 앉아 버렸다(…)[4]

그 후 엘페고트마론 국이 기근에 대한 구호품을 보내자 미니스는 감사함을 표하고자 사절단으로서 마론으로 향했다.[5] 마론에서 국왕 카일 마론, 황태후 프림 마론을 알현한 뒤, 유리병에 담긴 ‘엄청나게 굉장한 문어’를 선물로 받고 돌아 왔다. 그러나 곧 미니스는 카일로부터 전달 받은 ‘엘페고트에 마음에 둔 사람이 생겨 릴리안느와의 혼약은 없었던 것으로 하자’는 요구를 릴리안느에게 아뢰었고, 분노한 릴리안느가 그 여자의 정체가 무엇이냐고 물었지만 미니스는 자세한 이야기는 듣지 못 했다며 쩔쩔매기에 바빴다.

일주일 동안 릴리안느는 방 안에서 깽판을 치더니만 갑자기 미니스를 불러서는, 엘페고트를 멸망시켜 버리라는 명령을 내린다. 평소 시키는 대로만 했던 미니스도 이것은 아니라고 판단했는지, 방황의 숲과 천년수의 숲이 가로막혀 있기 때문에 공격하기 힘들다고 반론했지만 눈이 멀어 버린 릴리안느에게 반론은 통할 리가 없었고, 이에 반대한 엘루카 클락워커가 자리를 박차고 나가는 것을 지켜 보게 된다. 그리고 그 날 저녁 미니스는 그녀의 명령대로 숲을 불살라 버린다.

미카엘라네이 프타피에에 의해 살해당한 뒤, 미니스는 아예 엘페고트를 완전 지배하기로 결정을 내렸으나, 어느 날 무도회 중 왕궁에 침투한 괴한에 의해 피습당하며 중상을 입기에 이른다.[6] 이후 참다 못한 제르메인 아바도니아와 민중들이 루시페니아 혁명을 일으키자, 아픈 몸에도 불구하고 상황을 정리하러 나선다.[7]

당황한 대신들에게 혁명군은 하류 계급이며 상류층과 중류층은 움직이지 않고 있으니, 롤드 용병단과 롤럼 정규군이 대응하게 만들고, 조르주 오스딘의 엘페고트 주둔군만 회군하면 즉시 진압이 가능하다며 의외로 냉철한 판단을 내린다. 하지만 그의 각성이 무의미하게, 엘페고트 주둔군은 엘페고트의 잔당과 시민들에게 발목이 잡혀 오도가도 못 하는 상황이었고, 석방된 킬 프리지스가 롤럼의 상인단을 설득해 혁명을 지원하고 있었다. 이에 분노한 미니스는 킬과 그 가족들을[8] 끌고 오라고 명한 뒤, 가스통 무셰 장군이 이끄는 레타산 요새와, 버블 사막의 주둔군을 소환시켰으며, 지금까지 돈을 쏟아 부었으니 분명 도와 줄 것이라며 마론에게는 원군을 요청한다.[9]

일주일 후, 미니스는 '롤럼이 점령되고 킬은 이미 탈출했으며, 레타산과 버블에서 귀환하던 병사들이 의문의 군대에 습격당해 전멸[10], 마론이 원군 요청을 거부했다'는 보고를 듣게 되며 패닉에 빠져 간다. 다시 일주일 뒤에는 '롤드의 베놈 용병단이 전멸, 혁명군이 왕궁으로 진격하고 있다' '워든과 프레이너 등 대신들과 귀족들의 도주 및 망명이 속출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자, 죽은 아버지를 찾아 어떻게 하냐며 절규한다.[11]

결국 혁명군이 왕궁에 침입하기 시작하자, 뒷문을 통해 다른 대신들과 도주하려던 도중에 발각되었고, 생포하려고 했지만 저항이 너무 심해 어쩔 수 없이 죽였다는 요크의 언급을 통해 간접적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죽은 뒤 미니스의 영혼은 천계로 이동했고 그곳에서 머물게 된다.

3.2. 종말 후

네메시스 스도우에 의해 세계가 멸망하자 다른 영혼들과 함께 미니스도 지상으로 내려 왔고, 릴리안느 왕녀가 상상으로 만든 파티에 참가한다. 생전처럼 거울의 방에서 만찬 준비를 도우고 과자로 만든 거대한 성도 참가자들에게 소개하는데, 갑자기 등장한 잠재우는 공주gift로 인해 잠들어 버린다.

이후 깨어난 뒤 알스 루시펜 도트리슈가 소집한 소리의 방의 회의에 참석한 뒤, 밖에 주둔해 있는 타산 당 군대를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을 펼친다. 본인들보다 수적으로 우세이고, 미래인들에 무기도 뛰어난데, 왕궁의 영혼들은 전투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며 승리하기 어려울 거라는 상식적인 판단이었지만, 샤르테트 랑그레이에게 그렇다고 릴리안느가 위험한 걸 놔둘 수는 없다며 한 소리 듣는다.

3.3. 기타 매체

3.3.1. 뮤지컬

파일:미니스 뮤지컬 2017년판.jpg
파일:미니스 뮤지컬 2019년판.png
2017년판 2019년판
파일:미니스 뮤지컬 2021년판.png
파일:미니스 뮤지컬 2024년판.jpg
2021년판 2024년판
배우는 와타나베 카츠미(2017년), 하치스 카즈키(2019년), 코지마 코토리(2021년・2024년). 특징으로서는 본캐는 50대 정도의 중년인데, 뮤지컬에서는 점점 더 젋어진다(…) 그나마 2019년판에서는 수염이 있어 덜 어려 보이는데, 2021년판과 2024년판의 코지마 코토리는 30대라서 미니스가 굉장히 젋어 보인다.[12] 그 밖에 2017년판에서는 귀족이라기보다는 왠 은둔고수 같은 복장을 하고 있다.

레온하르트 아바도니아가 백성들이 굶주린다며 항의하는 장면은 본편과 똑같지만, 레온하르트가 퇴장한 뒤 릴리안느에게 그를 향해 난감한 인간이라며 뒷담을 까거나, 파티는 문제 없이 진행될 것이라며 아부를 떠는 장면이 추가되었다.[13] 이후 릴리안느가 마음에 안 드는 대신을 처형한 뒤 잠깐 자겠다고 방에 들어간 채 나오지 않아 방에 들어 갔더니 그녀가 사라진 것을 목격, 샤르테트 랑그레이, 알렌 아바도니아, 레온하르트 아바도니아에게 알린다.[14]

이후 카일이 미카엘라에게 사랑에 빠져 아르카토일과 개그씬을 찍을 때 미카엘라에게 누가 먼저 갈지를 결정하는 경주 레이스가 펼쳐지는데[15] 미니스가 뜬금 없이 등장하여 카일을 밀쳐 버리고는(…) 선두에 달리지만 다시 카일에게 추월당한다.[16][17] 그러고는 릴리안느와 대화하며 이대로면 파산이므로 마론과 약혼을 맺어 경제적 원조를 받아야 한다며 미사여구를 늘어놓는다. 카일이 혼약을 파기하자 UN의 결혼상담소에 제소하자는 개드립도 날린다. 이후 한동안 나오지 않다가, 루시페니아 혁명이 일어나 왕궁이 포위되자 갑자기 도트리슈 쌍둥이 앞에 나타난다.
떨어져!!! 아냐, 떨어지지 마! 딱 붙어 있어! 다시는 떨어지지 마라, 저주받은 쌍둥이 것들!
離れろ!!!いや、離れるな!くっついてろ!二度と離れるな、呪われた双子め!

릴리안느: 무어라 떠드는 것이냐, 네 놈은!
何を言っているのだ、お前は!

뭣하러 돌아온 거냐 왕궁에. 뭣하러 이제 와서 왕가의 혈통을 자랑하러 왔는데. 알고 있다고. , 레온하르트랑 짰지. 권위를 빼앗아서 나라를 홀라당 먹을 작정이었지? 네 놈을 왕으로 하면 사실상, 레온하르트의 천하니까 말이지! 근데 이미ー! 레온하르트 양반은 뒈졌으니 어쩌나!?
なんで帰ってきた王宮に。なんで今頃になって王家の血筋を振りかざしにきた。わかってるんだ。お前、レオンハルトと組んでたんだろ。権威を奪い返して国を乗っとるつもりだったんだろ?お前を王にすれば実質、レオンハルトの天下だからな!けどもうー!レオンハルト様は死んじゃったからな!?

그리고 네 년도, 애새끼 주제에 정치 같은 거 할 수나 있었겠냐! 어차피 쫓겨날 거 마음대로 하게 냅뒀더니만, 더럽게 해쳐 먹기나 하고 계집년이! 다 끝났다고! 미쳐 돌아간다고요... 이딴 거... 니들은 병신이야! 다 병신이야! 뒈져 버려!
それからお前も、ガキのくせに政治なんてできるわけねーだろ!どうせ失脚させられるかって好き放題やらせとけば、めちゃくちゃやりやがって小娘が!終わりですよ!めちゃくちゃですよ… こんなもん… お前らはバカだ!みんなバカだ!死んじゃえ!
지금까지 굽신거리던 태도와는 달리 둘을 ‘저주받은 쌍둥이’라고 칭하며 횡설수설하더니, 알렌에게는 레온하르트와 공모해서 왕위를 빼앗으려고 했다는 둥, 릴리안느에게는 ‘애새끼 주제에 정치도 못 하고 어마어마하게 해쳐 먹은 계집애'라는 폭언을 하는 둥, 쌍둥이에게 책임전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혁명이 일어나며 정신이 붕괴한 듯. 이후 다 끝났다고 절규하며 왕궁에서 도망치는데, 생사는 불명이지만 정황상 원작대로 혁명군에게 살해당했을 것으로 추정.

악의 딸 뮤지컬에서 드물게 같은 배우(코지마 코토리)가 두 번 연속으로 동일 배역을 맡은 케이스다. 미니스 이외에는 릴리안느 루시펜 도트리슈 역을 맡은 다나카 레이나(2017년・2019년), 아이조메 카렌(2021년・2024년), 알렌 아바도니아 역을 맡은 미시나 루카(2021년・2024년), 미카엘라 역을 맡은 아마키 샐리(2021년・2024년), 조세핀 역을 맡은 마에다 류타로(2019년・2021년)밖에 없다.

4. 등장 곡

등장 곡
연대 제목 비고
500 악의 딸 첫 등장

5. 기타

6. 관련 문서


[1] 정확한 나이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일러스트레이터 이치카가 알스나 삼영웅보다 연상인 이미지이기에 40~50대 정도라고 언급했다.#[2] 정황상 안네가 재상이었던 그에게는 비밀리에 고지한 듯하다.[3] 처형된 정치가의 동생이었다.[4] 정작 릴리안느를 구한 것은 그의 아들뻘인 알렌이었다. 얼마나 나잇값을 못 하는지를 알 수 있는 부분.[5] 원래 엘페고트에도 가려고 했으나 킬 프리지스가 하인을 보낼 것을 요청해 알렌이 대신 방문했다.[6] 이 피습 사건으로 인해 병력의 부족이 가시화되기에 이르렀고 대신들은 결국 가스트 베놈이 이끄는 베놈 용병단을 고용하게 되었다.[7] 이 때 발을 질질 끌며 나왔다는 언급으로 보아 아직 회복 중이었는데도 무리하게 나온 듯 하다. 대신들의 회의를 엿듣고 있던 알렌에게 왕가의 핏줄이 아니었으면 벌써 모가지가 날라갔을 거라면서, 알렌이 몸은 괜찮냐고 하니까 흥!(…)하며 회의장으로 들어간다. 이후 나갈 때도 알렌에게 코웃음을 친다.[8] 미키나 프리지스, 유키나 프리지스, 쇼 프리지스, 아일 프리지스.[9] 레타산과 버블은 벨제니아 제국, 아스모딘과의 국경에 위치한 곳이었기에 사실상 국경을 비워두라는 명령이었지만, 한시가 급했던 나머지 소환시킬 수밖에 없었다.[10] 이 때 가스통 장군이 전사한다.[11] 아버지는 이미 돌아가신지 오래라며 정신 차리라는 남은 대신들의 말에는 나도 알고 있다며 화를 버럭 낸다.[12] 다만 수염이 있어서 그렇지 코지마 코토리(1986년생)가 하치스 카즈키(1987년생)보다 1살 많다.[13] 2021년판과 2024년판의 경우, 배우가 미니스를 본편보다도 대놓고 아첨하는 딸랑이처럼 해석해서, 파티를 ‘파↗︎티↘︎’라고 웃기게 발음하는 등 부산스럽고 광대 같은 언동을 보여 준다.[14] 원작에서 이 역할은 네이 프타피에였다.[15] 조세핀이 주관하는 경기인데, 말이면서 왜 안 달리냐고 아르카토일에게 츳코미를 먹는다.[16] 요크, 미나쥬, 그리고 죽은 레온하르트도 천국에서 돌아와 카일과 경쟁하는 개그씬이 펼쳐진다.[17] 이것 때문에 경기를 해설하던 아르카토일에게 비겁한 남자(…)라고 욕을 먹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