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홈페이지MBC 표준FM의 유명한 라디오 다큐멘터리 드라마. 1988년 4월 1일부터 2009년 10월 17일까지 방송됐다.
2. 상세
원래는 4.19 혁명 이후 현재까지 각종 사건들을 연대기 라디오 드라마로 구상한 프로그램으로, 처음 생겼을 당시의 제목은 격동 30년이었지만 점점 길어져 지금에 이르렀다. 중간에 종방 위기도 있었고 종방을 아쉬워하는 칼럼이 조선일보 등에 실리기도 했는데[1] 격동 50년으로 바뀌어서 진행되었다.박정희 시대를 시작으로 앞으로는 이승만, 뒤로는 노무현 정부 초반까지를 다뤘다. 내용을 보면 당시 대통령들의 여러 가지 모습들이 하나의 다큐멘터리 형태로 나온 것이 이색적이다. 2000년대에는 더 이상 시대를 따라잡기 어려워서 리부트도 고려했는데 결국 연대기가 아닌 주요 사건 중심으로 변경됐다. 2007년 11월부터 내레이션을 비롯해 주연 성우들도 원호섭과 이철용 등 1960~1970년대생 위주로 싹 다 갈렸다.
아무래도 출연 인원이 상당하기 때문에 MBC 성우극회 출신 성우들(특히 남성)은 한 번씩 거치는 코스였다. 시리즈의 장기화에 따라 초대 PD 정수열을 비롯해 박관수, 김옥균, 오성수, 김승월, 이순곤 등이 담당 연출직을 거쳤고 작가진도 이영신[2], 김교식, 김문영[3], 이영미[4], 김광수, 김광휘, 이호, 이석영, 최환상 등 쟁쟁한 이들이 있었다.
해설은 초창기부터 김종성이 맡았는데[5] 2007년 11월 원호섭으로 교체되었다.
해외 판매(주로 동포들 대상) 때문에 방송국에서 다시 듣기를 제공하지 않았다.[6]
"격동 30년"은 1992년부터 1994년까지 고려원에서 총 3부에 1부당 5권짜리 책으로 펴낸 적이 있는데 이영신 작가가 썼고, 거의 3공화국 수준이다. (텔레비전 광고) 사실 정확하게 말하면 1~2권 중반까지는
본방은 2009년 10월 17일에 종방했는데 청취율이 낮고 주제가 거의 떨어진 것이 이유이다. 현 시대의 상황과 무관하지는 않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지만 사실 격동 50년만 해도 꽤 인기를 끌었던 작품이다. 1980년대만 해도 속칭 "황강"인 황인용-강부자의 방송 등 몇몇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토크쇼보다는 라디오 드라마가 꽤 유행했고 격동 30년과 격동 50년도 그때가 전성기였다.[7] 특히 시력이 좋지 않고 다른 일을 하면서도 들을 수 있는 라디오 드라마의 특성상 노년층에게는 잘 맞아서 농어촌, 도시 가내수공업, 세탁업 등을 하는 장년층 이상은 이 다큐멘터리 드라마를 많이 들었지만 그런 라디오 세대들도 점점 연로해 사라지면서 비디오와 인터넷에 밀린 라디오 드라마가 결국 쇠락하면서 하나둘 없어지기 시작했고 MBC 라디오 간판 프로그램인 <꽃님이네 집>이 폐지되면서 이 작품도 폐지론이 나오기 시작했지만 주제가 주제인지라 꽤 오래 버틴 셈이다.
그런데 이 주역들이 10년 만에 다시 뭉쳤다. MBC경남 부마민주항쟁 40주년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드라마 20부작 79년 마산에 참여하여 녹슬지 않은 실력을 과시하였다.
한편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2012년 3월에는 tvN의 재밌는 TV 롤러코스터에서 '격동 10분'이라는 이름의 코너로 패러디되었다. 이 코너의 해설도 오랫동안 맡던 김종성이 맡았다.
2001년 SBS 시트콤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166화에서 다큐멘터리 시트콤 제 1화 노구의 승부욕으로 패러디되었으며 역시 김종성이 해설을 담당했다. 엔딩 크레딧에 출연진인 신구(노구), 노주현(노소장), 이홍렬(노홍렬), 박정수(박정수), 권오중(권반장), 최윤영(노윤영), 김민정(노민정), 윤정근(노인삼), 해설 김종성으로 기재되어있는데 자막 표기 실수로 이재황(권선생)은 빠져 있어서 출연진 호명과 불일치했다.#[8] 클로징 브금은언더 시즈 2 OST Main Titles : Dark Territory를 썼다.
오프닝 BGM은 콘 에어의 OST The Discharge를 썼는데 콘 에어 개봉 직후인 1997년 6월 이후로 교체된 듯 하다.#
[1] 이상하게 볼 일은 아니다. 조선일보는 1991년 드라마 '땅'이 외압으로 조기 종영하자 사설로 대차게 깐 적도 있었다.[2] 드라마 <제3공화국>, <코리아게이트> 작가다.[3] 가장 오랜 기간(8년 5개월) 극본을 썼다. 2005년 5월에 사망.[4] 이 작품의 취재를 맡다가 작가로 데뷔했다. 하술된 <79년 마산>의 극본을 썼다.[5] 무려 19년으로 김종성의 대표작이자 대중에게 가장 잘 알려진 역이다. 웅장한 배경 음악과 함께 다큐멘터리 드라마 격동 50년!하고 낭랑하고 힘있게 외치는 게 일품이다.[6] 2020년까지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에서 대본을 볼 수 있긴 했지만 회원 가입을 하지 않으면 볼 수 없었다. 다만 MBC 아카이브에 전신인 격동 30년 방영분이 올라와 있는 걸 보면 격동 50년 방영분도 조만간 올라올 수 있을 것이다.[7] 이 시대에는 <김자옥의 사랑의 계절>이라는 애정 드라마도 나올 정도였다. 당연히 주인공 더빙은 김자옥.[8] 중간에 등장하는 윤영삼(노영삼), 김경재(정두섭), 김준홍(김인종), 우영(본명:성기섭)(이복건)은 노구의 승부욕이 아닌 매번 사기피해를 입는 것과 관련되었고 배종옥(배종옥), 허현호(이개똥)는 노구의 승부욕에 등장했어도 비중이 낮아 엔딩 크레딧에 기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