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01:59:36

고성군수(경남)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top2 != null
, [[]][[]]}}}{{{#!if top3 != null
, [[]][[]]}}}{{{#!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고성군(경상남도)/정치]]{{{#!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거제 김해 밀양 사천 양산
변광용 홍태용 안병구 박동식 나동연
진주 창원 통영 거창 고성
조규일 장금용 천영기 구인모 이상근
남해 산청 의령 창녕 하동
장충남 이승화 오태완 성낙인
하승철
함안 함양 합천
조근제 진병영 김윤철
* 창녕군수 김부영 사망 (2023.1.9.)
* 밀양시장 박일호 사퇴 (2023.12.11.)
* 거제시장 박종우 당선무효 (2024.11.14.)
* 창원시장 홍남표 당선무효 (2025.4.3.)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colcolor=#fff> 파일:기초자치단체 CI_White.svg
'''(시/도) (기초자치단체장)
한문명
영문명
'''
<nopad> 파일:인물 사진.jpg
현직 <colbgcolor=#fff,#1f2023>(이름) / 제N대 (민선 n기)
취임일
정당
홈페이지 해당 기초자치단체 사이트의 기초자치단체장 홈페이지 링크를 입력해주세요.


1. 개요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장은/는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을/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주소)에 있는 기초자치단체청사이다. ?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

2. 상세

상세한 특징을 입력해주세요.

3. 명단

아래는 예시입니다. 4.1번 문단은 필요시 작성하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 과거 (시/군/구)가 속했던 지역의 장 #===
<rowcolor=#fff> 대수 성명 재임 기간 정부 및 당적[1] 기타
(간/관/직)선 (광역) (기초) (읍면동)장
N대
(광역) (기초청사) XX출장소장
초대 XXX 시정

3.1. (기초자치단체장)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년 (기초단체) 분리 이전 現 (기초단체) 지역을 관리했던 사람}}}에 대한 내용은 [[(기초자치단체 청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기초자치단체 청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년 (기초단체) 분리 이전 現 (기초단체) 지역을 관리했던 사람: }}}[[(기초자치단체 청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기초자치단체 청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rowcolor=#fff> 대수 성명 재임 기간 정부 및 당적[2] 기타
관선 (광역단체) (기초장)[?급]
초대
민선 (광역단체) (기초장)[?급]
N대 정당 틀 삽입

4. 역대 선거 결과

파일:기초자치단체 CI_White.svg 역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1995 1998 2002 2006 2010
민주자유당
한나라당
한나라당
이름
2014 2018 2022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이름

4.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고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조경문(趙京文) 9,043 3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2.38% 낙선
2 박경재(朴璟載) 5,750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23% 낙선
3 이갑영(李甲英) 14,284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5.36% 당선
4 이방수(李芳洙) 11,312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8.00% 낙선
선거인 수 51,861 투표율
80.79%
투표 수 41,897
무효표 수 1,508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조경문 1회 지선.jpg 파일:박경재 1회 지선.jpg 파일:이갑영 1회 지선.jpg 파일:이방수 1회 지선.jpg }}}}}}}}}

4.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고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갑영(李甲英) 18,211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9.50% 당선
2 이영국(李永國) 3,955 3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0.75% 낙선
4 제정훈(諸廷勳) 14,623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9.74% 낙선
선거인 수 50,511 투표율
74.74%
투표 수 37,756
무효표 수 967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이갑영 2회 지선.jpg 파일:이영국 2회 지선.jpg 파일:제정훈 2회 지선.jpg }}}}}}}}}

4.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고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학렬(李鶴烈) 13,523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38.54% 당선
3 안수일(安秀日) 5,713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6.28% 낙선
4 제정훈(諸廷勳) 5,982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7.05% 낙선
5 최평호(崔平浩) 9,86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8.12% 낙선
선거인 수 48,212 투표율
74.40%
투표 수 35,870
무효표 수 786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이학렬 3회 지선.jpg 파일:안수일 3회 지선.jpg 파일:제정훈 3회 지선.jpg 파일:최평호 3회 지선.jpg }}}}}}}}}

4.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고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백두현(白斗鉉) 4,669 3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14.27% 낙선
2 이학렬(李鶴烈) 15,900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48.62% 당선
6 제정훈(諸廷勳) 2,549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79% 낙선
7 최평호(崔平浩) 8,13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4.89% 낙선
8 하태호(河泰浩) 1,440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40% 낙선
선거인 수 46,167 투표율
72.52%
투표 수 33,481
무효표 수 784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2006 백두현.jpg 파일:이학렬 4회 지선.jpg 파일:제정훈 4회 지선.jpg
파일:최평호 4회 지선.jpg 파일:하태호 4회 지선.jpg }}}}}}}}}

4.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고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학렬(李鶴烈) 16,213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1.45% 당선
7 박종부(朴鍾富) 4,542 3위


[[미래연합|
파일:미래연합 글자.svg
]]
14.41% 낙선
8 하태호(河泰浩) 6,49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62% 낙선
9 이재희(李再熙) 4,258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3.51% 낙선
선거인 수 47,716 투표율
68.05%
투표 수 32,472
무효표 수 960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이학렬 5회 지선.jpg 파일:박종부 5회 지선.jpg 파일:하태호 5회 지선.jpg 파일:이재희 5회 지선.jpg }}}}}}}}}

4.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고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하학열(河鶴烈) 13,289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2.59% 당선
2 정종조(丁鍾祚) 3,278 4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0.50% 낙선
4 이상근(李相根) 9,78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1.37% 낙선
5 김인태(金仁泰) 673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15% 낙선
6 하태호(河泰浩) 4,16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3.36% 낙선
선거인 수 47,887 투표율
66.88%
투표 수 32,028
무효표 수 833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하학열 6회 지선.jpg 파일:정종조 6회 지선.jpg 파일:이상근_2014벽보.jpg
파일:김인태 6회 지선.jpg 파일:하태호 6회 지선.jpg }}}}}}}}}

4.7.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고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평호(崔平浩) 9,783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0.94% 당선
2 백두현(白斗鉉) 4,759 3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9.91% 낙선
4 김인태(金仁泰) 363 6위


[[공화당(2014년)|
파일:공화당(2014년) 흰색 로고타입.svg
]]
1.51% 낙선
5 이상근(李相根) 7,03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9.45% 낙선
6 이재희(李再熙) 585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44% 낙선
7 김홍식(金弘植) 사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8 정호용(鄭皓龍) 1,365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71% 낙선
선거인 수 47,504 투표율
50.73%
투표 수 24,101
무효표 수 210
선거 벽보[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최평호 2015 재보궐.jpg 파일:2015 백두현.jpg 파일:김인태 2015 재보궐.jpg
파일:이상근_2015벽보.jpg 파일:이재희 2015 재보궐.jpg 파일:정호용 2015 재보궐.jpg }}}}}}}}}

4.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고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백두현(白斗鉉) 18,518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6.30% 당선
2 김홍식(金弘植) 14,373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3.69% 낙선
선거인 수 46,588 투표율
73.13%
투표 수 34,070
무효표 수 1,179
선거 벽보[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백두현7지.jpg 파일:김홍식 7회 지선.jpg }}}}}}}}}
더불어민주당 백두현 후보는 김경수 경상남도지사 후보와 어릴 때부터 친하게 지내 온 친구 사이이다. 한 친구는 도지사에 도전하였고, 다른 한 친구는 고향에서 군수에 도전한 것인데 민주당의 사지 서부경남에서 결국 12.61%의 차이로 승리를 일구어 내었다.

4.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고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백두현(白斗鉉) 12,634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2.76% 낙선
2 이상근(李相根) 16,906 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7.23% 당선
선거인 수 44,745 투표율
67.7%
투표 수 30,309
무효표 수 769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백두현 2022.jpg 파일:이상근_2022벽보.jpg }}}}}}}}}
현직 군수인 더불어민주당 백두현 후보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고성군이 고향인 김경수 전 지사와 부울경에 불어오던 문재인 전 대통령 열풍 덕을 톡톡히 봤으나 이 둘이 모두 영향력을 잃은 이번에는 국민의힘 이상근 후보에 밀려 군수직을 내주게 되었다.

5. (시/군/구)정 구호

<rowcolor=#fff> 기초자치단체장 슬로건
이름 (민선 N기)
이름 (민선 8기)

6. 관련 문서


[1]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당적 변동 사항은 각주로 기재.[2]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당적 변동 사항은 각주로 기재.[?급] [?급] ?급 대우[5] 김홍식 후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도서관에서 후보자선전물이 확인되지 않는다.[6]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도서관에서 후보자 전원의 선거벽보가 확인되지 않아 선거공보 첫 장 사진으로 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