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c60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광주광역시의 수요응답형버스|수요응답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곡10 | 수완12 | 선운14 | 지원15 | 매월16 |
진월17 | 문흥18 | 송정19 | 첨단22 | 첨단23 | |
지원25 | 매월26 | 봉선27 | 일곡28 | 송정29 | |
첨단30 | 송암31 | 금호36 | 봉선37 | 일곡38 | |
문흥39 | 지원45 | 금호46 | 송암47 | 운림50 | |
운림51 | 운림54 | 금남58 | 금남59 | 첨단95 | |
송정98 |
라정시내버스 차량 | 삼원운수 차량 |
1. 노선 정보
광주광역시 간선버스 송정29번 | |||||
| |||||
기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산동(도산동) |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살레시오고/교통문화연수원) | ||
종점 행 | 첫차 | 05:40 | 기점 행 | 첫차 | 05:40 |
막차 | 22:40 | 막차 | 22:35 | ||
평일배차 | 9~16분 | 주말배차 | 13~20분 | ||
운수사명 | 라정시내버스, 삼원운수 | 인가대수 | 18대[1][2] | ||
노선 | 도산동 - 도산역 - 광주송정역 - 아리랑고개 - 월곡시장 - 광산구노인복지관 - 목련마을6단지 - 목련마을 - 신가동 - (← 극락강역입구 ←) 신가중 - 신창동우체국 - 신창중 - 신창초교 - 신창용수마을 - 보건대입구 - 시립장애인복지관 - 운암도서관 - ( → 광주예술의전당후문 →) - 국립광주박물관 - 시립역사민속박물관 - 고려고 - 국제고 - 일곡사거리 - (→ 광주교도소 →) - 살레시오고/교통문화연수원 |
중간 출발 정류장 | |
양 방향 | 신창동우체국 05:40 |
2. 개요
라정시내버스와 삼원운수에서 공동 배차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06년 12월 21일 대개편 때 신설되었다. 1990년대 중반에 비슷한 경로로 다니는 마을버스가 있었지만, 소리소문없이 사라졌다.
- 당초에는 라정시내버스 단독 운행 노선이었으나 2012년 3월경 차량 재분배를 거쳐 삼원운수(구 천일버스)가 공동 배차에 참여하여 4대 운행 중이다.
- 2015년 10월 20일부터 삼각동으로 이전한 광주교도소를 경유한다. 윤장현 시장이 이전 교도소에 대중교통 운행을 요청한 검찰청 건의를 받고 “대중교통을 이용해 광주교도소를 찾는 방문객의 교통편의를 위한 시내버스 운행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라”는 지시에 따라 이뤄진 것.
- 광주송정역에서 2019 수영대회의 주경기장인 남부대로 가는 방문객의 편의를 위해, 대회 기간 중 임시로 남부대 인근을 경유했다.[3]
4. 특징
- 일곡28번과 더불어 라정시내버스 주력/간판 노선이자, 광주시 시내버스 노선 중 청소년과 어린이 비율이 가장 높다. 특히 북구 쪽 학교로 통학하는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며, 소풍시즌에는 중외공원과 비엔날레로 가는 학생들이 많이 탄다. 일곡지구 및 매곡동에서 이 노선을 보면 대부분의 승객이 중ㆍ고등학생 아니면 보건대 학생들이다.
- 굴곡이 상당히 적은 편이다. 이 노선이 생기면서 광산구 월곡ㆍ신가동에서 북구 운암ㆍ매곡ㆍ오치ㆍ용봉ㆍ일곡동 간의 이동 소요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었다. 이전에는 가까운 운암동으로 갈 때도 환승을 해야했지만, 이 노선 덕분에 한 번에 갈 수 있게 되어 편리해졌고 이 노선을 통한 환승객도 많은 편이다.[4] 또한 송정리에서 일곡지구로 가려면 구 6번[5]을 타고 1시간 이상 돌아서 가야 했지만, 지금은 1시간 이내로 갈 수도 있다.
- 도산동 방면은 광주공고입구 정류소에서 이미 만차되어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살레시오고가 하교하는 시간대의 버스는 아예 일곡사거리를 지나지도 않았는데 혼잡도가 엄청나다. 운암도서관에서 내려 환승하는 승객도 있고, 보건대 학생도 있고, 광산구 방면으로 이동하려는 장거리 승객도 있다. 살레시오고 방면은 월곡동에서 만차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 이 노선이 일곡지구에서 광주송정역으로 가는 유일한 시내버스이기 때문이다.[6]
- 광주송정역에서 비엔날레로 가는 가장 빠른 시내버스다. 송정33번도 있지만 많이 돌아간다.(1시간 20분 소요) 다만 제1전투비행단에서 복무하는 전남 동부권, 영남권 출신 장병들은 운암동에서 하차하여 이 노선을 이용할 생각을 하지 않는 게 좋은데, 유스퀘어에서 내려서 좌석02번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 광주교도소에 들어갔다가 나온다. 다만 교도소 운영특성에 맞춰 5시 40분부터 20시까지만 운행한다. 일곡삼호아파트 정류소 지나 ‘광주교도소’ 정류소 도착 전에 미리 하차벨을 누른 경우에만 경유한다.[7] 광주교도소에 용무가 있다면 참고할 것. 관련 기사
5. 연계 철도역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도산역, 광주송정역, 송정공원역
- 일반 철도역: 광주송정역(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극락강역[8](무궁화호)
[1] 공휴일 14대.[2] 평일 기준 라정시내버스 14대, 삼원운수 4대. 주말 기준 라정시내버스 11대, 삼원운수 3대.[3] 7.12~7.22 도산동에서 살레시오고로 가는 방향으로, 차고지 출발시간 기준 8:30~17:00 차량 한정.[4] 단, 운암동을 갈때는 문흥18을 이용하는게 조금 더 빠르다. 이 노선은 신창동으로 돌아서 갈 뿐더러 운암3단지에서 매곡동으로 빠지기 때문.[5] 2006년 개편 당시 폐선[6] 사실 일곡38번도 있긴 하나, 너무 많이 돌아서 가기 때문인 것도 있지만, 광주송정역을 경유하지 않는 데다가 그나마 가까운 정류장이 영광통인데 10분 정도 걸어가야 하는데 특히 광주송정역으로 가려면 날씨에 민감해지기 때문이다.[7] 매월26번과 다르게 살레시오고행에 한해 경유한다. 실제로 차내노선도나 지도어플 등을 보면 단방향 경유임을 알 수 있다. 만약 교도소에서 광주송정역 등지로 가고자 한다면 일단 26번을 타고 교도소에서 나온 다음 환승을 해야 한다.[8] 극락강역 입구는 도산동 방면만 정차, 신가사거리에서 도보 후 이동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