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4 00:29:05

국민건강생활안전연구회

<colcolor=#fff><colbgcolor=#003764> 국민건강생활안전연구회
National Academy of Health, Life and Safety
약칭 국건연 (NAHLS)
설립일 2023년 5월 24일
초대회장 최재욱(교수)
비전 비과학적 건강정보와 막연한 위해 인식이 야기하는 불필요한 사회·경제·감정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사회를 구현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주요활동
3.1. 2024년3.2. 2023년3.3. 2022년
4. 참여 전문가5. 기타


1. 개요

국민건강생활안전연구회(National Academy of Health, Life and Safety, NAHLS)는 2022년 5월에 설립[1]된 민간 연구단체이다.

2. 상세

화학물질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통해 먼저 확산되는 일은 흔하다. 이로 인해 국민들 사이에서는 케모포비아[2] 즉 과도한 불안이 생기고, 때로는 과학적으로 안전한 제품이나 정책마저 불신을 받는 상황이 발생한다. 대표적으로 생리대 유해물질 파동 당시, 일부 제품에서 휘발성 화합물이 검출되었다는 보도가 나오자 불매운동이 이어졌지만, 이후 정부 조사 결과 인체에 유해한 수준이 아님[3]이 확인되었음에도 불안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국민건강생활안전연구회는 이러한 비과학적 건강정보와 무분별한 위해 인식 확산을 극복하기 위해 의사, 독성학자, 언론인 등 전문가들이 참여해 설립되었다. 주요 활동으로는 케모포비아 관련 연구 및 국민 인식 개선 활동, 의학적·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정보 전달, 그리고 정책 소통의 가교 역할 수행이 있다.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과학 기반의 위험소통, 언론 보도 기준 마련, 정책 제언 등의 활동을 다각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특히 위해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정부 정책 내에서도 일관된 기준이나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부족한 영역으로 지적된다. 실제로 라돈 침대 사건 당시 정부의 부정확한 조사 결과 발표로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켰다는 비판이 나왔으며, 대구시의 마스크 필터 논란에서도 과학적 위해성 판단과 행정적 대응 간의 괴리가 드러난 바 있다. 이처럼 국민의 불안은 단순한 정보 부족이 아니라, 위해 판단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과학적 소통의 미비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으며, 연구회는 이러한 공백을 메우기 위한 전문가 기반의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3. 주요활동

3.1. 2024년


3.2. 2023년


3.3. 2022년


파일:환경 및 생활용품 안전성 보도 이렇게 해주세요.jpg
'환경 및 생활용품 안전성 보도 이렇게 해주세요' 카드뉴스

4. 참여 전문가


5. 기타

국민건강생활안전연구회는 설립이전에도 여러 단체와 함께 화학물질에 대한 위해소통, 국민 인식 개선 활동을 수행해 왔다. 대표적으로 국민건강 보호와 환경 생활용품 안전성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토론회, 일반 소비자와 과학기자 대상 생활용품 안전성 인식조사를 진행하였다.


[1] 환경·생활용품 안전성 문제 해결 '국민건강생활안전연구회' 공식 발족[2] 살충제계란 이어 라돈침대…끝없는 ‘케모포비아'[3] '삐끗' 깨끗한나라…유해 생리대 누명 벗었지만 지난해 260억원대 적자[4] 2024 AMCHAM Chemical Committee Meeting[5] 케모포비아의 경제적 효과 추정 - 생리대 유해물질 파동에 대한 사례분석(재정정책논집 2024년 26권 2호 p.85)[6]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더 많은 지출을 선택. 심리적 공포가 가격 프리미엄으로 이어진 사례[7] 2023 AMCHAM Chemical Committee Meeting[8] 근거기반 보도로 국민의 막연한 화학물질공포 없애야