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固有語해당 언어에 본디부터 있던 말이나 그것에 기초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이다. "고유어"라는 단어도 한자어이며 한국식 한자어이다.
2. 한국어의 고유어
3. 다른 언어의 고유어
3.1. 영어
영어는 '고유어'라고 부를 수 있는 게르만족 계통의 낱말이 30%도 안 된다. 'mountain'이나 'river'와 같은 기초적인 어휘가 라틴어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경우도 있다.[1] 아예 고유어를 일컫는 명확한 낱말도 없을 정도. 영어에서는 프랑스어, 라틴어 같은 로망스 계통 언어들로부터 비롯된 어휘들을 게르만 계통의 어휘로 교체하려는 시도가 있다. 예를 들어, 'umbrella/우산'는 'rainshade/슈룹'로, 'famous/유명한'는 'nameknown/이름난'으로 교체하는 것이다. 이런 형태의 영어는 'Anglish(앵글리시)'로도 불린다. 독일어, 아이슬란드어, 핀란드어는 이런 방향의 언어 순화 운동이 매우 잘 되는 편이다.파인애플처럼 영어에서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단어[2]들도 존재하나, 사실 이것도 pine이 외래어에 뿌리를 두기 때문에 고유어라고 부를 수 있는 단어는 더더욱 적다.
3.2. 일본어
일본어의 고유어는 和語(わご, 와고) 혹은 大和言葉(やまとことば, 야마토코토바)라 부른다.일본어의 고유어는 대부분 한자로 표기될 수 있지만, 이는 한자의 본래 음과는 관계없이 뜻만 빌려쓴 것으로써, 한자어라고 볼 수는 없다. 일본어는 한자를 많이 사용하지만, 가나의 발명과 함께 이런 독특한 한자 이용방식으로 한자라는 외래 뜻글자를 사용하면서도 고유어를 수용할 수 있었다.
4. 비교언어학에서
비교언어학에서 어족을 추측하는 데 있어 차용어를 비교대상으로 삼는 것은 삽질이 되므로 고유어는 매우 귀중한 재료이다. 예로서, 외래어인 '버스'와 '컴퓨터' 같은 낱말을 놓고 영어 'bus', 'computer'와 같기 때문에 영어와 한국어는 같은 계통이라고 하면 안 된다는 말. 고유어 가운데 다른 언어와의 계통적 연관성을 추측할 수 있는 낱말들을 동계어(cognate)라고 한다.한국어의 경우 한국어 고유어(순우리말)를 살펴보았을 때 다른 언어와 계통적 연관성이 보이지 않아 고립어로 여겨진다. 제주어나 과거의 언어를 현대 한국어와는 다른 언어로 보고 이것들과 엮어서 한국어족으로 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