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16:57:31

곤충강 생물 목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위 계통에 대한 내용은 절지동물문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곤충강에 대한 내용은 곤충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1단계 문단을 사용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1단계 문단을 사용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생물 분류 기준은 GBIF Checklist dataset에 등재된 가장 최신의 데이터로 한다.
† 표기는 계통군이 멸종했음을 의미한다.
● 표기는 해당 계통군에 대한 생물 목록 문서가 있음을 의미한다.
✲ 표기는 계통군이 한글로 기재되어 있으나 발표된 국명이 없음을 의미한다. 공식적인 명칭이 아니므로 인용 시 주의해야 한다. 유래가 같은 학명이 분류 단계만 다를 경우는 제외한다.
﹖ 표기는 계통군의 분류가 확실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1. 개요2. 단관절구류(Monocondylia)
2.1. 돌좀목(Archaeognatha)
3. 쌍관절구류(Dicondylia)
3.1. 무시아강(Apterygota)
3.1.1. 좀목(Zygentoma)
3.2. 유시아강(Pterygota)
3.2.1. 고시하강(Paleoptera)
3.2.1.1. 하루살이상목(Ephemeropteroidea)
3.2.1.1.1.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3.2.1.2. 잠자리상목(Odonatoptera)
3.2.1.2.1. †게로프테라목(Geroptera)3.2.1.2.2. †원잠자리목(Meganisoptera)3.2.1.2.3. 잠자리목(Odonata)
3.2.1.3. †고망시상목(Palaeodictyopteroidea)
3.2.2. 신시하강(Neoptera)
3.2.2.1. 외시류 (Exopterygota)
3.2.2.1.1. 메뚜기계열(Polyneoptera)
3.2.2.1.1.1. †옛메뚜기목(Protorthoptera)3.2.2.1.1.2. 강도래목(Plecoptera)3.2.2.1.1.3. 흰개미붙이목(Embioptera)3.2.2.1.1.4. 민벌레목(Zoraptera)3.2.2.1.1.5. 집게벌레목(Dermaptera)3.2.2.1.1.6. 귀뚜라미붙이목(Notoptera)3.2.2.1.1.7. 메뚜기목(Orthoptera) 3.2.2.1.1.8. 대벌레목(Phasmatodea)3.2.2.1.1.9. 망시류
3.2.2.1.2. 노린재계열(Paraneoptera)
3.2.2.1.2.1. 다듬이벌레목(Psocodea)3.2.2.1.2.2. 총채벌레목(Thysanoptera)3.2.2.1.2.3. 노린재목(Hemiptera)
3.2.2.2. 내시류(Endopterygota, Holometabola)
3.2.2.2.1. 부채벌레목(Strepsiptera)3.2.2.2.2. 풀잠자리목(Neuroptera) 3.2.2.2.3. 약대벌레목(Raphidioptera)3.2.2.2.4. 뱀잠자리목(Megaloptera)3.2.2.2.5. 딱정벌레목(Coleoptera) 3.2.2.2.6. 벌목(Hymenoptera) 3.2.2.2.7. 밑들이목(Mecoptera)3.2.2.2.8. 벼룩목(Siphonaptera)3.2.2.2.9. †원시파리목(Protodiptera)3.2.2.2.10. 파리목(Diptera) 3.2.2.2.11. †타라코프테라목(Tarachoptera)3.2.2.2.12. 날도래목(Trichoptera)3.2.2.2.13. 나비목(Lepidoptera)
4. 불분명(Incertae sedis)

1. 개요

† 표기는 계통군이 멸종했음을 의미한다.
● 표기는 해당 계통군에 대한 생물 목록 문서가 있는 걸 의미한다.

2. 단관절구류(Monocondylia)

2.1. 돌좀목(Archaeognatha)

3. 쌍관절구류(Dicondylia)

3.1. 무시아강(Apterygota)

3.1.1. 좀목(Zygentoma)

3.2. 유시아강(Pterygota)

3.2.1. 고시하강(Paleoptera)

3.2.1.1. 하루살이상목(Ephemeropteroidea)

3.2.1.1.1.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3.2.1.2. 잠자리상목(Odonatoptera)

3.2.1.2.1. †게로프테라목(Geroptera)
3.2.1.2.2. †원잠자리목(Meganisoptera)
3.2.1.2.3. 잠자리목(Odonata)

3.2.1.3. †고망시상목(Palaeodictyopteroidea)[4]

3.2.2. 신시하강(Neoptera)

3.2.2.1. 외시류 (Exopterygota)

3.2.2.1.1. 메뚜기계열(Polyneoptera)
3.2.2.1.1.1. †옛메뚜기목(Protorthoptera)[5]
3.2.2.1.1.2. 강도래목(Plecoptera)
3.2.2.1.1.3. 흰개미붙이목(Embioptera)
3.2.2.1.1.4. 민벌레목(Zoraptera)
3.2.2.1.1.5. 집게벌레목(Dermaptera)
3.2.2.1.1.6. 귀뚜라미붙이목(Notoptera)
3.2.2.1.1.7. 메뚜기목(Orthopter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뚜기목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1.1.8. 대벌레목(Phasmatodea)
3.2.2.1.1.9. 망시류[9]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망시상목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1.2. 노린재계열(Paraneoptera)[10]
3.2.2.1.2.1. 다듬이벌레목(Psocodea)
3.2.2.1.2.2. 총채벌레목(Thysanoptera)
3.2.2.1.2.3. 노린재목(Hemipter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노린재목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2. 내시류(Endopterygota, Holometabola)

3.2.2.2.1. 부채벌레목(Strepsiptera)
3.2.2.2.2. 풀잠자리목(Neuropter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풀잠자리목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2.3. 약대벌레목(Raphidioptera)
성충은 소형 내지 대형의 크기로 뱀잠자리와 유사하나 뒷머리가 길어 목처럼 보이는 점으로 구별된다. 머리는 긴 편이고, 입은 저작형이다. 더듬이는 사상이고, 여러 마디이며 매우 길다. 겹눈은 돌출하였고, 항상 있다. 홑눈은 약대벌레과에만 있다. 가슴의 앞가슴은 가늘고, 날개는 앞․뒷날개의 맥상은 동일하며, 기능적인 막질의 날개가 있다. 많은 횡맥과 연문이 있다. 뒷날개는 작다. 성충의 모양은 사마귀붙이과와 비슷하나, 다리는 앞다리, 가운데다리와 뒷다리는 거의 같은 크기로 차이가 별로 없는 점이 다르다. 배는 매우 연하다. 가시복절은 10마디이며, 미모는 없고, 암컷은 긴털 모양의 긴 산란관이 있어 알을 덩어리 형태로 나무껍질 틈에 산란한다.

유충은 육상생활을 하며, 길고, 입은 전구식이며, 저작형이다. 옆낱눈이 있다. 가슴에 있는 다리는 모두 동일하다. 복부에는 부속지가 없다. 유충은 진딧물이나 나비류의 유충을 먹고, 성충은 포식성이나 작은 먹이만을 취한다. 번데기는 저작형 턱을 가지고 있으며, 나용이고 성충과 비슷하게 생겼다.

전 세계에 약 100종이, 호주를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볼 수 있다.
3.2.2.2.4. 뱀잠자리목(Megaloptera)
3.2.2.2.5. 딱정벌레목(Coleopter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딱정벌레목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2.6. 벌목(Hymenopter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벌목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2.7. 밑들이목(Mecoptera)
3.2.2.2.8. 벼룩목(Siphonaptera)
3.2.2.2.9. †원시파리목(Protodiptera)
3.2.2.2.10. 파리목(Dipter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파리목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2.11. †타라코프테라목(Tarachoptera)
3.2.2.2.12. 날도래목(Trichoptera)
3.2.2.2.13. 나비목(Lepidopter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비목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불분명(Incertae sedis)



[1] Calopteryx atrata의 학명이명[2] 유전자분석 결과 일본및 동남아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꼬마잠자리와 다른종으로 밝혀져 한국꼬마잠자리라는 새로운 이름과 학명을 얻고,신종으로 등재되었다.[3] 종명이 특이하게 jamjari로, 한국잠자리연구회 회장 정광수박사가 경기도 양평에서 발견한 종을 2011년 명명한 것이다[4] 멸종된 고시하강 분류군으로, 분류군명의 뜻은 오래된 그물 날개라는 뜻이며 옛망시목으로도 부른다. 이들은 신기하게도 앞가슴 양 옆으로 작은 날개막이 달려있으며 다른 고시하강처럼 날개를 위아래로 움직일 수가 없다고 한다. 그래서 행글라이더같은 활강비행을 했다. 약충은 다른 고시하강과는 달리 육상생활을 했으며 성충 약충 모두 식식성이었다고(노린재와 같은 구기를 지녔다). 신시하강의 곤충들이 나타나면서 경쟁에서 밀리기 시작했으며 페름기 대멸종 때 완전히 멸종했다. 학명에 Dictyoptera가 들어가지만 현대의 망시목과는 관련이 없다. 망시목은 신시하강이다.[5] 멸종한 원시 신시하강 곤충. 옛바퀴목이라고도 한다. 학명에서 알 수 있듯이 현대 메뚜기목의 조상이다. 하지만 생김새는 아주 다르다.[6] 종명은 국립생물자원관 김태우 연구사의 이름을 기린 것이다.[7] 속명은 생물학자 남궁준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8] 트라이아스기에만 출현했던 곤충으로, 신시하강의 곤충 중에서 가장 커다란 크기를 자랑했다. 메뚜기목, 대벌레목과 근연이다.[9] Dictyoptera를 상목으로, 바퀴목/사마귀목/흰개미목을 독립된 목으로 보는 경우도 있으며 통합해 딕티오프레타를 목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10] 준신시류(準新翅類)라고도 한다.[11] 멸종한 원시내시류 곤충. 석탄기 중반부터 페름기까지 생존했다.[12] 한국에서 기존에 뱀잠자리로 알려졌던 Protohermes grandis는 본 종인 Protohermes xanthodes의 오동정으로 분포 확인이 필요하다[13] 페스트를 보균한 감염매개체로 잘 알려진 곤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