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동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2번 | ||||
허연철 (2006) | → | 곽동현 (2007) | → | 손승현 (2008)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2번 | |||||
최천수 (2009 ~2010) | → | 곽동현 (2011) | → | 손형준 (2012) |
| |
곽동현 郭東玹 | |
출생 | 1984년 3월 17일 ([age(1984-03-17)]세) |
대구직할시 (現 대구광역시) | |
국적 |
|
학력 | 옥산초 - 경운중 - 상원고 - 한양대 |
포지션 | 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03년 2차 7라운드 (전체 55번, 삼성)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2007, 2011)[1] |
지도자 |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13, 2016~2017) 경운중학교 야구부 코치 (2018) 경운중학교 야구부 감독 (2019~) |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의 포수며 2011 시즌에는 1루수나 지명타자로만 출장했다.2. 선수 경력
고1이던 2000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선수권대회에서 준우승, 고2이던 2001년 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준우승을 기록했다. 대붕기에서는 타격상과 최다안타상을 수상했다.2003년 2차 7라운드로 삼성에 지명되었지만 한양대로 진학했다. 대학 4학년 시절 회장기 전국대학야구 추계리그에서 4할 타율을 기록하고, 그 해 4학년 선수 중 유일하게 7할대의 장타율을 기록한 거포형 포수.
기대를 받으며 프로에 입단했지만 2군 경기도 한 경기 뛰지도 않고 그 해 퇴단했다. 하지만 이후 야구에 미련을 둔 건지 2011년 다시 삼성에 입단했다. 공백기 동안에는 군복무를 한 모양.
2011 시즌, 2군에서 24타수만에 첫 안타를 기록할 정도로 슬럼프가 길었는데, 또한 이 때 곽동현은 대다수를 대타로 출장해 첫 안타를 기록한 시기는 더 오래 걸렸다. 7월 중순부터 주전으로 기용되었는데, 특히 7월 26일 한화전에서는 만루홈런 2개를 기록했다. 8월 들어서는 다시 김종호와 플래툰으로 지명타자로 기용되거나 대타로 출장했다.
한 경기 만루홈런 2개를 기록할 정도로 파워는 있지만 포지션, 선구안 등 1군에 오르기에 걸림돌이 많다.
결국 2011 시즌 후 방출되었다. 그간 공백기 때문에 포수로서는 거의 출전할 수 없다고 봐야하고, 1루수나 지명타자로 나서야 하나 해당 포지션의 경쟁자들에 비해 가치가 떨어진다고 판단한 듯하다.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 2013년과 2016, 2017년에 상원고 코치를 지냈고 2018년에 경운중 코치로 옮겼다가 2019년에 감독으로 승격했다.감독수상경력
-2020년 U-15 전국 유소년야구대회 준우승 (최우수감독상 수상)
-2023년 제2회 DGB금융그룹회장기 아마추어 야구대회 우승 (최우수감독상 수상)
-2024년 제71회 전국 중학야구 선수권대회 우승 (최우수감독상 수상)
-2024년 제3회 백호기 전국 중학교 야구대회 우승 (최우수감독상 수상)
-2024년 제22회 삼성기 초∙중 야구대회 우승 (최우수감독상 수상)
4. 관련 문서
[1] 2007년 퇴단했다가 2011년 재입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